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소설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3
미하일 조셴코 지음, 백용식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말하겠다.
나는 러시아 문학은 읽지만, 작가 이름은 정말 기억을 못하겠다.
특히나 미하일 조셴코 같은 낯설은 이름은 더욱 그렇다.

그럼에도 이 책의 제목 네 글자 <감상소설>은 머리 속에 콕콕 박힌다. 속물적인 감상을 드러내 역설적으로 삶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이 책에 푹 빠진 까닭이다. 사실 그 시대의 특징은 '작은 사람들' 즉 소시민의 일상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게 아니던가. 그리하여 전쟁에 참여했다가 애인에게 버림받은 남자와 비관주의에 빠져버린 예술가, 돈 많은 여자와 결혼하지만 염소에 대한 욕심때문에 결혼한 것이 들통나 이혼당하는 남자들은 각각의 인생 속에 시대상을 담고 있다.

그는 자신이 어떻게 살아야 했는지, 인생에서 어떤 실수를 저질렀는지 깨달을 수 없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었다. 그것이 과연 실수였을까? 아무런 실수도 없었는지도 모른다. 인생이, 단순하고 혹독하고 평범한 인생이, 단지 몇몇 사람에게만 웃음과 기쁨을 허락하는 인생이 있을 뿐이었다. _ 46p.

작가는 정직한 독자나 식자공, 혹은 하다못해 필사적인 비평가들이 이 소설을 읽고 혼란에 빠질까 걱정스럽다.
‘실례합니다만,’그들은 말할 것이다. ‘꾀꼬리는 대체 어디 있소? 당신 왜 사기를 쳐? 왜 가벼운 제목으로 독자들을 낚는 거야?’_ 154p.


아주 평범한 사람들의 에피소드와 이야기가 모이면, 그대로 시대가 된다. 기실 시대를 이루는 많은 부분들은 평범한 사람들의 소소한 인생역정 아니던가. '감상소설'은 이렇게 약간은 우스꽝스러울 수 있는 부분 부분들을 통해 차가운 이념의 시대를 이야기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상소설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3
미하일 조셴코 지음, 백용식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웃음과 풍자의 프리즘_ 감상소설 

 

솔직히 말하겠다.
나는 러시아 문학은 읽지만, 작가 이름은 정말 기억을 못하겠다.
특히나 미하일 조셴코 같은 낯설은 이름은 더욱 그렇다.

그럼에도 이 책의 제목 네 글자 <감상소설>은 머리 속에 콕콕 박힌다. 속물적인 감상을 드러내 역설적으로 삶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이 책에 푹 빠진 까닭이다. 사실 그 시대의 특징은 '작은 사람들' 즉 소시민의 일상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게 아니던가. 그리하여 전쟁에 참여했다가 애인에게 버림받은 남자와 비관주의에 빠져버린 예술가, 돈 많은 여자와 결혼하지만 염소에 대한 욕심때문에 결혼한 것이 들통나 이혼당하는 남자들은 각각의 인생 속에 시대상을 담고 있다.

그는 자신이 어떻게 살아야 했는지, 인생에서 어떤 실수를 저질렀는지 깨달을 수 없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었다. 그것이 과연 실수였을까? 아무런 실수도 없었는지도 모른다. 인생이, 단순하고 혹독하고 평범한 인생이, 단지 몇몇 사람에게만 웃음과 기쁨을 허락하는 인생이 있을 뿐이었다. _ 46p.

작가는 정직한 독자나 식자공, 혹은 하다못해 필사적인 비평가들이 이 소설을 읽고 혼란에 빠질까 걱정스럽다.
‘실례합니다만,’그들은 말할 것이다. ‘꾀꼬리는 대체 어디 있소? 당신 왜 사기를 쳐? 왜 가벼운 제목으로 독자들을 낚는 거야?’_ 154p.


아주 평범한 사람들의 에피소드와 이야기가 모이면, 그대로 시대가 된다. 기실 시대를 이루는 많은 부분들은 평범한 사람들의 소소한 인생역정 아니던가. '감상소설'은 이렇게 약간은 우스꽝스러울 수 있는 부분 부분들을 통해 차가운 이념의 시대를 이야기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자군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의 십자군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 지음, 송태욱 옮김, 차용구 감수 / 문학동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역사와 역사서의 탄생이군요! 재빨리 예약 완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 아이덴티티 2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19
로버트 러들럼 지음, 최필원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액션영화의 시초, 가장 완벽한 예시인 본시리즈.
이 영화의 원작 소설이 있다는 사실은 알고있었지만, 출간이 될까? 하는 의구심은 있었다. 

하지만, 
인터넷 게시판에서 원작 소설이 출간되었다는 한 마디의 말로 내 돈 2만5천원은 서점에 맡겨놓은 상태나 다름없어지고 말았다.

다음 날 출근해야 한다면 로버트 러들럼의 소설을 읽어선 안된다는 친절한 경고문구에도 나는 책을 펼쳐들고 말았는데, 아니 이건 정말, 다른사람들에게는 진심으로 경고해주고 싶다. 다음 날 아침 일찍 당신이 움직여야 한다면, 이 책은 주말로 미뤄두라. 

본 시리즈의 영화를 처음 접했을 때, 이건 대박이다 싶었다. 한 순간도 지겹지 않았던 영화. 끝 장면이 시작되며 안도와 아쉬움의 한숨이 쉬어질 때까지 눈을 뗄 수 없었던 영화가 바로 <본 아이덴티티> 아니었던가. 

그러나 이 책은(심지어 두 권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도저히 놓을 수가 없다. 
영화를 보았음에도 더 치밀하고 더 터프한 액션에 나도 모르게 식음을 전폐하게 되버린다. 
본이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그는 예전의 자신을 버릴 수도 있었다. 그러나 사람이 원래 자신을 버린 부모도 끝까지 찾아보고야 마는 뿌리 지향적인 존재라, 본은 영화에서보더 더욱 깊게, 더욱 치열하게 자신을 찾아나선다. 미국과 유럽을 오가며 벌어지는 치열한 쫓고 쫓김의 미학. 

결국 너는 왜 자신을 찾으려고 하는가, 너는 왜 너 자신일 수밖에 없는가 하는 궁극적이고도 기본적인 물음과 화려하고 총체적인 액션의 서사는 이 책 이후 수많은 아류작들을 만들어내지 않았던가. 그 중 가장 전설적인 소설이 바로 <본 아이덴티티>. 다음 편이 나오면 또 난 잠을 못이루고 지각을 하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 아이덴티티 1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19
로버트 러들럼 지음, 최필원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액션영화의 시초, 가장 완벽한 예시인 본시리즈.
이 영화의 원작 소설이 있다는 사실은 알고있었지만, 출간이 될까? 하는 의구심은 있었다. 

하지만, 
인터넷 게시판에서 원작 소설이 출간되었다는 한 마디의 말로 내 돈 2만5천원은 서점에 맡겨놓은 상태나 다름없어지고 말았다.

다음 날 출근해야 한다면 로버트 러들럼의 소설을 읽어선 안된다는 친절한 경고문구에도 나는 책을 펼쳐들고 말았는데, 아니 이건 정말, 다른사람들에게는 진심으로 경고해주고 싶다. 다음 날 아침 일찍 당신이 움직여야 한다면, 이 책은 주말로 미뤄두라. 

본 시리즈의 영화를 처음 접했을 때, 이건 대박이다 싶었다. 한 순간도 지겹지 않았던 영화. 끝 장면이 시작되며 안도와 아쉬움의 한숨이 쉬어질 때까지 눈을 뗄 수 없었던 영화가 바로 <본 아이덴티티> 아니었던가. 

그러나 이 책은(심지어 두 권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도저히 놓을 수가 없다. 
영화를 보았음에도 더 치밀하고 더 터프한 액션에 나도 모르게 식음을 전폐하게 되버린다. 
본이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그는 예전의 자신을 버릴 수도 있었다. 그러나 사람이 원래 자신을 버린 부모도 끝까지 찾아보고야 마는 뿌리 지향적인 존재라, 본은 영화에서보더 더욱 깊게, 더욱 치열하게 자신을 찾아나선다. 미국과 유럽을 오가며 벌어지는 치열한 쫓고 쫓김의 미학. 

결국 너는 왜 자신을 찾으려고 하는가, 너는 왜 너 자신일 수밖에 없는가 하는 궁극적이고도 기본적인 물음과 화려하고 총체적인 액션의 서사는 이 책 이후 수많은 아류작들을 만들어내지 않았던가. 그 중 가장 전설적인 소설이 바로 <본 아이덴티티>. 다음 편이 나오면 또 난 잠을 못이루고 지각을 하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