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허리 가우디의 뼈 - 탐정이 된 의사, 역사 속 천재들을 진찰하다
이지환 지음 / 부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병은 때때로 환자의 외모를 바꿔 놓는다."
"세종을 낯설게 만나야 한다."

이렇게 말한 작가 이지환은 어떻게 역사 속 천재들의 병을 진찰하고 진단할 생각을 했을까. 탁월한 추리력과 관찰력으로, 진실을 파헤쳐가며 천재들의 병과 죽음에 대해 낯설게 접근했다. 참 감격스러운 책이다.

지은이는 '들어가는 말'에서 '모든 의사는 홈스의 후배'라고 말한다. 셜록 홈스를 탄생시킨 작가 코넌 도일은 의사였고 스승 조지프 벨 박사는 탁월한 추리 실력으로 질병을 밝혀냈다. 코넌 도일은 스승을 모델삼아 셜록 홈스를 탄생시켰다. 그 일화가 책의 '들어가는 말'에 소개되어 있다. 홈스의 후배라고 자처하는 의사 이지환이 역사 속 위인들의 병을 어떻게 추적해내고 어떻게 그들의 오명을 벗겨내는지 책을 읽다보면 정말 흥미진진한 스토리에 빠져들게 된다.

- 들어가는 말 6p
의학은 한 편의 추리다. 의사는 통증이라는 사건을 안긴 가해자 질병을 탐정처럼 수색해 나간다. 이 작업은 상당히 흥미진진해서 끔찍한 학업에 지쳐 앓은 소리를 하던 의대생도 희귀 환자 증례 시간에는 눈을 반짝인다.

작가 이지환은 유려한 필체와 풍부한 전문지식으로 글을 써내려갔다. 그 만의 의학적 관점으로 역사를 재조명하고, 지식과 상식의 이면을 파들어가며 천재들의 삶을 한 편의 영화처럼 극적으로 묘사했다.

역사 속 위인들의 오해를 바로잡는 일부터 시작해서, 고통(통증) 가운데서도 열정을 멈추지 않고 인류 역사에 남을만한 업적을 남긴 천재들의 이야기를 조근조근 풀어놓았다. 병과 함께 사투를 벌인 집요함이 위대한 결과를 만들어내고야 말았던 그들의 말년이 더 빛나고 아름답게 다가왔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천재들은 요절했다.

나고 자란 환경과 역사적 문헌과 시대적 질병, 일기까지 추적하고 주변인들의 증언을 추적한다. 작품 속에서 보여진 병에 대한 정보들까지 모든 근거 자료들을 차근차근 탐구해가며 정확한 병명을 진단할 때까지 사려깊은 전개로 독자들을 마음을 사로잡는다. 그리고 숙연한 마음이 되어 병의 진실을 마주하고 역사속 위대한 그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한다.

나가는 말 284p
천재들의 사소함에 주목했고 사소함을 관찰해 병을 진단해 냈다. ··· 진단은 사소함에 주목하는 시선이다. 이 시선에는 원인을 밝히겠다는 철저함과 환자를 대하는 따뜻함이 함께 한다. 

- 세종, 조선 최고의 리더는 왜 말타기를 싫어했을까?
- 가우디, 천상의 건축가는 왜 하필 해골 집을 지었을까?
- 도스토옙스키, 세계적인 대문호가 도박꾼이 된 사연은?
- 니체, 실존 철학의 선구자는 어쩌다 정신 병원에 입원했을까?
- 퀴리, 노벨상 2회 수상 과학자는 방사능의 위험을 몰랐을까?

별로 궁금하지 않았던 이야기였고 몰라도 되는 이야기였는데 읽다보니 가슴이 뭉클해진다. 지금은 잘 알려진 질병들이지만 당시로서는 알 수가 없어서 사람들에게 빈축을 사거나 미쳤다는 얘기를 들으며 그 모진 수모를 감당해내었던 위인들의 정신력은 얼마나 강한지. 아니 사람들의 평가에 신경 쓸 만한 여백도 없이, 역사에 한 획을 긋는 그 한 가지 일에 몰입해 살았던 천재들의 삶이 가여웠다.

사람들의 행동에는 저마다의 이유가 있다. 이 책에서 밝히는 것처럼 질병에 의한 것일수도 있고 어릴 적 트라우마 때문일수도 있다. 환경 때문일수도 있고 관계 때문일 수도 있으며 교묘한 의도 때문일 수도 있다. 누군가의 행동을 보고 재빨리 판단하기 전에 한번쯤은 원인과 의도를 짚어보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 질병 때문에 오해했던 천재들의 비루한 삶을 이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지금의 내 모습도 가끔은 자세히 살펴볼 여유가 있었으면 좋겠다. 삶의 방향을 잃지 않도록 나침반을 자주 만지작거려야겠다. 내가 지금 무슨 일에 몰두하고 있는지, 내 감정은 무엇에 휘둘리고 있는지, 나를 만들고 행동하게 하는 것은 어떤 것들인지 짚어가며 살아야겠다.

모네와 모차르트와 밥말리, 로트레크, 니체 등 숨겨진 재미난 이야기들이 책 안에 많다. 책을 읽어보면 역사속 천재들을 재평가할 수 있는 흥미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가우디의 작품과 습관, 스페인산 포도주 등을 통해 그가 어떤 질병을 앓았는지를 추리한 소고(小考) 하나에서 시작한 책이 이토록 우리의 시선을 더 깊고 넓게 만들어주다니 지은이 이지환에게 기립박수를 보내며 브라보를 외친다.

*해당 도서는 '부키' 출판사로부터 도서지원을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