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허버트 단편 걸작선 1962-1985 - 생명의 씨앗 프랭크 허버트 단편 걸작선
프랭크 허버트 지음, 유혜인 옮김 / 황금가지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의 가장 큰 매력 인간됨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이다."


뒤표지에 적혀있는 허버트의 글귀다. SF를 읽는 이유가 뭘까? 이 물음은 더 나아가 문학의 의미까지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문학 의의는 시대에 따라 변했다. 근대 시기에는 계몽과 선전의 역할을 맡았고, 군사독재 시기에는 자유를 속삭였다. 그렇다면, 현대에는 어떨까? 이제 거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문학은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개인적인 얘기, 소소한 얘기를 다루는 문학이 많아졌다. 개인으로 초점이 맞춰진 문학은 좋은 점도 있지만, 지나치게 내부로 매몰되는 경우도 보이는 것 같다. 외부로 열기가 빠지지 않으면 곪아서 염증이 생길 뿐이다.


다시 돌아가서, 그렇다면 SF는 어떨까? 본인이 생각하기에 거대한 이야기 속 '개인'을 그려내는 것이 SF소설의 묘미인 것 같다. 거대한 이야기란 SF소설의 주요 장치 '과학적 요소'라 본다. 과학은 세세하지만, 결국 인류로 펼쳐진다. 최근 <삼체>를 읽었다.

조만간 넷플릭스에서 <삼체> 드라마가 개봉된다. 세세하게 말하면 스포일러이기 때문에 간단히 말하겠다. <삼체> 속에 등장하는 인류는 하나의 '개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류는 하나의 개인이 아니라, 거대한 집단이다. 프랭크가 말했듯이 SF는 거대한 이야기 속에서 '인간됨'을 보여준다.


표제작 <생명의 씨앗> 고향 지구를 떠나 다른 행성에 정착한 '지구인' 이야기다. 행성에 도착한 지구인들은 3년이 지났지만, 제대로 식민지화하지 못했다. 지구에서 가져온 자원은 바닥이 났고, 사람들은 병들고 있다. 이곳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지구'기준으로 달갑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다. 꿈도 희망도 없는 얘기 같지만 마지막에 인간의 의지로 보여줬다.


"크로다는 호나다의 손을 잡고 다시 평원을 가로지르는 길로 이끌었다. 나란히 걸으며 크로다가 말했다. '이곳에 이름을 붙여야 해요.'

'당신이 돌아온 후에요.' 호나다가 말했다."


때론 직접적인 표현보다 간접적인 표현이 큰 울림을 줄 때가 있다.


최근 <듄 PART2>가 개봉했다. 원작에서 생략된 얘기가 많았지만, 충분히 원작을 잘 담아냈다고 생각한다. 주인공 '폴'은 고뇌에 빠진다. 프랭크의 말마따나 인간됨을 생각하는 것일까? 수록작 <듄으로 가는 길>은 하나의 안내서다. 삽입되어 있는 일러스트는 '듄'에 방문한 관광객 입장을 느끼게 해준다.


<프랭크 허버트 단편 걸작선 1962~1985>는 충분히 읽을 만하다. 듄의 유일한 단편집이 수록됐다는 점도 있지만, <원시인>, <생명의 씨앗>, <존재의 기계>, <GM 효과> 등 프랭크 허버트의 세계관을 잘 담아낸 수록작들을 읽을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프랭크 허버트의 두꺼운 <듄> 읽기가 망설여진다면, 이번 '황금가지'에서 출판된 <프랭크 허버트 단편 걸작선>을 먼저 접해보는 게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