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노희경의 드라마를 좋아한다.
그녀의 드라마는 배우의 분위기와 대사를 즐기게 만든다.
‘드라마다운 가벼움이 없다면 집어 치우라’는 나의 평소 생각에
멋지게 한방 날리는 그녀의 글쓰기. 그 스타일이 좋다.
대부분의 드라마는 이야기가 보이지만
노희경의 드라마는 작가의 삶이 보인다. 그것도 아주 슬쩍~!
(슬쩍 건드리는 그 고도의 기술이란~!!)
아주 대 놓고 보이는게 아니라 살짝 비치는 그 모습이 상당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한번쯤 만나서 쓴 소주를 같이 마시고 싶다는 생각을 문득 하고 있는 나....
그래서인지 그녀의 에세이 출간을 인터넷 기사로 접하고 서점에 들러 책을 구경했다.
스윽 훑어보니 큰 출판사에서 돈 좀 들여서 출판했구나 싶었다.
쳇, 사고 싶진 않다. (이건 또 무슨 심술이니.)
하지만 연휴 내내 방바닥에서 엑스레이를 찍고 났더니 몸이 근질거려 참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서점에 들렀다.
글로 만나는 그녀는
드라마에서 보여주었던 익숙한 얼굴을 하다가도
거울 속의 내 모습에서 봤던 얼굴이 되기도 하고
길거리 지나가는 사람에게서 보았던 얼굴도 보여주었다.
글로는 ‘사랑’과 ‘인간’에 대해 잘 떠들면서도
정작 그렇게 살지 않았음을 부끄러워하는 반성문 같기도 했고,
그녀만의 사랑을 보여주는 글귀에서 왠지 모를 찡한 감동을 느꼈다.
특히 일곱 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나 3일간 윗목에 버려졌던 이야기.
모질고 건조했던 엄마에 대한 사랑,
한평생 바람만 피우며 가장노릇 한번 해 보지 않았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
나는 어느새 눈물을 뚝뚝 흘리며 책장을 넘기고 있었다.
역시 그녀는 ‘꾼’이다.
그 모든 것을 글에 녹이는 능력도 능력이지만
삶을 건성건성 보지 않는 그 시선은 그게 드라마로 만들어지든 책으로 출판되든 다른 이들에게 느낌표와 물음표를 던지는 힘이 있다.
편집에 대해 아쉬움이 남는다면
지나친 장식과 포장이 글과 어울리지 않았다는 아쉬움이 있다.
이 책을 출판사 ‘마음 산책’에서 냈다면 좀 더 다른 표현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