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기계 vs 생각하지 않는 인간 - 일과 나의 미래, 10년 후 나는 누구와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
홍성원 지음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가 사실,  뜨끔한 것 같다. 
 만약 생각하는 기계가 등장하고 인간이 아무 생각없이 살아간다면? 생각하는 기계의 등장으로 내가 하는 일은 어떻게 달라지고 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인공지능이 진짜 우리의 일자리를 위협할까? 준비만이 살 길이다.라는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
 나는 10년 후? 누구와 어떻게 일하고 있을까가
궁금해졌고 일과 나의 미래를 생각하게 된 것 같다.



 인간의 기계화와 기계의 인간화 중 무엇이 더 두려운가. 결국 인간은 생각하는 기계에 대체 당할 것인가? 기술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근거도 없고 기술진화도 생각처럼 빠르지 않지만 우리는 준비 해야 한다. 나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일까. 그리고 생각하는 힘을 더 키울 필요가 있다. 
 책은 그런 우리의 고민과 걱정을 함께 이야기하고 그 방법을 같이 찾아간다. 

 중세 영국인이 물을 가열해 움직이는 증기기관을 발명하면서 인류의 근대의 문이 열렸다. 인간의 노동 대신에 기계의 힘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2차 산업혁명으로 석유와 전기라는 새로운 에너지가 나타나고  자동차, 전화, 전등이 등장하게 된다. 덕분에 우리의 삶의 질은 높아지고 노동력을 줄여주고 시간적 여유가 생겼다.
그러나 3차 산업혁명으로 수치 제어 로봇과 성능이 강화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가 인간의 지능과 관련된 영역을 침범하기 시작한다. 일의 목적에 맞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나 기계를 움직이면 사람보다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공지능은 좀더 진화된 기술을 보여줬다.
기계가 대체하지 못하던 인간의 사고 영역까지 잠식하기 시작하고 자원을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상품의 연구 개발에서 생산,  판매 마케팅,  사후 서비스까지 일터에서 벌어지는 대부분을 담당하기까지 한다.
 사회적 동물로 뛰어난 사고력을 가졌던 인간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계 앞에서 무기력해지고 있다. 편안함에 젖어 우리는 기계만 믿고 있기까지 한다. 우월한 인간이 끊임없이 기계와 대결까지 해야한다니!
 자동화시스템으로 일자리도 많이 없어졌다. 은행, 증권회사 창구 업무를 보기 보단 현금인출기나 인터넷뱅킹, 폰뱅킹을 이용하고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주식매매를 하기도 한다. 

 기계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덕분에 우리는 어디서든 빠른 업무 처리와 소통이 이뤄지는 편리함을 얻었지만 그 이면의 불편함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업무 장소를 떠나도 일에서 해방되지못하는 상황,  이메일과 카톡이 울려되는 경험. 다들 해봤을 거라 생각한다. 쉬는 날에는 스트레스와 피로를 풀고 쉬고 싶은데 이마저도 쉽지 않다니. 너무 슬픈 현실이다. 

 자유주행차 시대가 열렸다. 시작단계긴 하지만 편리하고 안전한 만큼  인간의 생각하는 힘은 점점약해지고있다. 직접 운전할때는 두뇌를 쉬지 않고 움직인다. 교통상황, 안전, 공간지각력등을
생각하면서 피곤했던 우리에게서 피로감과 위험성해방슬 안겨줬지만 두뇌를 활발하게 사용할 기회가 줄어들어 인간의 사고 수준은 더 감소할지도 모르겠다. 또한 사고의 책임,  법, 일자리 문제 등은 대중화 전에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일의 미래를 내다보고 데이터와도 친해지고 감성으로 공감을 이끌어내야한다. 기계, 적과의 동침을 받아들이고 위기는 기회라는 생각으로 새로운 생각으로 기계를 뛰어넘어야한다. 시대에 발 맞춰 창의적이고 기존의 생각이 아닌 새로운 사고로 정면 승부한다면 당연히 인간이 뛰어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막연히 로봇들에게 일자리가 뺏기면 어떻하지라는 불안과 초조속에 살기보다는 창의적이고 기발한 생각을 하면서 더 나은 내가 되길 바라본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