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막손 투수 단비어린이 문학
리광푸 지음, 강영희 옮김, 최정인 그림 / 단비어린이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수나무밑에서 야구부의 연습을 구경하는 아이가 있다.
아이는 야구박사이다.
너무나 간절히 야구부에 들어가고 싶어하는 아이는 공도 제법 잘 던진다.
하지만 이 아이는 야구부에 들어가지 못했다.
아이의 오른손은 전체적으로 안쪽으로 오그라들어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조막손이었다.
이 아이의 이름은 린원창(아창)이다.

아창에게는 너무나 고마운 샤오팡이라는 야구부 친구가 있다.
샤오팡은 야구부 연습이 끝나면 아창과 함께 연습을 해준다.

처음 야구부에 들어가려고했는데 아창의 손을 본 감독의 거절로 아창은 야구부원이 되지 못했다.
하지만 새로온 감독님께서 기회를 주고 아창은 꿈에 그리던 야구부원이 된다.
열심히 연습하고 다치기도 하지만 아빠와 형의 든든한 지원아래 꿈에 그리던 첫 경기에 나간다.
하지만 첫 경기에 시합대신 볼보이를 하게 한 감독에 대한 실망감으로 야구에 흥미가 꺾이게 된다.
아창의 든든한 지원군인 아빠는 그런 아창을 격려해주고 프로야구도 같이 보러가고 아창의 마음을 안아준다.
게다가 예완메이라는 친구의 수줍은 격려로 더욱 힘을 얻고 다음번 경기에 나가게 된다.
팀을 승리로 이끌지는 못했지만 부원들과 감독님이 칭찬을 해줬다
아창은 그런 반응에 의아했고 다시 스스로에게 실망했지만 샤오팡을 통해 감독님의 의도를 듣고 다시한번 마음을 다잡는다.

다음날 태창초등학교에 조막손투수가 있다는 소문이 나고 많은 관심을 받게된다.
아창은 많은 사람의 도움으로 야구선수가 된 걸 감사하게 생각했다.
그리고 언젠가는 프로야구의 조막손투수로 크게 빛을 낼 것을 다짐했다.

야.잘.못 (야구를 잘알지 못하는 사람ㅎㅎ)인 내가 푹 빠져서 읽게 되었다.
손이 불편한 소년의 성장기같은 이 책은 슬럼프를 겪고 있거나 무언가를 하고 싶지만 용기가 나지않는 아이들에게 추천하면 참 좋은 책인것같다.
손을 많이 쓰는 야구라는 스포츠를 손이 불편한 아이가 죽을만큼 노력해서 결국엔 야구부에 들어가고 좌절도 겪었지만
책에는 없지만 결국엔 프로야구의 조막손투수로 대박나는 결말이 있을것같다.

결국 노력하면 안되는것은 없는것같다.
나도 열심히 노력하면 내가 이루고자 하는 걸 이룰수있겠지?
아창에게 많은것을 배운 오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가 사라졌다! 단비어린이 문학
청웨이 지음, 강영희 옮김, 김미희 그림 / 단비어린이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샤를로테와 마이아은 둘도 없는 친구이다.

친하긴 하지만 둘의 집은 정반대이다.

스위스시계처럼 항상 정확하고 완벽한 마이아네와 조금은 특별한 샤를로테네..

 

그러던 어느날 샤를로테의 아빠에게 캠핑카가 생긴 이후로 아빠는 가끔씩 캠핑카에서 지냈다.

샤를로테는 그런 아빠가 이해가 안되고 속상했다.

그럴때면 마이아에게 고민상담을 하지만 마이아는 마치 자기가 어른인냥 아빠에게 여자친구가 생긴건 아닌지 부모님이 싸운거는 아닌지 기분나쁠법한 질문들을 한다.

샤를로테는 점점 더 낭떠러지로 떨어지는 기분이었을것이다.

 

그런데!

완벽한 마이아네 가정에 큰 사건이 일어난다.

바로 마이아의 아빠가 사라진 것이다.

마이아와 마이아 엄마는 멘붕이었다.

 

샤를로테가 그랬듯, 마이아가 이번엔 샤를로테에게 상담을 했다.

샤를로테는 마이아가 했던 질문처럼 너의 아빠에게 여자친구가 생긴건지 부모님이 싸운건지 똑같이 물었다.

 

둘은 샤를로테의 아빠를 찾으러 그림숲에 간다.

힘든일이 생길땐 샤를로테에게는 아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하늘을 보며 샤를로테 아빠는 이야기를 한다.

바쁘게 살아가는 와중에 정작 자신을 위한 시간은 얼마나 되는지, 정작 자신의 마음엔 관심을 두지않는다고 말이다.

 

샤를로테와 마이아는 아빠가 이해가 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밀러할아버지가 주신 러시아인형을 꺼내본다.

여자인형속에는 남자인형이, 그 속에는 남자아이가, 그 속에는 새끼 사슴이, 그 속에는 날아가는 새가, 그리고 그 속에는 마이아의 아빠가 쓴 쪽지가 있었다.

 

자기 자신에게 3개월의 휴가를 주기로 했다며 미안하다는 말이 적혀있었다.

 

마음이 짠했다.

 

가족을 위해 회사를 위해 본인도 돌보지못하고 치열하게 삶을 살아가는 신랑이 생각이 났다.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자기자신을 포기하면서 열심히 일을 할 신랑 생각 말이다.

우리 아이들이 훌쩍 커서 이 책을 본다면 바쁜 아빠를 이해하겠지?

오늘도 수고한 아빠들에게 수고했다는 말을 전해주고 싶다.

 

아빠가 사라졌다!

아니,

아빠가 쉬고있다!

아빠도 사람이니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되지 엄마 단비어린이 그림책 21
김인자 지음, 한상언 그림 / 단비어린이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되지엄마? 나는 안되지엄마!

 

책표지의 아이가 우리 아이라면,

저 곳이 우리 주방이라면!

이보다 더 끔찍할 수는 없다.

 

책장을 넘기면 자기 싫어하는 아이에게 억지로 잠을 자라고 하는 엄마가 있다.

 

헉.. 내 모습이다.

그것도 불과 30분 전 내 모습..

 

다시 책장을 넘기면 이번엔 뭐든지 다 된다는 친절한 (?) 엄마가 있다.

 

유치원 안가도 되? 되지!

사탕먹어도 되? 되지!

뭐든지 된다! 된다! 다 되는 엄마..

 

난 책장을 덮고 아이를 바라보았다.

미안한 마음인지 난 웃음이 나왔다.

 

나의 기준에서 아이를 바라보고 아이를 키우는 것 같아 마음이 안좋았다.

아이의 기준에서는 다 되는 것들을 왜 나는 막고있었을까..

 

나도 내일부터는 되지엄마가 되볼까? 되지!

진짜 되지엄마가 될수있을가? ㅎㅎ 안되지!

 

되지엄마의 길은 아직 먼 것 같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 언덕 단비청소년 문학 2
창신강 지음, 최지희 옮김 / 단비청소년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엔 몸의 병보다는 마음에 병이 참 많은 것 같다.

나부터도 조울증이 있어서 기분이 하늘과 바닥을 넘나든다.

초등학교 1학년인 우리 큰 아들..

학교를 가더니 성숙해지기도 하였지만 많이 힘들어보인다.

이제 2학년 3학년 더 커가면 점점 더 힘이 들텐데 상처받지않고 잘 지낼수있을까 걱정이다.

 

<하늘언덕>은 '차오포'마을의 아동심리센터 이야기이다.

이 책은 읽을수록 머리에 차오포마을에 대한 이미지가 그려지더라.

 

아픈 아이들이 차오포마을에 왔다.

아픈곳이 몸이 아니라 마음이 아픈 아이들이다.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아이'이지만, 우리들 '어른'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각자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어른들..

그리고 치유를 받는 차오포 하늘언덕..

 

상처받은 아이들은 차오포마을에 와서도 말썽을 일으키지만

상처받은 서로를 보고 같이 생활하며 서서히 상처를 치유하는 것 같았다.

그리곤 하나 둘 차오포마을을 떠난다.

 

요즘 나도 힘든일이 있었는데 이 차오포마을이 실제로 있다면 가보고싶다.

어른에게 더 필요할것같은 차오포마을..

우린 살면서 너무 많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것같다.

상처를 감싸주기보다는 서로 상처를 주기만 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어딘가에 있을 차오포마을..

우리 아이들에게 엄마라는 사람이 차오포마을이 되어야할텐데..

오늘도 나는 이렇게 성숙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숙종 임금님과 고양이 단비어린이 그림책 20
노경실 글, 최정인 그림 / 단비어린이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에는 집에 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우는 가정이 참 많다.

나도 어릴 적 강아지를 키우고 그 강아지가 무지개다리까지 건넌 경험이 있다.

그 애절한 헤어짐을 알아서 나는 다시는 애완동물을 키울수가 없었다.


숙종임금과 고양이 그림책은 참 슬프고도 따뜻한 그림책이다.

숙종임금은 어머니의 묘에 가다가 우연히 고양이를 만나고 금손이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그리고 금손이를 사랑으로 키우고 진정한 집사(?)의 모습으로 고양이와 행복하게 지낸다.

 

지금이야 고양이를 사랑으로 옥이야 금이야 키우는 일은 아무것도 아닌 흔한 일이지만,

조선시대에 그것도 임금님이 저렇게 체면을 내려놓으면서 고양이를 키우는 게 참으로 특별해보였다.

 

내가 임금님이었다면 체면때문에 못 그랬을텐데 숙종임금은 마음이 참 여리고 따뜻했던것같다.

 

책을 아이들에게 읽어주니 아이들이 자기도 고양이가 키우고 싶다고 난리다.

자기가 숙종보다 더 사랑을 줄 수 있다며 자신감을 보이는 우리 아이들.. ㅎㅎ

 

하지만 동물을 키운다는 건 엄청난 책임감이 드는 일이고 나중에 그 동물이 하늘나라에 간다면 얼마나 마음이 아픈일인지를 알아서인지 아이들에게 도저히 고양이를 키우라는 말을 하지 못하겠다.

 

숙종에게는 금손이가 있고 나에게는 무엇과도 바꿀수없는 똥강아지같은 두 아이들이 있다.

 

옆에서 책의 금손이가 이쁘다며 재잘재잘 떠드는 아이들을 보니 절로 웃음이 난다.

이런 게 행복이구나 싶다.ㅁ

행복이란 참으로 소소한 것인데 가끔 잊고사는 건 아닌지 다시한번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