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오진영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꿈꾸는 이는 결코 길들여지지 않는다.
내가 지금 충분히 꿈을 꾸고 있는지에 대해 돌아보게 하는 책이었다.

그저 일상 속에서 나 자신을 잊고 사는 건 아닐까 생각하는 때가 있다. 바로 그럴 때 읽는 파울로 코엘료는 언제나 옳다. 나를 둘러싼 많은 관계 속에서 길을 잃고 있을 때, 연금술사가 그랬고,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가 그랬듯 나는 다시금 생에 대해 생각하고 꿈을 꾸게 되었다.

혹자는 말한다. 파울로 코엘료는 항상 비슷한 메세지를 담고 있는데다가 내용도 거기서 거기라고. 하지만 그가 <알레프>를 읽는다면, 분명 그런 소리는 쏙 들어갈 것이다. 안전하고 보편적인 길을 간다면 그냥 평범해지면 되지만, 정말로 원하는 일을 하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이야기.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은 결국 그런 사람들이고, 그들은 시행착오 끝에 무언가를 만들어낸다.

여행(순례)는 항상 잊고 있던 어떤 느낌을 되살려내 준다. 그건 내 존재에 대한 자각이고, 그 즉시 시간은 내가 있는 현재를 중심으로 재편된다. 코엘료가 말하는 알레프란 바로 그런 것이리라. 소용돌이 치는 시간 속에서 나를 다시 만나는 것. 그리하여 다시 나아갈 나를 자각하는 것. 이러한 느낌들이 판형도 예쁜 코엘료의 책들을 역시 다시금 펴보게 하는 힘이다.

그러나 나는 성스러운 불을 다시 지피는 방법도, 심지어 그 불을 왜 지펴야 하는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이야기 하나를 들려줄 수는 있다.

우리는 모두 우주를 떠도는 영혼이고, 그리고 동시에 우리의 생을 살아가는 영혼이다. 그러나 그러는 동안 우리는 한 생에서 또다른 생으로 옮겨가는 것처럼 느낀다. 우리 영혼의 법칙을 건드리는 모든 것들은 결코 잊히지 않고 이후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에 영향을 준다.

"코르크마즈 기트." 그녀가 다시 말한다. "터키어로, '그녀는 두려움을 모른다. 가라'는 뜻이죠."

이 빛나는 문장들. 이 문장들로 나는 코엘료를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