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다섯 마리의 밤 - 제7회 황산벌청년문학상 수상작
채영신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 다섯 마리의 밤"

제목만 보면 동물 이야기로 착각 할 수도 있는(?) 하지만 동물 이야기는 아니다, 그 안의 숨겨진 뜻 은"개 다섯 마리의 밤" 추운 겨울을 이겨내기 위하여 추위가 강해질 수록 개 한 마리, 두 마리... 늘어나 다섯 마리 끌어 안고 겨울을 이겨낸다 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목의 뜻 만 보면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서로 껴안고 이겨내는 이야기 이라 생각 할 수 있지만, 그들에게 이런 시련은 누가 주는 것인가? 자연재해? 바이러스? 아니다. 그들에게 가해지는 말과 행동 그리고 그 남들과 다르게 바라보는 시선이 아닐까?


알비노를 갖고 있는 세민이, 그리고 그의 엄마 박혜정 세민이의 출생과 관련된 비밀과, 나와 다르며 나보다 뛰어남에 대한 시기와 질투.

어느 누구를 욕을 할 수 있겠는가? 그들도 열심히 살 뿐이라 생각한다. 다만, 남을 배척하는 행동을 옳지 못하다.


안빈이의 엄마를 욕 할 수 있는가? 남의 사생활을 들추고, 이기적이게 된 것이 타고난 것인가? 우리 사회가 만든게 아닐까? 1등이여야만 하고, 남들보다 좋은 곳에 살아야 하며 이제는 누군가를 짓 밟고 올라서지 않으면, 내가 당하는 세상 피해자보다는 가해자가 낫다는 생각. 우리 사회가 만든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고스란히 자식에게도 전해지고, 세민이는 고통스러워 한다.


아이들은 세민이의 치부를 들어내며 안빈이의 주도하에 세민이에게 상처를 주려고 한다.

그걸 연극이라 생각하며 이겨내려는 세민이의 모습. 더 잔인하게 괴롭히는 아이들.

정말 여기가 인격을 갖춘 곳이 맞는가? 인격을 갖추웠기에 더 잔인하고 모욕적인 순간들. 세민이는 똑똑하며 영특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강하다고 볼 수 있을까? 세민이의 아픔은 누구와 공유하고 누가 보듬어 주는 것일까?

혜정은 세민이의 아픔을 종종 무시하고 피하려는 게 보인다. 그래서 오히려 요한의 말에 세민이가 흔들리는게 아닐까?


약할 수록 잔인하고 독해지는 것인가? 강할 수록 흔들리지 않고, 우뚝 설 수 있는 것일까? 그러면 안빈엄마와 안빈이는 약한자 이기에 자기보다 강해보이는 세민이와 혜정을 끌어 내리려 하는 것일까? 뒤에 보면 '류보선(문학평론가)' 쓴 글이 있는데,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의 혐오가 얼마나 지독하며 일상적인지" 그들은 일상에서 혐오라는 좋은 구실로 우리와 외모가 다르고, 또 무엇을 문제를 삼아 본인들의 약함을 감추기 위해 하는 행동이지 않을까? 우리가 언제부터 혐오 혐오 이런 말 들을 한지 모르겠지만, 일상에서의 우리도 모르게 자리잡은 혐오사회를 잘 보여준 책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