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내가 힘들까 - 나 자신과의 싸움에 지친 이들을 위하여
마크 R. 리어리 지음, 박진영 옮김 / 시공사 / 2021년 6월
평점 :
심리학을 연구하던 작가 마크리어리, 심리학을 한다고 하면 자기자신을 이해하고 개인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공부한다고 여기지만 사회심리학 연구와 개인적인 문제들과는 상관이 없었고 그 또한 자녀가 생기고 바쁘고 힘든 삶을 살다보니 스트레스와 피로에 시달렸다고 한다.
그런 그가 스트레스관리를 찾던 중 당시 스트레스가 명상에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명상을 시작한다. 명상의 효과는 기대이상이었고 스트레스가 줄뿐만 아니라 심리학자로서 인간의 자기인식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되었고 '나는 왜 내가 힘들까'를 쓰게 되었다.
원서가 출판된지 15년이 지났고, 우리나라에서 이번에 출간된 것이다.
제목부터 요즘 나를 꿰뚫는 듯해서 이끌리듯 책을 펼쳤다. 이 책을 다 읽고나면 '나는 왜 내가 힘든지'를 알게 될 것 같은 기대감을 안고 말이다.
아프고 난 뒤, 나는 내가 더 힘들었다. 나만 힘들게, 불행하게 살아가는 것 같았다. 어떤 날은 짜증을 내고 어떤 날은 한숨을 쉬고 울기도 하고 어떤 날은 흔들리기도 하는 내가. 나는 힘들었다.
책을 읽으며 내가 왜 그렇게 힘든지를 조금씩
이해하게 된 것 같다.
인간은 자신을 들여다보는 능력이 있다. 덕분에 우리는 아직 오지 않는 미래를 상상할 수 있게 되었고 지나간 일을 돌아볼 수 있으며 다양한 선택지들을 고려해 보거나 새로운 변화나 혁신의 일으키고 또 다양한 기준에 비쳐 스스로를 평가하는 등 살아가는 데 꽤나 유용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런 자기 인식 능력은 인간에게 세상을 왜곡해서 인식하고 자신이나 남에 대해 부정확한 결론을 내리면 잘못된 정보에 기반해 그릇된 결정을 내리게 하기도 한다.
자기 인식 능력은 우울증, 불안, 분노, 부정적인 감정이 같은 엄청난 고통을 가져오기도 한다. 자신의 내면과 행동거지를 인식할 수 있는 탓에 자꾸 나와 관련된 일들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하고 그 과정에서 이미 지나간 일들을 자꾸 떠올리거나 미래의 들이닥칠 일을 미리 상상하며 걱정하는 등 스스로를 괴롭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아가 있기 때문에 자기중심적이며 자신의 약점을 보지 못해 타인과 갈등을 빚게 되기도 한다.
결국 자아가 있기에 우리는 힘들었던 것이다.
인생은 이미 힘든 일로 가득한데 우리는 스스로를 더 괴롭히고 있는 것이다. 나에게 가장 모진 사람은 바로 내 안에 있는 나였다.
자아를 가진 우리는 스스로에게 말을 걸고 자신의 관점에 갇혀 세상을 바라보고 자아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어하려 애쓰고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 받고 싶어 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데 이것은 결국 자신에게 해가 된다.
우리는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익숙하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정의를 내리고 내 미래는 어떤 모습인지 상상하는 등 끊임없이 자신과 관련된 생각을 한다. 이렇게 익숙한 만큼 사실은 이 능력이 얼마나 범상치 않은 것인지 능력이 없는
삶은 지금과 어떻게 다르지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자기고찰 능력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주는 핵심기능인 동시에 인간이 짊어진 저주인 것이다. 자아가 있으면 계획하는 능력, 의사결정과 자기통제능력, 자아 개념 및 평가 능력, 자기 마음을 들여다 보는 능력, 다른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런 능력 덕분에 사람들은 보다 성공적인 인생을 꾸려 나가게 되었을뿐 아니라 인간을 진보라 할 수 있는 문화적인 혁신들을 이룰 수 있었다. 인간에게 자신에 대해 의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없었더라면 과학철학 정부 교육 의료 등의 출현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결국 이런 자아때문에 나는 힘든것이다.
나를 막고 있는 것, 나를 혼란스럽게 했던 것,
나를 억압했던 것, 나를 방어했던 것, 나를 집중하지 못하게 했던 것도 결국 내 자아인 것이다.
자아를 잘 다루지 못하고 내 안의 자아를 넘어서지 못해서 나는 힘들었던 것이다. 이제 자아를 내려놓고 진짜 세상에 발을 들여놓으려고 한다.
내안의 자아와 화해를 하고 나는 행복을 찾으려한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