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토크라시 -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2
이영달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1년 8월
평점 :
품절


한국의 미래교육는 입시와 시험을 위한 교육에서 벗어나 각자의 행복한 삶을 위한 교육으로 바꿔야한다. 그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지만 여전히 한국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지도, 변화를 만들어 내지도 못한다.

대학 입시제도가 한국 교육이 미래로 나아가는데 발목을 잡는다는 걸 알지만 교육혁신은 쉽지 얗다. 창조적인 혁신을 추구하지만 기존교육의 형식과 틀에서 조금 달라졌기에, 결국 혼란과 줄세우기식 교육이 계속되는 것이다.
기존의 틀에 박힌 표준화와 입시만을 계속 강조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꿈과 잠재력, 가능성, 창의성을 발견하는 교육으로 나아가기란 쉽지 않다.

과학기술이 발달되고 계속 혁신되는 사회속에서 교육 또한 변화해야 한다. 전인전 인재양성을 위해 학습자의 잠재력을 찾고 감성지능, 직업적 기능을 더해 자기주도적 삶을 살아가도록 도와주어야햐다.

갈수록 기업과 대학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시점에 책은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에 필요한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교육을 이야기한다. 사람 평가가 아닌 사람세우기 교육을 말이다.

기업과 대학의 경계가 허물어진 기업대학 등장, 또한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 엘리트는 시험, 승진, 선거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영향력을 형성했지만 혁신 앨리트는 시장을 통해 혁신성을 평가, 영향력을 형성한다. 전문성과 업적, 공헌, 영향력 등이 사회적 지위와? 보상의 핵심 원천이 되는 사회 보상 체제 메리토크라시와 그 궤를 같이하고 있다.

교과 과정이 흥미롭고 즐거운 도전의 장이 되도록 교육전반에 이르는 사항과 입학시험 전형 등을 살펴봐야한다.
공교육 시스템의 여건과 환경이 불충분한 학생의 학부모 역할을 감당하고기회의 평등을 구현해야한다. 기존의 획일화되고 줄세우기식이 아니라 아이들의 잠재력, 가능성, 창의성을 발견, 발전시켜주어야 한다는 말이다.
잠재적 아인슈타인이 현실의 아인슈타인으로 거듭나고 잃어버린 아이슈타인도 빛나는 아이슈타인으로 성장시켜주는 것이야 말로 혁신의 교육이지만 현장에서는 쉽지가 않다. 교육과정만 바뀔 뿐 인식과 여건 환경이 불충분하기에 혼선과 혼란만 초래하는 것 같다.

이는 지난해 10월 5일 교육부에서는 '코로나 이후, 미래 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 과제(안)이 공개됐다. 2020년 개정교육과정의 분권, 자율 , 다양성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첫번째 과제로는 미래형 교육을 위한 2022 개정 교육과정 개편 본격 추진,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위한 차질 없는 준비, 중등 직업 교육 고도화, 교과서 패러다임의 전환,? 미래형 유치원 교육과정 도입이라는 다섯가지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2024년(초등) 과 2025년(중등)에 적용될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은 혁신적 포용적 인재가 될 듯 하지만 기대보다는 염려와 걱정이 앞선다.

미래 교육 전환을 위해서는 수월성, 혁신성, 다양성, 포용성이 조화와 균형을 이뤄야하지만 또 부분적 시도와 도전만 이뤄지고 강점 기반 교육이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을지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문제인식을 하는 학부모는 자녀의 강점 찾기를 하면서 사교육이 성행할 것으로 보인다. 강점 찾기는 기회 추구, 꿈꾸기의 시작으로 공교육과 제도권 교육에서 이를 뒷받침하지 몬하면 기존의 교육 격차는 더 벌어지고 꿈꿀 수 있는 자격마저 불평등의 영역에 추가될 수밖에 없다.

계속된 교육과정 전환만을 말할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입시 위주의 사회 분위기가 아닌 창의적 사회가 되어야 가능하지 않을까란 생각을 한다.
창의력과 상상력, 개성, 가능성을 발견하고 마음껏 진정한 자신의 꿈 찾기가 가능하다면 우리교육은 변화하지않을까 생각해본다.
교육과정이 변할 때마다 교육현장의 혼란과 혼선보다는 진정으로 기존 교육과 틀을 제대로 진단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