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 장미 문학동네 청소년문학 원더북스 13
캐서린 패터슨 지음, 우달임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적, 노동운동이고 사회 문제고 간에 어떤 개념이 형성되기도 전에 우연히 읽게 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충격을 잊을 수 없다. 그것은 어린 내게 3단 충격으로 다가왔는데,

 

첫 째, 우리 나라에 이렇게 초현실적인 문체를 가진 소설이 있었다니,

둘 째, 이런 처참한 상황이 정.말.로. 존재했던걸까,

셋 째, 이런 초현실적인 문제로 현실적인 사회문제를 다룰 수 있다니,

 

하는 충격이었다. 특히 두 번째의 충격은 그저 사진으로만 이론으로만 알고 있던 사실들이 머리 속에서 색을 입고 뛰어다니는 경험이었다. 살던 집은 정말로 허물렸고, 공장은 숨을 쉬기 힘들었고, 그들은 쉬지 못했다는 사.실.

 

도시화, 산업혁명. 사람들이 사는 곳을 조금 더 좋게 보여지도록 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사는 곳에서 쫓겨났고 인간이하의 취급을 받으며 일했다는 그 사실이 가시처럼 와 닿았다. 그리고 '공정의 문제'에 대해 깊이깊이 오래도록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빵과 장미> 37p. 

 

 

값싼 노동력의 이민자인 로사의 가족은 교육받지 못한 채 공장에서 일한다. 그러나 학교에서 제대로 된 미국인이 될 것을 이상으로 생각하며 자란 소녀 로사는 그야말로 천대받고 무시당하지 않는 우아한 '미국인'이 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한다. 어느 날 로사는 선생님이 나쁘다고 한 '파업'에  어머니가 동참한다는 것을 알게 되고 어머니에게 큰 실망감을 느낀다. 그러나 로사가 사랑하는 어머니는 어느 때보다 즐거워보이고, 의욕이 넘쳐 흐르는 것 처럼 보인다. 어머니와 선생님의 말 사이에서 로사는 가치관의 혼돈을 느끼게 된다.

 

 

"우드 씨가 뭐라 했는지 너도 알잖니. 공장에서 54시간 일하는 사람들한테 56시간 임금을 줄 수는 없어."

로사의 가슴 속에서 뭔가가 딱딱해졌다.

"하지만 그 사람은 집이 다섯 채나 있잖아요."

"그래, 집을 다섯 채 가졌지."

"네, 선생님. 그리고 자동차가 엄청 많아서 셀 수도 없을 정도고요."

핀치 선생님은 고개를 홱 틀었다. 선생님의 뺨이 빨개졌다.

<빵과 장미>83p.

 

 

제이크는 미국인이지만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소년이다. 알콜중독 아버지에게 매일 맞으면서도 공장에 나가 아버지의 술값을 벌어야 하는 처지다. 이주자들의 파업은 그에게 돈을 벌지 못하는 날들일 뿐이다. 둘의 미묘하게 다른 입장은 결국 서로를 이해하는 데로 나아가게 된다.

 

 

그 영감한테 이 저주받은 파업의 와중에도 자기가 얼마나 잘 처신하고 있는지 보여주고 싶었다. 다른 사람들은 추위에 떨며 굶주리고 있는데, 자기는 새 옷에 아버지한테 선물 사줄 돈까지 있노라고.

판잣집에 가보니 아무도 없었다. 이번만은 아버지가 없다는 사실이 사뭇 실망스러웠다. 제이크는 아버지가 못 보고 지나치지 않도록 간이침대 한복판에다 술병을 놔두고, 쓰레기 더미가 아닌 다른 잠자리를 찾으러 떠났다. 새 옷을 벌써부터 더럽히고 싶지는 않았다.

<빵과 장미> 169p.

 

 

제이크는 어쩌다 생긴 돈으로 자신의 먹을 것보다 아버지가 좋아할 위스키를 사서 집으로 간다. 새 옷을 아버지에게 맞아 더럽히고 싶지 않았기에 술만 놓고 나온 제이크는 다음 날, 술을 먹고 잠든 아버지가 추운 날씨에 죽어있는 것을 발견한다. 이 불쌍한 소년은 이 모든 비극이 자신이 술을 사갔기 때문이라고 자책하고, 두려움에 빠진다. 그리고 과격해진 운동을 피해 다른 지역으로 보내진 소녀와 소년은 한 부부로부터 따뜻한 대접을 받으며 서로를 이해하며 성숙해간다.

 

빵과 장미의 상징성은 구호 "우리는 빵을 원한다, 그리고 장미도"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사람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가장 필요한 빵은 노동자들이 노동을 하는 가장 큰 목적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충분한가. 단순히 일을 하기 위해 먹고, 먹기위해 일을 한다면 우리는 누구나 '그건 사람 사는 게 아니지'하고 혀를 찰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빵 뿐 아니라 '장미'도 원한다. 인간으로서 당연히 가져야 할 최소한의 '존엄성'을 요구하는 것이다. 일을 마친 저녁 시간에는 가족들과 함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권리, 산책을 하고, 공부를 할 수 있는 권리 등이 이들이 갖고자 하는 '장미'이다. 자신이 인간으로서 가져야 하는 너무나 당연한 권리들을 요구하는 이들의 투쟁은 그래서 아름답고, 활기차보인다. 그리하여 이들을 무력으로 제압하려는 자들의 몸짓은 더욱 우스꽝스럽고, 오히려 두려움에 사로잡힌 듯 보이게 되는 것이다.

 

 

새로운 이민 노동자들에게 공장의 노동 여건은 매우 열악했습니다. 그들은 대개 가장 낮은 임금을 받는 일을 했습니다. 가족의 생존을 위해 일할 수 있는 누구든 일하러 나가야 했습니다. 아이가 열네 살 아래면, 부모들은 종종 돈을 주고 아이의 출생증명서를 위조했습니다. 그래야 아이가 공장에서 일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1911년, 메사추세츠 주의회는 공장주들에게 1912년 1월 1일부로 여자와 어린이의 노동시간을 주 56시간에서 54시간으로 단축하라고 명령했습니다. 보통 성인 남자가 성인 여자보다 높은 임금을 받았기 때문에 공장주들은 모두의 노동시간을 54시간으로 줄이고 기계 가동 속도를 높임으로써, 단축된 주당 노동 시간 때문에 생겨날 수 있는 이윤 손실을 임금 삭감을 통해 메우려 했습니다.

<빵과 장미> 작가의 말 中 

 

 

이런 시절도 있었단다. 라고 말하기에 아직 많은 사람들이 생존의 문제로 고통받고 있다. 백인에 의해 제공된 마약에 중독되어 마약을 더 얻기 위해 다이아몬드를 모아야 하는 현대판 노예들. 인간 이하의 생활을 하며 겨우 목숨을 이어나갈 정도의 돈만으로 생계를 꾸리는 불법체류 노동자들. 이러한 불편한 진실들에 당장 맞서 싸울 수도, 피할 수도 없지만 최소한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언제라도 그들을 도울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모든 사람이 빵도, 장미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