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처럼 쓰는 법 - 나의 일상을 짧지만 감각적으로
재클린 서스킨 지음, 지소강 옮김 / 인디고(글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쓰기에 관한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시가 뭔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이 저자의 어머니처럼 나도 '늘 시는 어려운 것'이라는 선입견에 사로잡혀 있었던 건 아닐까 한다. 문학 작품을 비롯한 모든 예술작품은 작가의 일은 그 작품을 완성하는 것에서 끝나고, 그 뒤 해석과 이해는 모두 독자의 몫이라고 한다. 실제로 나는 이 말을 참 좋아하는 데 말이다. 결국 시도 마찬가지이다. 시인이 시를 써서 발표를 하고 나면, "이렇게 이해해주세요,"하며 강요할 수는 없는 것이다. 결국 독자가 받아들이는 대로 시를 이해하면 되는 것이라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서 다시 한번 되새겨본다. 최근에서야 시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지만, 결국 모든 시인들이 시를 쓰는 법에 대해 이야기 해주는 것은 원리는 같다. 자신을 둘러싼 모든 환경에, 사람에 심지어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라는 것. 그 관심으로부터 나오는 표현들을 쓰라는 것이다. 멋들어지게 쓸 필요도 없다. 시 자체가 주는 해방감과 성취감을 즐기면 되는 것이다.

음...특히나 이 책은 혼자서도 써 볼 수 있도록 팁과 주제를 던져 준다.

다 봤으니까, 나도 한번 써봐야겠다.


나처럼 시가 어려운 사람,

최근 SNS를 시작했는데 글을 쓰는 것이 어려운 사람,

시를 써보고 싶은데 어떻게 시작해야할 지 감이 안 오는 사람,

사는 것이 힘들어서 고통스러운 사람,

반면 사는 것이 너무 행복한 데 지금을 표현하고 싶은 사람,

내 삶이 너무 무미건조하다고 느끼는 사람



이런 분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그리고 이 책을 보게 된다면, 꼭 시를 직접 써보기를 권해본다.

응축된 언어로 소통하는 이 모든 행위들이 시와 맞닿아 있다.

- P10

관찰하는 습관은 사소한 대상에 호기심의 불을 붙이고, 찰나를 포착해 글로 남길 수 있게 도와준다.

- P12

경외감은 호기심을 잃지 않는 마음이다.

- P24

내 목소리의 굴절과 운율을 들을 때 사람들이 시의 잔상을 더 오래 간직할뿐만 아니라 내 목소리와 함께 전달되는 모든 것이 글 자체만큼이나 많은 것을 말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P85

시는 찬미의 한 형태이다.

- P1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