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맨 브라운
너새니얼 호손 지음 / 내로라 / 2021년 6월
평점 :
작고 얇으면서도 알찬 내용을 담은 월간 내로라, 출퇴근시간이나 종종 틈틈이 읽을 수 있는 책. 가벼운데 내용은 고급지고 재미나다.
원숭이손, 꿈의 아이, 나이팅게일과 장미에 이어 누런 벽지, 이번에는 굿맨브라운을 펼치게 된 건 아마 이때문일지도 모르겠다.이쯤되면 월간 내노라 매니아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어릴 적부터 교육을 통해 어떤 생각이나 신념이 주입되고 이렇게 주입된 신념은 근거도 없이 어른이 되는 과정에서도 따라간다.
굿맨 브라운은 이름처럼 선한 사람으로, 아내는 신념으로 불린다. 그의 고향인 세일럼 마을은 폐쇄적인 청교도 공동체로 우리와 마찬가지로 모두가 같은 신념이 주입된 채 살아간다. 세일럼의 해가 넘어갈 때쯤 그는 어딘가 길을 떠나려한다.그러나 아내인 신념은 혼자 남겨지게 되면 불길한 꿈과 이상한 상상에 시달릴 것 같은 예감이 든다며 하루만 더 함께 있어 달라고 애원한다. 하지만 그런 신념을 떼어놓고 그는 자신의 길을 떠난다.
결혼 석달 만에 떠나는 그, 훌륭한 미래 계획을 세우는 것만으로도 그는 눈앞에 닥친 여정이 정당화되는 것처럼 느끼며 숲으로 향한다.
아마도 굿맨 브라운은 교회에서 소중한 가치로 여기는 것을 기준으로 살아왔고 아내 신념을 따라가면 천국에 도달할 것이라 확신하면서 살아가지만 어느날 무언가에 이끌리듯 그는미지의 숲으로 떠게 된다.
그는 왜 신념이 가지 말라고 하는 길을 굳이 가는 걸까. 신념과 그과 생각하는 길이 다른, 어쩌면 신념과의 단절과 독립의지를 보여주는 게아닐까란 생각이 든다.
새카만 어둠고 길로 들어서자, 굿맨 브라운과 비슷하고 풍기는 분위기가 남자가 나타나고 둘은 함께 숲으로 들어간다. 그는 손에 지팡이를 든 악한 그는, 자신이 알고 지내는 사람들을 말하는데 그들은 굿맨이 선하고 좋은사람이라고 여긴 마을 사람들과 신념이었다.
아내를 절대 선이라 믿었던 그가 자신과 비슷하게 닮은 남자를 만나고는 그를 절대 악이라 분류하고 선과 악에 대해 묻게 된다. 그리고 굿맨의 조상들이 세일럼 마녀 재판에 관여된 후 충격을 받고 이름을 바꾸었단 것이다. 그런데도 선하다고 말할 수 있냐며 남자는 인간은 결국 악하다는 결론을 굿맨에게 말한
다.
책은 독실한 기독교를 배경으로 하기에 종교소설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또 한편으로 우리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굿맨에게 나타난 그 남자의 정체는 무엇이었을까, 진짜 악마였을지, 그날 밤싀 일은 꿈이거나 굿맨의 내면일지도 모르겠다.
그것은 해석하기에 달라질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어떤 생각이 떠오르면 우리는 그것을
계속 떠올리고 돌이킬 수 없게 된다.
인생을 살아오면서 우리는 교육에 통해 어느새 자리 잡은 것이야 말로 진실이라 여기고 그것이 신념으로 자리잡는다. 이렇게 주입된 신념은 어른이 되고 여러 생각과 의문, 의혹, 의심, 검증을 통해 굳어지거나 폐기된다는 것이다. 의심하게 되는 순간, 더는 신념이 아니게 되어 버린다.
어쩌면 내가 당연시 믿고 있는 것의 뿌리는 깊지 않을지도, 사실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를 알고 불안에 떨까봐 우리는 외면하고 살지도 모르겠다. 결국 살아가기 위해 신념은 자신이 몫이고 선택이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