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방 - 치매 엄마와의 5년
유현숙 지음 / 창해 / 2021년 7월
평점 :
미국에서 엄마가 온다는 기쁨도 잠시, 엄마가 사라져서 가족들은 초조하고 불안해 엄마를 찾다가 112에 도움을 청한다. 그런데 엄마는 잠시 외출하고 돌아온 든 평온하고 차분하게, 기분까지 졸아보였다. 동생과 그녀의 불안에는 관심조차 없이, 단골 미용실에 외상값을 주라곤 하곤 잠드셨다. 일하는 그녀 대신 손자를 키워주던 그 엄마는 치매에 걸려 버렸다. 엄마에게 치매가 찾아올 거라고 상상도 못했기에 말문이 막혔다. 친가, 외가, 심지어 조상 중에도 치매를 앓은 사람이 없었기에 치매 환자와 마주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누구보다 건강을 지키려했고 봉사활동과 새로운 도전을 좋아했던 엄마가 치매라니, 읽는 내내 먹먹해지는 글이었다.
머리가 아프고 깜빡깜빡하던 모습이 혈관성치매의 시작이었을텐데, 엄마를 자세히 관찰하고 신경쓰지 못해 치매가 온 건 아닐까 후회가 밀려오는 그녀, 치매는 가족들의 관심으로 치료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고 한다.나이 들면 자진해서 치매검사를 받아야 하고 가족들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그녀는 강조한다. 암보다 무서운 것이 치매라고 할 정도로 약도 대책도 없다.
어쩌면 스트레스와 함께 희망, 목표가 없어지면 치매가 찾아오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나이들수록 나이에 맞는 취미 생활과 일이 필요하다는 게 작가의 말이다. 나 또한 이말에 동의한다. 편하게 해드리는 것도 필요하지만, 소일거리라도 있으셔야한다. 결국 엄마 집으로 들어갔고 엄마는 빈병을 줍기 시작했고 가게에서 들고 오기도 했고 자꾸 사라지기 시작했다. 엄마를 찾아다니는 일이 반복되다보니 한시도 집을 비울 수가 없게 됐고 신경이 늘 엄마에게 가있었다. 늘 피곤하고 늘 신경써야하는 상태로 우울하고 수면장애까지 계속 되었다. 엄마를 요양원에 보내지 않고 간병하며 힘들어 하다가 간병살인자까지 될 수 있는 위기에서 신경정신과를 찾기까지 한다.
엄마가 치매를 앓고 그녀는 5년 동안 24시간을 긴장하며 철창없는 감옥과 같은 생활을 했다. 자신의 인생 5년을 잃어버리고 엄마를 지키는 파수꾼이었다. 읽는 내내 엄마아빠가 보고싶었던 것 같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많은 이들이 치매로 고통받는다는데 우리 부모님은 아니길, 미리미리 더 신경써야겠다고 생각한다.
치매 걸린 환자도, 그 가족도 엄마나 힘들고 고통스러울까. 치매 시대에 제대로 된 돌봄과 대책 또한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