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회사, 기쁨과 희망의 여정
김선필 지음 / 눌민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나는 천주교 신자다. 어릴 때 친구들 따라 교회를 전전하다 일곱 살 때 성당에 정착했다. 그 후로 40년 동안 천주교 신자로 살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내 신심이 깊은 건 아니다. 물론 젊은 날 많은 시간을 교회 사목에 투신하며 그 분 가까이에 머물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삶이 퍽퍽할 때는 신앙에서 멀어지기도 했다. ‘먹고 사니즘’이 중요한 상황에서 삶을 지키기 위한 선택이었다. 신앙인이 된다고 해서 신심이 기하급수적으로 치솟지 않는다. 마치 인생에 생기는 여러 굴곡처럼 심신이 올라갈 때도 있고 바닥을 칠 때도 있고, 바닥을 뚫고 지하로 내려가는 때도 있다. 그래서 내 신앙 그래프는 수많은 곡선들로 이뤄져 있다.
*
교회의 모습도 이와 닮아있다. 신자들을 위해서 목숨을 바친 선교사들이 있었을 때도 있었고, 교회를 지킨다는 명목으로 세상의 어둠을 외면한 때도 있었다. 그래서 교회의 그래프도 올라갔다 내려갔다하는 곡선을 갖고 있다. 교회라고해서 처음부터 지금까지 하늘을 향해 쫙- 치솟는 그래프를 그리지는 않았다는 얘기다.
*
이런 생각이 명확해 진 것은 최근에 읽은 《한국 천주교회사, 기쁨과 희망의 여정》(김선필, 눌민, 2021) 덕분이다. 300페이지가 넘는 책 속에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는데, 시선이 좀 남다르다. 그동안 한국천주교회사에 관한 책을 여러 권 읽었다. 조선시대 때 한국에 왔던 선교사들의 편지를 읽기 위함이었다. 교회의 역사를 알아야 그들의 편지를 제대로 읽어낼 수 있을 것 같아 관련 책들을 더러 읽었는데, 이 책은 그동안 내가 읽은 책들과 조금 다른 결을 갖는다. 그것은 저자가 살아온 삶의 여정이 남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
저자 김선필은 ‘집안 대대로 내려오던 천주교 신앙을 이어받아 사제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입학했지만 결국 평신도의 삶을 선택’했다. 광주와 수원 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을 배웠고, 제주도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한국 천주교회를 중심으로 종교사회학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니까 이 책은 신학을 배우고 사회학을 공부한 ‘사회학자가 한국교회를 사회학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책’인 것이다.
*
이 책을 읽기로 결심한 건 목차에서 발견한 ‘황사영’이라는 이름 때문이었다. 정조 승하 후 순조가 즉위하고 정순왕후가 대리청정을 시작하면서 천주교에 대한 대대적인 박해가 일어났다. 황사영은 조선의 실상을 북경의 주교에게 알리기 위해 베론으로 숨어들어 토굴에서 편지를 쓰기 시작한다. 하얀 명주천 위에는 조선에서 순교한 사람들의 이름과 조선의 현실, 서양의 큰 배를 보내 죽어가는 신자들을 구해달라는 청원이 기록되었다. 그러나 이 편지는 북경에 전해지기 전에 조선에서 발각되었다. 이 일로 황사영은 능지처참(팔 다리, 어깨 가슴 등을 각각 벤 후, 심장을 찌른 뒤 머리를 잘라내는 형벌)당하고, 가족들은 거제도와 제주도, 추자도로 흩어져 살아야했다.
*
교회 안은 물론 교회 밖에서도 황사영에 대한 시선은 엇갈린다. 그가 교회를 위해 일하다 죽은 ‘순교자’라는 시선과 나를 팔아먹으려 한 ‘매국노’라는 시선이 존재하는 것이다. 황사영에 대해 김선필은 이렇게 말한다.
*
“황사영은 교회의 입장에 충실했던 신앙인이자, 순교자였습니다. 또한 자신과 동료들의 생명을 보호하고 신앙의 자유를 찾고자 노력했던 인권운동가였습니다. 반면 나라를 중요시하는 시각에서 보면 황사영은 개인의 이익을 나라보다 우선시한 배신자일 수 있습니다. 황사영이라는 다면적인 인물을 한쪽으로 바라보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황사영의 공과(功過)를 함께 이야기할 수 있을 때, 그가 처했던 상황과 고뇌, 그리고 당시 교회와 한국 사회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36)
*
황사영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교회를 바라보는 시선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한국 교회가 시작된 1784년부터 지금까지 교회가 걸어온 발자취를 ‘맹인모상(장님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뜻으로, 맹인이 코끼리를 만진 후 자신이 만지고 느낀 코끼리가 진짜 코끼리라고 말하는 것을 비유)’처럼 일부만을 보지 말고 전체를 보자고 제안하는 것이다.
*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양한 시선으로 교회의 역사를 짚어간다. 교회가 빛과 그림자로 존재했던 시간들을 여러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고 그 이유를 제시한다. 덕분에 나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 협력했다는 오명을 가진 교회를 조금 이해할 수 있었다. (저자는 일제강점기 때 교회가 때로는 침묵하고 때로는 일본에 협조한 이유에 대해 오랜 시간 박해를 받다 이제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교회가 또 다시 박해를 받고 무너질 것을 우려해 교회를 지켜내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최소한의 선택이었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고 그때의 교회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나라가 망하고 백성이 핍박받는데 교회가 혼자 살아남는 게 무슨 의미냐고 하던 내가 ‘교회 입장’을 ‘생각’해 보게 됐다는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내게는 큰 변화다.) 뿐만 아니라 근대 이후, 교회가 우리나라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다. (지학순 주교 사건을 비롯해 김수환 추기경님의 행보들이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 볼 수 있다.)
*
고개를 끄덕이고 밑줄을 치며 읽은 《한국 천주교회사, 기쁨과 희망의 여정》에는 실로 거대한 자료들의 등장한다. 한국천주교회 초창기 자료는 물론, 교황의 사목교서, 공의회 자료, 단행본, 신문기사, 수많은 연구자들의 논문까지! 저자는 8년 동안 이 자료들을 보고 또 보며 한국천주교회가 앞으로 나가야 할 ‘기쁨과 희망의 여정’에 대한 글을 썼다. 한 사람의 역사를 추적하는 일도 엄청난 에너지가 드는 일인데, 한국천주교회의 200년 역사를 톺아보는 일은 얼마나 고단한 여정이었을까! 고단했으나 분명 기쁨의 여정이었을 시간을 건너 교회에 대해 다양한 시선을 제시한 저자에게 존경의 박수를 보낸다.
*
마지막으로 한 가지만 덧붙이겠다. 이 책을 읽으면 교회뿐 만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깊어질 것이라고. 세상에 빛과 그림자가 존재하는 이유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될 것이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