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사람만이 닿을 수 있는 곳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황미숙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프고 난 뒤 너무 힘들었고 혼자 집안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 생각하다. 책장에 꽂힌 책을 읽게 되었다. 삶에 치여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보지 못했던 지난 날과 달리 지금은 책의 즐거움에 빠졌다. 책의 힘은 대단한 것같다. 내가 힘들고 괴로운 상황에서 앞으로 나아가게 해주었고 깨달음을 주기도 했다. 사고력을 키워줄 뿐만 아니라 상상력을 풍부하게 만든다. 


그런데 우리는 의외로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 그러면 책을 읽지 않고 무엇을 하고 있을까.
인터넷으로 글을 읽기는 하지만 책은 읽고 있지 않는 우리.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지만 실상 이야기해보면 제대로 아는 것 조차 없다.


 독서는 사람에게 깊이를 만들어 준다. 한 가지만 집요하게 파고드는 종류의 깊이가 아닌 전공분야를 깨고 있어도 다른 지식이 전혀 뒷받침되지 않으면 균형이 깨진다. 깊이는 전 인격적이고 통합적인 것을 이야기한다. 
 인터넷이나 SNS가 나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이 멋진 도구도 인류의 지식이 만들어 낸 것이니 잘 활용해야 한다는것이다. 다만 무게중심을 완전히 그쪽에만 두고 독서의 즐거움을 잃는다면 무척 안타까운 일이다. 독서는 인간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맛볼 수 있는 기쁨이며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심화시키는 최고의 길인 것이다.  책과 마주하는 일은 인터넷과 SNS가 주류인 현대사회에서 더욱 더 중요하다.


아픈 뒤  책을 읽고 거기서 얻은 깨달음은 인터넷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지식들과 달랐다.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었고 새로운 내가 되는 기분이었다.
 책읽는 사람만이 도달하는 깊이가 있다. 문학을 읽으면 복잡한 감정을 느끼고 말로 표현하는 능력을 익힐 수 있고 즐거움은 책을 세 개를 천천히 은미 하는데 있다 미도 깊은 세계를 접하고 그것을 즐기는 마음이 필요하다 그런 마음이 없으면 그 만큼의 시간과 에너지를 할애 하지는 못할 것이다 누구나 본래 가진 지적욕구를 바탕으로 깊은 세계를 접하고 즐기려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독서의 시작이다. 
 요즘같이 마음껏 책을 읽을 수 있는 시대에
수리는 고전,소설, 에세이, 만화 등 다양한 장르를 접할 수 있고 그 속에서 즐거움을 느꼈으면한다. 한 번뿐인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서는 독서가 필요하기에, 책을 읽으며 즐겁기도
위로받기도 했으면 좋겠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