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터에서
김훈 지음 / 해냄 / 2017년 2월
평점 :
김훈 - 공터에서
삶은 언제나 치열하다. 방식과 그 형태만 다를 뿐 모든이의 삶은 치열하다. 그 치열함이 내면적으로 이루어질때도 있지만, 역사와 맞물리면서 개인이 발버둥치는 상황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 역사를 보고, 역사 속의 작은 개인들을 생각하면 그러하다. 김훈의 소설은 그러하다. 작은 개인을 내세워 삶이라는 거대한 전장에 내던진다. 전장 속에서 김훈 소설 등장인물들은
"나의 등장인물들은 늘 영웅적이지 못한다. 그들은 머뭇거리고, 두리번거리고, 죄 없이 쫒겨 다닌다. 나는 이 남루한 사람들의 슬픔과 고통에 대해서 말하고 싶었다."
김훈 /작가의 말/ 에서 가져왔다. 김훈은 아버지에게 들었던 말들을 이 책에 재구성 하였다. 그는 떨쳐낼 수 없다고 했다. 이유를 모른다고 했다. 소설 속 주요인물 들인 '마씨집안' 그들도 알 수 없는 것들은 떨쳐낼 수 없고 이유도 몰라했다. 그저 죽지 못해서 살아나가는 인물들로 보였다.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자기에게 주어진 삶의 굴레에서 적극적으로 도망치는 인물들이 있고, 삶을 받아들여 천천히 나아가는 인물도 있다. 나는 그들을 보면서 이문열의 소설에 한 구절이 떠올랐다.
"갈매기가 날기를 포기했을 때 그것은 이미 갈매긱 아니고, 존재가 그 지속의 의미를 버렸을 때, 그것은 이미 존재가 아니다. 받은 잔은 마땅히 참고 비워야 한다. 절망은 존재의 끝이 아니라, 그 진정한 출발이다." - 젊은날의 초상 中
그렇다. 우리는 삶에서 도망갈 수 없다. 좌절의 끝에서 우리는 다시 시작한다. 소설에서 많은 인물들이 탄탄대로를 걷지 않는다. 돌부리가 많은 길을 간다. 만약 교훈을 위해서, 역사지식을 위해서 이 책을 찾는다면 다른 책을 살피는게 좋겠다. 이 책은 씁쓸하다. 그래서 그런지 속이 비어있다. 채워져 있지 않은 소설에서 사실 나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했다. 소설을 다 읽고 평점을 메기러 알라딘 들어갔었다. 거기서 김훈을 여성혐오 작가로 비난하는 글들이 많았다. 전에 '페미니즘'을 나쁜 사조로 말하고 여성을 비하하는 인터뷰를 했다고 들었다. 몰매를 맞은 후 그는 해명을 했다. 대충
" 여성을 이해할 수 없어서 신비스러운 존재로 말하려다가 말실수 어쩌고저쩌고
이다. 실제로 많은 독자들이 그의 소설에서 여성은 구석에 있다고 했다. 일단 모든것을 제쳐놓고 이 소설에서 논란이 된 부분에 개인적인 의견을 적어 보겠다.
" 아이가 남편의 등에서 오줌을 쌌다. 남편이 처네를 풀었다. 이도순은 보따리에서 기저귀를 꺼냈다. 딸아이의 작은 성기가 추위에 오므라져 있었는데 그 안쪽은 따스해 보였다. 거기가 따뜻하므로 거기가 가장 추울 것이다."
김훈은 육체 표현을 많이 한다. 그래서 불편한 부분도 있다. 왜냐하면 육체는 지극히 개인적이므로 그것을 자세히, 그것도 무미건조하게 묘사하는 것은 개인간의 일정거리를 넘어서는 '부담스러운'상황을 연출하게 한다. 위에 문장은 충분히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다. 김훈의 단편소설 '화장'에서도 여사원에 입을 '질'속 같다고 표현한 적 있다. 김훈의 문체 스타일, 그가 평소 표현하고 고민하는 것들을 생각해보면 위에 문장은 또 충분히 수긍할만 하다고 생각한다. 소설 '칼의 노래'에서도 여자 성기가 묘사되고 하는데 그것은 성인여자다. 하지만 위 문장은 갓난아이를 묘사해서 사람들은 꼭 추위에 대해서 아기의 성기 묘사가 필요 했냐고 따져 물었다.
우리 사회는 지금 페미니즘 정서가 널리 퍼져있다. 억압되었던 여성들이 자기 목소리르 내고 있다. 그 방식이 어떠하든 그들은 차별에 투쟁하고 있다고 말한다. 나는 지금 사회가 아주 예민하게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 사상에는 '극'이 있다. 그 '극'을 잘 캐치해 고쳐 나가야지 페미니즘은 자리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 그리고 박범신의 '은교' 둘 다 논란의 선상에 있었다. 둘 중에 무엇이 문학적으로 뛰어난지는 비교해보지 않겠다. 이 소설들은 우리가 금단시 여기는 부분을 이끌어 냈다. 소설을 어느정도 자서전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비판하고 오로지 예술로 보는 사라들은 인정한다. 우리가 알다시피 표현의 자유와 범죄는 정말 종이 한장 차이다. 그것을 판가름 내는 것은 법조문과 논리일 것이다. 논리가 적용되지 않은 예술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그래서 위대한 작가는 추앙 받는다. 또 다른 사건은 아이유 제제사건이다. 아이유는 제제를 섹시하다고 말했따. 지금도 인터넷에 관련 자료를 뒤져보면 논쟁을 하고 있다.
내가 이렇게 사족을 붙이는 이유는 이 문제가 그만큼 어렵다는 얘기이다. 김훈의 갓난아이 성기 표현은 '정말 김훈이니깐' 했던 표현이다. 그가 만약 인터뷰만 조심스럽게 했다면 그냥 넘어갈 수 도 있었다고 본다. 모든 말에는 책임이 뒤따른다. 나는 사실 김훈의 여성혐오를 하는거 같지 않다. 소설 '공터에서' 나오는 남자인물들은 다들 약해 빠졋다. 말 그대로 '루저'들이다. 그러나 주인공의 아내는 언제나 남편을 감싸 안아준다. 오히려 그 넓은 품에 작은 짐승(남자)이 안겨있는 것이 보였다. 또 생계에 최전선에서 주인공을 먹여 살렸다. 나는 그래서 김훈을 여성혐오 작가라고 단정 짓는건 어렵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