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의 이야기를 먹어 줄게 - 고민 상담부 나의 괴물님 ㅣ YA! 1
명소정 지음 / 이지북 / 2021년 7월
평점 :
"세상에는 간직하고 싶은 이야기만 있는 게 아니잖아. 자신의 나쁜 기억을 잊어버리길 원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아."
나의 나쁜 기억이나 이야기를 먹어주는 '화귀'가 있다면 어떨까. 가끔 너무나도 지우고 싶은 힘들고 좋지 않은 기억이 있다. 고민이나 나쁜 이야기를 먹어 준다면 어쩌면 더 행복한 기억으로 가득차서 행복해질 수 있을까?
지금 내앞에 보통 사람의 모습을 했지만 나에게서 이야기를 먹어주는 존재가 있다면, 무슨 고민과 무슨 기억을 그에게 줄까.
이야기를 먹고 사는 '너의 이야기를 먹어줄게'는 그런 화귀와 학생들의 이야기다. 신선한 컨셉이라 더 재밌게 봤던 것 같다.
사서 선생님이 그만두면서 도서부장이었던 '세월'이는 사서 대행업무를 맡는다.
그런데 매일 책들이 없어진다. 도서관 경보기도 분명 울리지 않는데 말이다. 그러던 어느날 범인과 마주친다. 책을 먹고 있던 화괴는 '임혜성'이었다. 이야기를 먹고 사는 화괴라니.
세월이는 책이 사라지는 것을 막아야하고, 혜성이는 책을 먹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둘은 고민 끝에 고민상담부를 만들고 학생들은 학업, 친구, 진로, 연애, 꿈 등의 고민을 가지고 그들을 찾는다.
소설가가 되고 싶지만 부모님은 의사가 되길 바라는 고민을 가진 해원이는 결국 자신의 꿈보다는 현실과 가족의 기대를 택했고 자신이 소설가를 희망한다는 사실이 그에겐 고통이었다.
진짜 자신의 꿈을 버려도 되는지, 집에 가서 생각해보라는 세월이, 사실 자신의 고민을 잘아는 것도 자신이고 결정을 내리는 것도 자신이기에
이야기를 먹고 말고를 세월이와 혜성이가 정할 수 없는 거였다. 결국 해원이는 소설가의 꿈은 지운다. 그러나 자신의 소질이나 재능을 잃어버리진 않았기 때문에 원래의 꿈을 되찾을 지도 모르겠다.
지금도 고민이 많지만 책을 읽으면서 학창시절에 가졌던 고민들이 떠올랐다.학생들의 고민, 그 시절에 아마 다 하나쯤은 가지고 있지 않을까. 그 고민을 상담할 곳이 없어서 힘들었던 나와 친구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우리에게도 고민 상담소가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그들은 고민을 들어주고, 기억하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화괴가 이야기를 먹는다. 화괴는 배를 채우고 고민은 해결되니 일석이조였다.
점점 아이들의 이야기를 먹고 고민을 들어주다가 의문이 생긴다. 스스로 해결하지 못할 고민이라면 차라리 그 기억을 지워달라는 친구들. 이 모두 고민을 그냥 먹어 버려도 되는 걸까.
이 일이 옳은 일일까?
10대라는 지나는 아이들에게 고민을 먹어주는 괴물이 나타난다. 어쩌면 우리는 그런 괴물이 필요하지 않을까. 10대도 20대도 모든 사람들에게 고민을 들어주는 상담소가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주고 공감해주는 그런 곳, 특히 청소년기에는 자신의 목표를 찾고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성장하기에. 아프고 힘든 10대를 위한 책이 아니었나 생각해본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