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수리 셈도사 수리 네버랜드 꾸러기 문고 51
이향안 지음, 최미란 그림 / 시공주니어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제가 아들과 함께 읽어본 동화는 <수리수리 셈도사 수리> 였어요

 

 

"구칠여육십삼 구칠여칠십이 구구여팔십일"

처음에는 무슨 소리일까? 했는데 자세히 읽으니 구구단이였어요

아주 오래 전부터 우리 조상들은 구구단을 생활에 활용을 하셨다는데 신기하고 재미있었답니다

요즘 이야기 되고 있는 갑질이라는 것을 하던 박영감을 통쾌하게 혼내주는 수리를 보면서

만약 이 시대에 수리가 살았다면 어떠 했을까? 상상을 해 보았어요

아마 그러했다면 억울한 이들이 이리 많지는 않겠다 싶은데 과연 가능할지....

 

 

아들은 자신하고 비슷한 남자아이 수리를 보고 사뭇 진지하게 책을 읽더라고요

구구단을 외우는 모습도, 고된 할머니 옆에서 누워 할머니를 걱정하는 모습도, 산가지를 날릴때의 모습도

자신하고 좀 닮은 것 같기도 하다며 공감을 듬뿍 하는 것 같았어요

저는 숫자로 하는 셈이 아닌 마음으로 하는 셈의

진리와 가슴 깊은 수리 할머니의 현명함이 오래도록 남을 것 같네요

 

 

 

 

 

 

 

 

 

 

 

 

 

 

 

 

네버랜드 꾸러기 문고 51 / 수리수리 셈도사 수리

 

 

셈에 관련된 동화책이라 그런지 첫장을 넘겨보니 시골 장터 그림이 디테일하게 그려져 있었어요

그림에서 주인공 수리와 수리할머니를 찾아보는 것도 은근 재미있더라고요~!!!

아들처럼 개구진 남자아이 주인공 수리는 어려서부터 셈을 잘 하기로 유명했지요

장터에서 나물 장사를 하며 하루하루 지내고 있는 수리와 수리할머니

 

어려서 부터 셈을 잘 하던 수리

그래서 그런지 장터 사람들은 모두 수리의 셈을 믿고 의지했어요

수리의 셈은 항상 옳았거든요, 틀린적이 없었답니다

 

 


 

 

 

 

 

 

 

 

이 소식을 알고 있던 고을 큰 부자 박영감은 수리를 이용해 하나의 꾀를 내게 되었어요

수리에게 미션을 주고, 그 미션을 행하면 큰 상을 내리겠노라 했지요

그 미션이라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였다는 걸 수리는 알게 되었지만

그 미션 뒤에는 정말로 끔찍한 꿍꿍이가 있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어요

 

박영감의 꿍꿍이는 다름아닌 장터 사람들의 땅 삯과 집 삯을 계산 하는 일이였어요

매번 자신의 배만 불리기 위해 자신에게 이로운 쪽으로만 계산을 해왔던 박영감은

장터 사람들에게 신뢰를 받고 있는 수리를 이용해서 제대로 한 몫 챙길 작정이였지요

 

올해는 장사도 농사도 헛 것이 되었다고해요

그래서 다시 농사를 지어야 했고,,, 그 또한 제대로 되지 않았던지라

모든 사람들은 삯을 낼 형편이 되지 못했지요

 

하지만, 박영감은 두번의 농사를 지었으니 두배의 삯을 요구했고

이 부분에서 구구단이 나오는데 수리가 공부를 시킨 박영감의 아들이 용케 정답을 말하고

모든 삯은 두배를 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답니다

장터 사람들의 신뢰를 받고 있던 수리가 공부를 시킨 박영감의 아들인지라

틀린 것도 아니고 이렇다할 변명의 여지가 없었던 사람들은 모두 망연자실 할 뿐이지요...

 

 

 

과연 수리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책 중간에 할머니가 수리에게 하셨던 말씀이 있어요

 

 

"수리야! 셈은 숫자로만 하는 것이 아니여, 마음으로 하는 셈 이란게 있구먼.

이 셈은 숫자로 하면 틀린게 분명 허구먼. 허나 마음으로 해 보면 정확한 셈이여"

 

장터에서 아낙이 다 떨어진 버선과 할머니의 나물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전혀 말도 안되는 모습을 보면서 수리가 할머니게 의아해 물어보았을때 할머니가 해주신 말씀이였어요

다 떨어진 버선과 많은 양의 나물을 교환하는 것은 택도 없는 셈이였지요

하지만 아이들과 아낙이 할머님이 주신 나물을 가지고 한끼를 해결하고, 할머니와 수리는 보리죽으로

한끼 해결을 한다면 그것으로 할머니의 셈은 맞다고 하셨어요

 

 

저는 어떤 셈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을까요?

과연 어떤 셈이 삶의 행복을 선사 할까요?

 

 

 

 

 

 

 

 

이젠 수리의 현명하고 기발한 셈이 통쾌한 복수를 해주는 순간이 왔어요

삯을 계산할때는 수확량에 비례해서 내는 것이 맞다는 이야기와 함께

수확량이 없다면 당연히 삯도 없다는 것으로 끝~~~~~!!!

 

모두 영을 외치면서 끝을 낸 <수리수리 셈도사 수리> 였답니다

내심 어떻게 이야기가 전개가 될까 기대를 했는데 수리의 현명하고도 기발한 셈으로 모두는 행복하게 되었지요

moon_and_james-74 src

요즘 갑질이라는 단어가 대세라고 하던데 제대로 한방 먹인(?) 느낌은 저만의 것일까요?

가진자들이 판(?) 치는 세상에 수리의 셈으로 명쾌하게 해결해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우리 이쁜 아이들이 살아가야 하는 세상인데 점점 답답하고 갑갑하게 느껴지는건 왜일까요?

아직 아들은 저와 같이 깊은 생각까지는 하지 않고 읽었던 것 같아요

오히려 그것이 더 낫다 싶네요...

 

 

마음으로 하는 셈을 하며 살자 결심 해보았지만 과연 그래도 될지?

다소 걱정은 되지만, 이쁜 아들을 위해 저는 마음으로 하는 셈을 하며 이 세상 살아볼까 합니다

아이들을 위한 동화이지만, 결코 아이들만을 위한 동화가 아닌

오랜 전 이야기인 듯 하지만, 결코 오래 전 이야기만은 아닌 듯 한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