수학이 만만해지는 책 - 넷플릭스부터 구글 지도까지 수학으로 이루어진 세상의 발견
스테판 바위스만 지음, 강희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날마다 마주하는 모든 것의 뿌리는 수학에 있다.

학창시절 수학은 좋아했으나 살아가면서 얼마나 필요할까란 생각은 많이 했었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만 잘하면 되지 왜 이러한 공식들을 외워서 풀어야 하는지 의문이었다. 그렇게 수학을 접했기에 우린 대학 시험을 위한 틀에서만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우리는 이미 수학 속에서 살고 있다고 말하는 저자 스테판 바위스만은 수학을 전공하지 않은 보통 사람들을 위해 이론과 공식을 모르면 수학을 알기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을 깨고, 우리 주변의 일상 사례들을 소환하여 그 안에 깃든 개념과 원리를 쉽고 재밌게 설명했다. 수학과 역사, 철학, 심리학을 가볍게 이으며 우리 안에 내재된 수학 본능을 일깨워준다.

일상 속 수학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가까이에 있었다. 구글 지도로 길을 찾는 행위, 구글 검색, 넷플릭스의 추천 영화, 스마트폰을 통해서 매일 각종 통계가 포함된 뉴스를 접하는 것, 선거를 앞두고 전국 지지율 현황 파악위해 실시하는 여론조사도 수학 덕분이었다. 수학은 이렇게 우리 삶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우리가 직접 계산 하지는 않지만, 상상 가능한 각종 계산이 우리의 삶과 긴밀한 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대체 왜 수학을 배워야 할까?

수학을 활용하면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할 수 있고, 복잡해 보이던 문제가 갑자기 쉬워질 수 있다는 사실을 계속해서 확인해켜 주었다.

미적분은 세상을 뒤바꿔놓았다. 컴퓨터, 스마트폰, 비행기 등 기술 발달에 따른 수많은 문명의 이기들은 미적분이 없었다면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나를 둘러싼 세상이 정확히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고 싶을 때 꼭 이해해야 하는 분야가 미적분이다. 미적분이 없었다면 지금 우리를 둘러싼 세상이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을 것이다. 시험볼때만 필요했던 학문이 아니었다. 엄청나게 많은 분야가 미적분 덕분에 돌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한 미적분은 직접 계산할 능력이 없어도 사는 데 불편이 없지만 확률은 조금만 더 알면 도움이 되는 것들을 알려준다. 자녀를 위해 무엇이 최선인지 알고 싶을 때, 건강 유지 비법을 알고 싶을 때, 전염병의 감염원이 무엇인지 알고 싶을 때도 우리는 늘상 수치와 맞닥뜨린다. 데이터 홍수 시대인 지금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할 때 통계는 유용하다. 이처럼 통계수치는 우리 삶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수학, 많은 사람들이 골치 아프다고 생각하는 분야이지만 그에 관한 지식을 우리 뇌에 조금만 장착하면 세상을 훨씬 투명하게 조명할 수 있다. 나날이 복잡해지는 요즘 같은 시대에 그 중심을 꿰뚫어보려면 수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우리 삶의 다양한 부분들을 훨씬 제대로 통찰할 수 있을 것 같다.

초등학교 6학년이 큰 딸과 함께 다시 읽어보고 싶다. 우리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분야임을 깨닫는다면 수학을 어려운 학문이 아닌 생각보다 쉬운 영역임을 알려주고 싶다. 제목을 보고 과연 그럴까?하고 페이지를 폈지만 한 페이지 넘길때마다 집중되는 묘한 책이었다.


*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수학이만만해지는책 #스테판바위스만 #웅진지식하우스 #세상의발견 #수학이필요한순간 #수학의쓸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