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simplezi > 순환의 고리속에서 사는 운명이여!

미겔란쏘 프라도 지음, 이재형 옮김 / 현실문화 / 2000년 10월
평점 :
절판


미켈란쏘 프라도의 <섬>을 보다보면,

우리는 서로를 마주보는 사랑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나를 바라보는 시선을 뒤로 한 채 다른 누군가를 바라보는 하나의 긴 사랑의 고리안에 존재하지는 않은가하는 까뮈의 말이 생각난다.

어쩌면 자신의 뒤로 움츠려 멀어져가는 과거의 기억과 자신의 현재로 조금씩 펼쳐지며 다가오는 불확실한 미래 사이에서 현재의 삶을 경험하는 사람에게 있어 사랑은 하나의 고통스런 물음의 연속일 수 밖에 없다.

<섬>에서 라울과 안나는 각자의 사랑의 기억에 매여있다. 그러나 그 기억은 완전한 형태를 갖춘 것이 아니다. 섬에서 기억은 현재를 경험하고 미래를 밝혀주는 믿음직한 안내자가 아니다. 오히려 안나처럼 자신의 라울과 이름이 같은 한 남자를 멀리서 지켜보다 떠나보내는 수동성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방해한다. 그들은 자신의 기억에만 매달려 상대방을 훔쳐보다 결국 서로 마주보는 그들만의 사랑을 완성할 기회를 놓친다. 뒤늦게 사랑을 확신한 라울이 섬으로 돌아와 방파제 벽에 약속의 메세지를 적어놓지만 그것은 독백에 그치고 만다.

서로를 그리움의 시선으로 뒤쫓는 수레바퀴를 닮은 <섬>은 사랑을 그리움과 욕망, 고독의 폐허위에서 망각되어지도록 내버려둔다. 등대가 죽은 <섬>은 사랑의 격정에 포효하는 바다로부터 방랑하는 배들을 인도하지 못한 체 먼 바다로 다시 배를 내보낸다. 그 배들 중에 라울과 안나의 배도 자신의 우유부단한 사랑의 기억을 더듬듯이 그리움에 지쳐가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