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우리는 엄마가 된다 - 두 딸, 남매, 삼 형제를 키우며 함께 성장하는 워킹맘들의 이야기
유혜리.이용재.최종희 지음 / SISO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내 안에 상처를 가지고 있지만 아이만큼은 행복하게 키우고 싶은 남매, 두 딸,  세 아들을 키우는 워킹맘들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코로나로 인해 더욱 아이를 키우기 힘든 환경이  되었고 엄마라는 자리가 마냥 행복하지만은 않다. 아이를 키우는 과정에서 우울함과 고민, 걱정이 날로 늘어나는 요즘 같은 때,  엄마라서 공감할 수 있는 그런 이야기를 책은 이야기한다. 

외동아이를 키우기도 하고,  성격이 다른 남매를 키우기도 하고 딸만, 아들만 키우기도 한다.그런데
문제는 아이들이 아무리 형제자매라도 성향, 성격, 개성이 제각각이란 사실이다. 집집마다 다른 양육 방식과 다른 이야기가 있다.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내가 부족한 걸까 이건 아닌데라는 생각에 괜히 자책하고 힘들어할 때가 있다.
이럴 때는 너무 자책하기 보다는 나의 말과 행동을 돌이켜 변화를 추구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인 듯하다. 
자녀 또한 독립된 인격체이기에 각각의 개성이 있다. 개성이 제각각 다른 아이들을 부모는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 그에 맞는 노력과 변화를 추구하려하지만 그 과정에서 아이와의 마찰이 일어날 수도 있고 서로 상처가 될 수도 있다. 그럴 때 조금씩 내려놓고 천천히 이해하는 과정에서 부모는 또다른 인내의 시간을 견뎌야 한다. 이 과정을 지혜롭게 잘 이겨내면 서로에게 긍정적인 작용을 줄 수 있을 건이다. 

또한 자녀는 부모의 행동을 따라하는 경우가 있다. 아빠의 뒷짐지는 것을 따라한다거나 말투를 따라 하기 때문에 부모의 본보기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부모의 작은 행돗이 자녀의 인생과 성격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아이도 어쩌면 치열하게 살수도 힘든 게 있을 수도 있다. 엄마만 힘들다는 생각을 하기보다 남편과 주변에 힘듦을 공유하고 지혜로운 엄마가 되어야한다.
또한 엄마인 내가 먼저 색안경을 벗고 아이의 숨은 장점을 찾으려하고 미안할때는 진심으로 사과하고 아이의 생각을 존중해야한다.
엄마도 엄마가 처음이기에 적응하고 어려운 것이 많다.서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여러 시행 착오와 서로에 대한 인내와 배려가 쌓여 그렇게 우리는 엄마가, 가족이 되는 건이 아닐까.
아이와의 시간 속에서 아이도 엄마도 함께 성장하니까. 쉽지 않은 엄마의 길이지만 나는 이세상의 모든 어머니는 위대하다고 생각한다. 내가 엄마가 되는 순간 나의 어머니의 위대함을 알았고 감사함을 느낀 것 같다.  엄마라는 존재는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있든, 아이에게 온 우주이며 세상이다. 이 시대의 엄마로 사는 나와 당신을 지지하고 응원해본다. 잘 하고 있다고 토닥여주고 서로의 이야기를 나눠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책이었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