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오진영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지나온 인생과 앞으로 걸어갈 인생에 대해 다시금 일깨워준 책. 오래 두고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레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오진영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꿈꾸는 이는 결코 길들여지지 않는다.
내가 지금 충분히 꿈을 꾸고 있는지에 대해 돌아보게 하는 책이었다.

그저 일상 속에서 나 자신을 잊고 사는 건 아닐까 생각하는 때가 있다. 바로 그럴 때 읽는 파울로 코엘료는 언제나 옳다. 나를 둘러싼 많은 관계 속에서 길을 잃고 있을 때, 연금술사가 그랬고,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가 그랬듯 나는 다시금 생에 대해 생각하고 꿈을 꾸게 되었다.

혹자는 말한다. 파울로 코엘료는 항상 비슷한 메세지를 담고 있는데다가 내용도 거기서 거기라고. 하지만 그가 <알레프>를 읽는다면, 분명 그런 소리는 쏙 들어갈 것이다. 안전하고 보편적인 길을 간다면 그냥 평범해지면 되지만, 정말로 원하는 일을 하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이야기.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은 결국 그런 사람들이고, 그들은 시행착오 끝에 무언가를 만들어낸다.

여행(순례)는 항상 잊고 있던 어떤 느낌을 되살려내 준다. 그건 내 존재에 대한 자각이고, 그 즉시 시간은 내가 있는 현재를 중심으로 재편된다. 코엘료가 말하는 알레프란 바로 그런 것이리라. 소용돌이 치는 시간 속에서 나를 다시 만나는 것. 그리하여 다시 나아갈 나를 자각하는 것. 이러한 느낌들이 판형도 예쁜 코엘료의 책들을 역시 다시금 펴보게 하는 힘이다.

그러나 나는 성스러운 불을 다시 지피는 방법도, 심지어 그 불을 왜 지펴야 하는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이야기 하나를 들려줄 수는 있다.

우리는 모두 우주를 떠도는 영혼이고, 그리고 동시에 우리의 생을 살아가는 영혼이다. 그러나 그러는 동안 우리는 한 생에서 또다른 생으로 옮겨가는 것처럼 느낀다. 우리 영혼의 법칙을 건드리는 모든 것들은 결코 잊히지 않고 이후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에 영향을 준다.

"코르크마즈 기트." 그녀가 다시 말한다. "터키어로, '그녀는 두려움을 모른다. 가라'는 뜻이죠."

이 빛나는 문장들. 이 문장들로 나는 코엘료를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도와 영토
미셸 우엘벡 지음, 장소미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오오, 벡느님이 돌아오셨다. 우아한 표지와 우아한 문장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밤의 아이들 1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9
살만 루슈디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이 소설을 어찌 몇 마디의 말로 요약할 수 있을까.
천일의 밤을 지새우게 하는 힘을 가진 세헤라자데의 이야기처럼, 소설가 김연수의 추천사 처럼 그저 끊임없이 계속되었으면 좋겠는 이야기.

한 아기가 태어나 자라서 한 사람이 되기까지,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을까. 그리고 그 많은 사람들의 인생은 또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인생으로부터 영향을 받을까.
예전에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내가 있기에는, 나를 지나쳐갔거나, 나와 관계된 사람들의 영향이 마치 도화지에 색이 중첩되듯 남아있는 것이 아닐까. 어쩌면 색이 아니라 냄새로, 이 사람의 영향, 저 사람의 이야기들이 점점 섞여서, 그 섞인 자체가 나는 아닐까 하는 생각. 아마 이 작가, 살만 루슈디도 그런 생각을 했던가보다. 화자이자 '우리의'주인공 살림 시나이가 태어나기 한참 전인 외조부의 인생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을 보면..

그 무수한 인생들은 정말로 희극과 비극의 교차여서(많은 다른 이들의 인생이 그렇듯) 독자는 때로 웃기도 울기도 하고 '그래, 역시 뱀이 있으면 사다리가 있고, 사다리가 있으면 뱀이 있는 법이지' 하며 만고의 진리, 아주 오래된 게임에서 배울 수 있는 그 교훈을 다시 되새기게 하는 것이다.
살림의 외조부는 침대보의 구멍을 통해 로맨틱한 사랑에 빠지지만, 로맨스의 그녀는 늙어서 원장 수녀님이 되었고, 그녀의 딸 또한 지하의 타지마할. 그곳의 안주인이 되지만 끝끝내 진정한 사랑과는 이별을 하게 되었고, 어떤 모종의 운명을 타고난 살림 시나이는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지만 끝끝내 역사와 가족을 잃고...

촘촘하게 얽힌 사람들의 이야기는 점점 다른 이야기를 양산하고, 이야기들은 끝내 자기증식하여 진실인지 허구인지 알 수 없지만 그 여부따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되어버리고, 그리고 끝내 살림 시나이는 그 이야기들을 새콤달콤한 피클병으로 포장해 낸다.

그리하여 이 이야기는,
부커상을 세번이나 수상했다는 전대미문의 사건 말고도,
그냥 이야기 그 자체만으로도 모든 이야기에 굶주린 이에게는 마치 밥과 물과 빵과 와인과도 같을 책이니,

그저 읽으시라.

생애 한 번쯤, 이런 책을 읽지 않는다면 내내 아쉬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밤의 아이들 1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9
살만 루슈디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이 소설을 어찌 몇 마디의 말로 요약할 수 있을까.
천일의 밤을 지새우게 하는 힘을 가진 세헤라자데의 이야기처럼, 소설가 김연수의 추천사 처럼 그저 끊임없이 계속되었으면 좋겠는 이야기.

한 아기가 태어나 자라서 한 사람이 되기까지, 거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을까. 그리고 그 많은 사람들의 인생은 또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인생으로부터 영향을 받을까.
예전에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내가 있기에는, 나를 지나쳐갔거나, 나와 관계된 사람들의 영향이 마치 도화지에 색이 중첩되듯 남아있는 것이 아닐까. 어쩌면 색이 아니라 냄새로, 이 사람의 영향, 저 사람의 이야기들이 점점 섞여서, 그 섞인 자체가 나는 아닐까 하는 생각. 아마 이 작가, 살만 루슈디도 그런 생각을 했던가보다. 화자이자 '우리의'주인공 살림 시나이가 태어나기 한참 전인 외조부의 인생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을 보면..

그 무수한 인생들은 정말로 희극과 비극의 교차여서(많은 다른 이들의 인생이 그렇듯) 독자는 때로 웃기도 울기도 하고 '그래, 역시 뱀이 있으면 사다리가 있고, 사다리가 있으면 뱀이 있는 법이지' 하며 만고의 진리, 아주 오래된 게임에서 배울 수 있는 그 교훈을 다시 되새기게 하는 것이다.
살림의 외조부는 침대보의 구멍을 통해 로맨틱한 사랑에 빠지지만, 로맨스의 그녀는 늙어서 원장 수녀님이 되었고, 그녀의 딸 또한 지하의 타지마할. 그곳의 안주인이 되지만 끝끝내 진정한 사랑과는 이별을 하게 되었고, 어떤 모종의 운명을 타고난 살림 시나이는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지만 끝끝내 역사와 가족을 잃고...

촘촘하게 얽힌 사람들의 이야기는 점점 다른 이야기를 양산하고, 이야기들은 끝내 자기증식하여 진실인지 허구인지 알 수 없지만 그 여부따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되어버리고, 그리고 끝내 살림 시나이는 그 이야기들을 새콤달콤한 피클병으로 포장해 낸다.

그리하여 이 이야기는,
부커상을 세번이나 수상했다는 전대미문의 사건 말고도,
그냥 이야기 그 자체만으로도 모든 이야기에 굶주린 이에게는 마치 밥과 물과 빵과 와인과도 같을 책이니,

그저 읽으시라.

생애 한 번쯤, 이런 책을 읽지 않는다면 내내 아쉬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