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있어, 생선은 고마웠어 - 남방큰돌고래 제돌이 야생방사 프로젝트
남종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 추천/책/동물 복지/돌고래 방사 프로젝트]

[동물복지 도서/동물 관련 도서/돌고래 생태/환경 관련 도서]

[돌고래 불법 포획/야생방사 잘 있어, 생선은 고마웠어]

 

원래부터 동물에 관심이 많았던 도기.

최근에는 동물복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생겼는데

그때 발견한 도서가 제돌이의 야생방사에 대한 내용을 담은

<잘 있어, 생선은 고마웠어>이다.

 

 

 

남방 큰 돌고래 제돌이의 야생방사 프로젝트.

대한민국 첫 돌고래쇼부터 불법 포획, 제돌이의 야생방사까지.

핫핑크돌핀스의 노력과 돌고래에 대한 많은 내용이 들어있는 도서였다.

 

저자 남종영(환경 논픽션 작가, 한겨레 기자)

한겨레 기자이기도 하면서 <북극곰은 걷고 싶다,>, <고래의 노래> 등을

 펴낸 환경 논픽션 작가이다.

 

들어가기 전에.

 

 

"박쥐가 된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돌고래가 되어 바깥의 환경을 본다.

꾀죄죄한 물때가 낀 유리 벽에 바깥에서는 외계인들이 이상한 물체를 들고 번쩍거리는 빛을 내뿜고 있다.

그리고 왁자지껄 함성소리를 지르는 외계인들이 쳐다보고 있다.

내가 돌고래가 된다면 모든 상황이 얼떨떨하고 당황스러울듯하다.

도서의 목차는 아래와 같다.

 

 

아무도 몰랐던 남방큰돌고래의 역사.

불법포획, 대한민국 최초의 돌고래쇼 이야기부터 야생방사까지.

다양한 화제를 다루고 있다.



 

 

곰새기 왐서, 곰새기.

제주 해녀들이 곰새기라고 부르는 이 남방큰돌고래는 아주 오래전부터 제주바다에 살았다고 한다.

 

이처럼 돌고래의 역사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사실을 알려주는 책.

돌고래의 등지느러미도 사람들의 지문처럼 각각 다르다는 사실.

지느러미로 개체를 구별하기도 한다.

정말 와 닿았던 문장 .

돌고래가 살 곳은 수족관이 아니다.

그들이 살 곳은 바다다.

 

서울대공원에서 돌고래쇼를 하던 제주 남방큰돌고래 금등이와 대포가

 2017년 5월 7일 마지막 공연을 했다.

금등이와 대포는 7월 방류될 예정이다. 2013년 제돌이,

 2015년 태산이와 복순이에 이어 야생방사는 계속되고 있다.

불과 몇 년 사이에 돌고래쇼는 자취를 감추어가고 돌고래들은

 바다로 돌아가고 있다.

 인간이 자의식을 가지게 되는 시기가 두 살쯤이라고 한다.

동물에게도 이런 능력이 있는지 실험한 결과 그들 또한

자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인도 모르는 사이 그물에 걸려 처음 보는 장소에서

 눈을 뜨는 느낌은 어떨까.

너무나도 두려울 것이다.

돌고래쇼는 사라져야 하며 그들 모두 자연에서 행복한 삶을 살 권리가 있다.

"돌고래에게 자유를!"

 

동물을 좋아하거나 동물 복지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

잘 있어, 생선은 고마웠어. 추천.

<위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