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두 권은 연초에 읽은건데 갑자기 생각나서.
졸업장을 받고, 학사모를 쓴 지가 언젠데 개론서를 샀냐고 묻는다면, 04년 버전의 개론을 업데이트 하고 싶었달까, 요즘 후배들은 어떤 흐름으로 배우고 있는지 알고 싶었달까. 개정3판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무색하다. 나는 현장에서 그래도 발바닥 하나 정도는 비비고 있는데. 목차를 보아하니 개론서라기엔 초판본에 비해 서지학쪽이 많이 부실하다. 게다가 정보학쪽으로 많이 치우쳐 있다. [도서관의 가치와 사서직의 의미]는 바로 이런 점을 지적한다. 정보의 환영을 쫓느라 도서관을 멀리하는 교육계의 현실에 대해서. 정확히는 도서관 현장을 너무 모르는 학계를 비판하고 있다. 직업을 말하면서 가치니 의미니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냐고 비웃을 수도 있다. 그러나 도서관 현장에 있어보면 생각보다 수많은 가치 판단에 직면한다. 식상하지만 전자책과 종이책 담론에서부터, 도서관을 공부방의 개념으로만 활용하는 이용자들을 어떻게 독서의 세계로 끌어들일 것인지, 아주 기본적으로는 어떤 책을 수서할 것인지도 그 기준적 타당성이 검열인 것인지 아닌 것인지도 고민해야 한다. 가치판단이라는 건 기본적으로 어떤 사상에서 시작하고 철학에서 시작하지만 아쉽게도 문헌정보학이, 더구나 한국 교육계에서 다루어 온 문헌정보학이 구축해 온 학문적 철학이 빈약하다. 그 이유는 문헌정보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기술적 성질이 강하기 때문이다. 문헌정보학의 교육은 "훈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학문의 분과 자체가 인문대학의 소속일 수도 있고 사회과학대학의 소속이 될 수도 있다. 아무튼 이 "기술"이라는 것은 도서관 실무에 필요한 모든 것들이다. 입수, 정리, 배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은 수작업이고 사람이 한다. 한 권의 책을 고심해서 고르고, 서지사항을 입력하고, 청구기호가 찍힌 라벨지를 출력해 책에 붙이고, 검색이 가능하게 해서 실물자료를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사서의 실무 중 가장 많이 하는 일이고 가장 중요한 일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서들이 이러한 "편목"작업을, 졸업할 때까지 깜깜하게 모르고 현장에 투입된다는 것이 도서관계의 현실이다. 물론 MARC도 배우고, 실습도 한다. 그러나 실습 현장에서 과연 예비사서에게 서지데이터의 정교함을 건드리게 할까? 그건 인턴 의사가 당장 수술해야 할 환자에게 무턱대고 메스를 드는 일과 다름 없다. 실습현장에서는 대체로 도서관의 개괄적인 업무를 체험하는 식으로 한 학기면 끝이 난다. 편목의 실제는 당연히 한 학기의 실습으로 익숙해지지 않는다. 자료의 형태는 책이 될 수도 있고, 기사색인이나 논문이 될 수도 있으며 전자저널이 될 수도 있고 비도서자료가 될 수도 있는데, 이것에 따른 MARC의 적용, 목록규칙의 적용이 그렇게 간단치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보사서들은 대체로 정리실에서 서지데이터 작업을 할 때 제일 고생한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그러니까, 정보의 데이터화도 그 데이터는 "아직은" 사람이 구축하는 일이므로 학계는 정보화니, 메타데이터니 하는 추상적인 개념 이전에 실무 중심의 교육을 해야한다. 개정된 문헌정보학 개론서에는 마이클 고먼이 지적한 학계의 부족함이 여실히 드러난다. 문헌정보학은 배워서 활용하고 현장에 투입되는 학문이다. 물론 그것은 책의 역사나 인류문화사와 같은 인문학과 함께 가야하며, 교수들은 교재를 만들 때 현장 사서의 목소리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분류, 목록, 자료조직의 굵직한 문헌정보학 실무의 큰 줄기를 예비사서들이 현장에서 두려워하지 않도록 잘 훈련시켜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개론서에는 도서관의 사상을 실질적으로 다뤄야한다. 이것은 곧 현장에서 겪는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자료의 접근성에 대한 공평성(대외비 자료를 다루는 도서관도 있다) 문제, 관리자 정신과 정보 중계자로서의 위치는 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실질적 사상들이다. 이러한 철학이 빈약하면 사서가 필요한 타탕성을 잃게 된다.
이러쿵 저러쿵 두서가 없는데, 결론은 학계가 현장을 좀 알아줬으면 하는 아쉬움. 정보니 뭐니 하는 것도 좋지만 주로 관공서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사서공무원들의 아날로그식 수작업 실무도 무시하지 말아주기를. RFID도 결국은 사서가 목록규칙을 기반으로 한 MARC를 입력하고, 그것이 RFID 칩에 입력되어서 리더기로 읽을 수 있는 것이니까. 챗GPT가 인기여도 딱히 우와 스럽지 않은 것은, 아직 인간 수작업의 정교함이 AI보다 뛰어나고 그것이 도서관에서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걸 너무 잘 아는 "현장" 사서이기에 그러하다. 인쇄소에서 책이 라인 작업으로 만들어지듯, 먼 미래에는 수서도 편목도 AI가 하는 시대가 올 지도 모르지만. 그걸 생각하기엔 사서들은 대체로 "공무원"이므로 정말 "먼" 미래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