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지노와 소셜 스낵 - 소셜미디어, 연결되지 않으면 불안한 중독자들
최영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소셜미디어를 하루에 몇 번이나 하는가. 폰을 손에서 놓고 있으면 불안하지는 않은가. 이 질문에 나는 네라고 대답한다. 어쩌면 많은 이들이 스마트폰 중독, 소셜미디어 중독에 빠져있을지도 모르겠다. 아니, 빠졌다고 할 수 있다.
취업, 결혼, 교육, 주거 혹은 노후 등 미래를 가늠할 수 없는 환경 속에서 우리는 불안하고 외롭고 어쩌면 고립되어있다. 이런 상황속에 우리는 소확행을 하기도, 소셜미디어를 하기도 한다.고립속에서 연결을 원하는 게 인간의 심리니까.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기표현을 하고 유대감을 형성하고 정체성을 지키기도 한다. 유행에 따라하기도 하고 소비하기도 하고 하루를 업데이트하기도 한다. 문제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우리는 주목을 생산하는 상품으로 이용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접속하고 주목하고 중독된다. 소셜미디어의 자극은 카지노의 자극과 매우 유사하다. 고객을 끌어들여 게임을 지속시키고 돈을 않어도 자리를 떠나지 못하게 하는 행동디자인에 기반한 설득 기술이 스마트폰 인터케이스에도 녹아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끊임없는 자극과 쾌락을 느끼고 경쟁과 보상을 바라고 소비하고 집착하게 된다.
단순히 소셜미디어를 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책을 보다보니 소셜미디어 중독의 문제가 크다는 걸 깨닫게 됐다. 어떤 경우든 중독은 안된다.행위 자체가 문제가 되는 건 아니지만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소셜미디어를 체험하면서 무언가 풀리지 않는 숙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느끼면 중독은 시작되는 것이다. 중독은 불안, 고립, 수치심, 자존감 저하에는 도움이 되지만 현실을 직접 마주치지 않고 도피하고 일시적인 문제해결에만 그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도 사회는 이미 소셜미디어 중독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아무 목적없이 자꾸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것도 주목해야한다. 습관적인 메일체크, 카톡, 인스타, 페북을 보는 행위로 시간을 보내고 행위 중독에 빠진다면 결국 사회적 고립과 회피, 도피라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잠깐의 불안과 수치심 부정적 감정해소는 되지만 오히려 중독과
더 큰 불안과 수치심, 고립, 외로움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이다.
외로움과 고립속에서 네트워크 속에서만 의사소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중독은 아마도 능력주의,경쟁, 수치화 등 우리를 둘러싼 사회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중독의 늪에서 빠져나와야되지 않을까. 책은 중독사회, 기술과 디자인, 중독 사회 처방전 등을 제시한다. 거기다 마음챙김 가이드라인까지. 중독의 늪에서 빠져나와 삶의 기본적 양식인 산책과 독서를 제안한다,
이제는 소셜미디어를 조금씩 줄이고 가족과의 대화와 산책, 독서로 행복해져보려한다.아직 스마트폰을 내던지지는 못하지만, 좀 더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보려 한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