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지구에서 인류가 사라지면?

오랜만에 '한겨레21' 사이트에 들어갔다가 눈에 띈 칼럼을 옮겨온다 제목이 '지구에서 인류가 사라지면?'이니까 '로자의 방주'라는 카테고리에 딱 맞는 테마이기도 하다. 필자는 저명한 과학칼럼니스트 김동광씨이다. 예전에 교양과학서 전문번역집단이었던 과학세대의 리더격으로 활동하기도 했는데, 요즘은 저술에도 주력하고 있는 듯하다(그와 함께 과학 저술가로서 기억해둘 만한 이름은 이인식씨이다). 그가 번역한 책들을 검색해보니 내가 갖고 있는 것만 해도 상당한 수에 달한다. 특히 눈에 띄는 건 스티븐 제이 굴드나 스티븐 호킹의 책들이다. 국내에서도 굴드급의 과학 저술가가 나오기를 은근히 기대해본다(강조는 나의 것이다).

 

 

 

 

한겨레21(06. 10. 24) 지구에서 인류가 사라지면?

진화생물학자들은 생물의 기나긴 진화 과정에서 인류가 차지하는 위치를 밝혀내려고 노력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생물의 진화 과정을 인간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데 익숙했고, 단세포 생물에서 영장류에 이르는 과정을 일직선이나 계단처럼 매끄럽게 이어지는 단일한 경로로 간주하곤 했다. 인류의 탄생이 지극히 우연적인 과정일 수 있다는 생각이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생물 총회’가 열리면 인간은 퇴출 대상

그런데 인류가 등장한 세상은 그 이전에 견줘 너무나 크게 변화했다. 이제 인류가 등장하기 이전의 세계를 상상하기 힘들 정도이다.


△ 인간들이 생태계 깊숙이 들어가면서 자연의 자리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의 해안에서 하마 떼가 떠내려가고 있다.(사진/ REUTERS)

그 변화는 대부분 부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됐다. 일부 추정에 따르면 인류는 자연이 만들어내는 생산성의 약 40%를 무단으로 징발해서 오로지 자신의 목적을 위해 사용한다고 한다. 상당 부분이 먹고사는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른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우리가 누리고 있는 문화적 생활을 위해 들어가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와 물자들이 차지하고 있다. 그로 인해 불과 100여 년 전과 비교할 수도 없는 엄청난 양의 쓰레기를 쏟아낸다. 사람들이 도시를 짓고 농장을 만들면서 전유하고 있는 토지는 지구 전체 면적의 3분의 1에 이른다. 울창하던 숲과 지구의 허파이자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알려진 열대우림도 이제는 간신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오대양의 주요 어장들 중 상당수는 이미 오래전에 어자원이 고갈됐다. 남획과 오염, 그리고 서식지 파괴로 생존 기로에 서 있는 생태계의 다른 구성원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인류는 터무니없는 탐욕과 횡포를 부리고 있는 셈이다.

어디 그뿐인가. 그것으로도 모자라서 인류는 자신들끼리의 다툼으로 시시각각 생물권 전체의 존재 가능성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도박판을 벌이고 있다. 미국과 소련은 냉전 종식 이후 상당량의 핵무기를 해체하면서 핵으로 인한 절멸 가능성을 크게 줄이는 듯했지만 얼마 전부터 파키스탄 등이 다시 핵무장을 하면서 일촉즉발의 위험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더구나 북한과 미국이 핵을 둘러싸고 마주 달리는 폭주족처럼 누가 끝까지 버티느냐를 가리는 ‘겁쟁이 경기’를 벌이면서 자칫 한반도가 재앙의 터전이 될 수도 있는 위기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핵으로 인한 재앙은 생물권 전체의 파국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쯤 되면 유엔이 아니라 생물들의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서 한반도를 둘러싼 위기 고조를 생물권 전체의 위기로 간주하고 시급한 해결책을 논의하는 생물권 임시 총회가 열릴 법도 하다. 거기에서는 사람과 도롱뇽, 귀신고래, 들국화 그리고 미생물까지 모든 생물종이 똑같은 의결권을 가진다고 가정한다면 이런 긴박한 상황에서 과연 어떤 결정이 내려질까? 진화의 역사에서 가장 늦게 무대에 등장해서 가장 빠른 시간 동안 지배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온갖 포악과 전횡을 해대는 골치 아픈 막내둥이를 영원히 퇴출하기로 결론짓지 않겠는가? 사실 그런 결정이 나도 우리로서는 별로 할 말이 없는 셈이다.

인간이 퇴출되어 어느 먼 외계 행성에서 재교육을 받기 위해 강제 송환됐다면, 지구는 어떻게 될까. <뉴사이언티스트> 최근호는 ‘사람이 없는 지구를 상상해보자’라는 특집 기사를 통해 지구에서 어느 날 갑자기 사람이 모두 사라졌을 때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지 예측했다(*이 기사는 아래에 옮겨놓았다). 미국 샌타바버라에 있는 국립생태분석종합센터의 보전생물학자인 존 오록은 사람의 자취가 사라지는 순간 지구의 생태계는 즉각적으로 호전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한다. 가장 먼저 나타나는 변화로 밤하늘에서 인공 조명이 사라지고 칠흑같이 어두운 밤이 돌아오게 된다. 지구 전체의 18.7%가 인공 불빛에 오염됐다지만, 웬만한 도시 지역에서는 별을 보기 힘든 지경이다. 한동안 재생 가능 에너지를 이용하는 자동 전등들이 빛을 내더라도, 유지·관리가 되지 않기에 지구의 밤에서 문명의 불빛이 사라지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원전의 방사능 누출도 빨리 복원돼

건물들과 도로는 어떻게 될까? 오늘날의 건물은 약 60년, 교량은 120년, 댐은 250년가량 견딜 수 있게 설계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 수치는 누군가가 유지·관리를 하고 벌어진 틈을 메워주는 등 수리와 보수를 해줄 때 지속될 수 있고, 아무도 돌보지 않으면 훨씬 빨리 무너진다. 체르노빌 사고로 사람들이 철수한 프리프야트시가 실례이다. 올해로 체르노빌 사고가 일어난 지 꼭 20년이 된 이 도시의 건물들은 이미 붕괴가 진행 중이다. 그리고 태풍,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입는 손상이 누적되면서 훨씬 빨리 폐허로 변할 수 있다. 그렇지만 건물이나 도로의 잔해들, 특히 콘크리트와 돌로 된 구조물의 일부는 수천 년 동안 남아 있을 것이다.


△ 지구촌의 약 19%가 인공 불빛에 오염됐다. 거대 건축물이 즐비한 이 지역은 인간이 사라진 상태에션 느리게 복구 될 수 밖에 없다(사진/ 한겨레 이정아 기자)

현재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소는 어떻게 될까? 핵폐기물 관리 전문가인 로드니 윙은 원자력발전소를 유지·관리하던 사람들이 순간적으로 사라지면 냉각수가 증발하고 결굴 원자로가 녹아내리는 참사가 빚어질 것이라고 말한다. 그로 인해 엄청난 양의 방사능이 누출된다. 그렇지만 자연의 복원력은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강하다고 한다. 체르노빌의 경우에도 사람들이 철수한 뒤, 몇 년 만에 생태계가 복원되기 시작해서 현재는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늑대까지 번성하고 있다.

생태계의 복원 속도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온난하고 습윤한 지역은 추운 지역에 비해 복원이 빠르게 진행된다. 사람의 토지 이용을 연구하는 생태학자 브래드 스텔폭스가 캐나다 지역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숲은 약 50년이 지나면 전 지역의 80%를 덮고, 200년 뒤에는 95%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면 벼나 밀처럼 단일 품종이 경작되던 지역이 자연 상태로 돌아가기까지는 수세기가 걸릴 것이라고 한다. 보전생태학자들은 일부 지역의 경우 사람이 사라져도 원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말한다.

가축이나 애완동물의 운명은? 일부는 그 선조였던 야생동물의 상태로 돌아가겠지만, 오랜 세월에 걸친 인위 선택의 결과로 스스로 먹이를 찾거나 번식한 능력을 상실한 동물들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미국 환경보호국의 제이 라이히맨은 “사람이 사라진 들판에 푸들이 떼를 지어 달릴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묻고는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한다. 그러면 유전자조작(GM) 작물들은 어떻게 될까? 일부는 야생종으로 살아남겠지만, 제초제 내성을 갖도록 조작된 식물들은 제초제가 없는 상황에서 경쟁종에 비해 유리할 것이 없기 때문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사람이 사라지면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동물들이 다시 번성할 수 있을까? 서식지 파괴가 멸종의 큰 원인이기 때문에 상황이 나아질 수 있지만, 일부 종은 이미 개체 수가 더 이상 복원될 수 없는 정도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크게 상황이 나아지기 힘들 전망이다. 그리고 사람들의 보호를 받으면서 명맥을 유지하던 멸종위기종 가운데 상당수는 사람이 사라지면서 더 빨리 자취를 감출 수도 있다. 그 원죄는 인간에게 있지만 사람들을 그리워할 생물종은 이들이 유일한 셈이다.

대기과학자인 수잔 솔로몬은 화석연료 사용 등으로 대기 중에 방출된 이산화탄소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1천 년 이상 계속되고, 남아 있는 과잉의 이산화탄소를 바다가 모두 흡수하기까지는 2만 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모든 요소들을 종합해서 지구상에서 인류가 남겼던 자취가 완전히 사라지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략 10만 년으로 예측된다. 먼 외계의 방문자가 지구를 찾아와 겉으로만 훑어본다면 어떤 문명의 흔적도 찾지 못할 것이다.

기후변화, 핵전쟁보다 무섭다

영원히 계속될 것처럼 생각되는 인류 문명이 사라지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지배적인 종으로 군림하던 인간이 하루아침에 사라져도 지구와 생물권이 운행되는 데 아무런 문제도 없다. 오히려 피폐해지던 생태계는 즉각 복원 작업을 시작하고, 그 누구도 인간을 그리워하지 않을 것이다. 생태학자들은 핵전쟁보다 더 심각한 위기가 갑작스런 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생태계의 교란이라고 주장한다. 요즘 한반도는 들어보지도 못한 가을 더위에 시달리고 있다. 핵위기에 떠밀려 하찮은 현상으로 치부되지만, 어쩌면 우리를 더 낯선 상황으로 몰아갈 전조일지도 모르지 않은가.(김동광 과학저술가·고려대 강사)

Cover of  issue of New Scientist magazine 

Imagine Earth without people

  • Bob Holmes
  • Humans are undoubtedly the most dominant species the Earth has ever known. In just a few thousand years we have swallowed up more than a third of the planet's land for our cities, farmland and pastures. By some estimates, we now commandeer 40 per cent of all its productivity. And we're leaving quite a mess behind: ploughed-up prairies, razed forests, drained aquifers, nuclear waste, chemical pollution, invasive species, mass extinctions and now the looming spectre of climate change. If they could, the other species we share Earth with would surely vote us off the planet.

    15,589 Number of species threatened with extinction

    Now just suppose they got their wish. Imagine that all the people on Earth - all 6.5 billion of us and counting - could be spirited away tomorrow, transported to a re-education camp in a far-off galaxy. (Let's not invoke the mother of all plagues to wipe us out, if only to avoid complications from all the corpses). Left once more to its own devices, Nature would begin to reclaim the planet, as fields and pastures reverted to prairies and forest, the air and water cleansed themselves of pollutants, and roads and cities crumbled back to dust.

    "The sad truth is, once the humans get out of the picture, the outlook starts to get a lot better," says John Orrock, a conservation biologist at the National Center for Ecological Analysis and Synthesis in Santa Barbara, California. But would the footprint of humanity ever fade away completely, or have we so altered the Earth that even a million years from now a visitor would know that an industrial society once ruled the planet?

    9.7 Average eco-footprint of a US citizen, in hectares

    If tomorrow dawns without humans, even from orbit the change will be evident almost immediately, as the blaze of artificial light that brightens the night begins to wink out. Indeed, there are few better ways to grasp just how utterly we dominate the surface of the Earth than to look at the distribution of artificial illumination (see Graphic). By some estimates, 85 per cent of the night sky above the European Union is light-polluted; in the US it is 62 per cent and in Japan 98.5 per cent. In some countries, including Germany, Austria, Belgium and the Netherlands, there is no longer any night sky untainted by light pollution.

    18.7 Percentage of Earth's surface affected by light pollution

    "Pretty quickly - 24, maybe 48 hours - you'd start to see blackouts because of the lack of fuel added to power stations," says Gordon Masterton, president of the UK's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in London. Renewable sources such as wind turbines and solar will keep a few automatic lights burning, but lack of maintenance of the distribution grid will scuttle these in weeks or months. The loss of electricity will also quickly silence water pumps, sewage treatment plants and all the other machinery of modern society.

    The same lack of maintenance will spell an early demise for buildings, roads,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Though modern buildings are typically engineered to last 60 years, bridges 120 years and dams 250, these lifespans assume someone will keep them clean, fix minor leaks and correct problems with foundations. Without people to do these seemingly minor chores, things go downhill quickly.

    The best illustration of this is the city of Pripyat near Chernobyl in Ukraine, which was abandoned after the nuclear disaster 20 years ago and remains deserted. "From a distance, you would still believe that Pripyat is a living city, but the buildings are slowly decaying," says Ronald Chesser, an environmental biologist at Texas Tech University in Lubbock who has worked extensively in the exclusion zone around Chernobyl. "The most pervasive thing you see are plants whose root systems get into the concrete and behind the bricks and into doorframes and so forth, and are rapidly breaking up the structure. You wouldn't think, as you walk around your house every day, that we have a big impact on keeping that from happening, but clearly we do. It's really sobering to see how the plant community invades every nook and cranny of a city."

    With no one to make repairs, every storm, flood and frosty night gnaws away at abandoned buildings, and within a few decades roofs will begin to fall in and buildings collapse. This has already begun to happen in Pripyat. Wood-framed houses and other smaller structures, which are built to laxer standards, will be the first to go. Next down may be the glassy, soaring structures that tend to win acclaim these days. "The elegant suspension bridges, the lightweight forms, these are the kinds of structures that would be more vulnerable," says Masterton. "There's less reserve of strength built into the design, unlike solid masonry buildings and those using arches and vaults."

    But even though buildings will crumble, their ruins - especially those made of stone or concrete - are likely to last thousands of years. "We still have records of civilisations that are 3000 years old," notes Masterton. "For many thousands of years there would still be some signs of the civilisations that we created. It's going to take a long time for a concrete road to disappear. It might be severely crumbling in many places, but it'll take a long time to become invisible."

    The lack of maintenance will have especially dramatic effects at the 430 or so nuclear power plants now operating worldwide. Nuclear waste already consigned to long-term storage in air-cooled metal and concrete casks should be fine, since the containers are designed to survive thousands of years of neglect, by which time their radioactivity - mostly in the form of caesium-137 and strontium-90 - will have dropped a thousandfold, says Rodney Ewing, a geologis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who specialises i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ctive reactors will not fare so well. As cooling water evaporates or leaks away, reactor cores are likely to catch fire or melt down, releasing large amounts of radiation. The effects of such releases, however, may be less dire than most people suppose.

    The area around Chernobyl has revealed just how fast nature can bounce back. "I really expected to see a nuclear desert there," says Chesser. "I was quite surprised. When you enter into the exclusion zone, it's a very thriving ecosystem."

    The first few years after people evacuated the zone, rats and house mice flourished, and packs of feral dogs roamed the area despite efforts to exterminate them. But the heyday of these vermin proved to be short-lived, and already the native fauna has begun to take over. Wild boar are 10 to 15 times as common within the Chernobyl exclusion zone as outside it, and big predators are making a spectacular comeback. "I've never seen a wolf in the Ukraine outside the exclusion zone. I've seen many of them inside," says Chesser.

    The same should be true for most other ecosystems once people disappear, though recovery rates will vary. Warmer, moister regions, where ecosystem processes tend to run more quickly in any case, will bounce back more quickly than cooler, more arid ones. Not surprisingly, areas still rich in native species will recover faster than more severely altered systems. In the boreal forests of northern Alberta, Canada, for example, human impact mostly consists of access roads, pipelines, andother narrow strips cut through the forest. In the absence of human activity, the forest will close over 80 per cent of these within 50 years, and all but 5 per cent within 200, according to simulations by Brad Stelfox, an independent land-use ecologist based in Bragg Creek, Alberta.

    In contrast, places where native forests have been replaced by plantations of a single tree species may take several generations of trees - several centuries - to work their way back to a natural state. The vast expanses of rice, wheat and maize that cover the world's grain belts may also take quite some time to revert to mostly native species.

    At the extreme, some ecosystems may never return to the way they were before humans interfered, because they have become locked into a new "stable state" that resists returning to the original. In Hawaii, for example, introduced grasses now generate frequent wildfires that would prevent native forests from re-establishing themselves even if given free rein, says David Wilcove, a conservation biologist at Princeton University.

    Feral descendants of domestic animals and plants, too, are likely to become permanent additions in many ecosystems, just as wild horses and feral pigs already have in some places. Highly domesticated species such as cattle, dogs and wheat, the products of centuries of artificial selection and inbreeding, will probably evolve back towards hardier, less specialised forms through random breeding. "If man disappears tomorrow, do you expect to see herds of poodles roaming the plains?" asks Chesser. Almost certainly not - but hardy mongrels will probably do just fine. Even cattle and other livestock, bred for meat or milk rather than hardiness, are likely to persist, though in much fewer numbers than today.

    3.3bn Global population of cattle, sheep and goats

    What about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 August, Jay Reichman and colleagues at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 labs in Corvallis, Oregon, reported that a GM version of a perennial called creeping bentgrass had established itself in the wild after escaping from an experimental plot in Oregon. Like most GM crops, however, the bentgrass is engineered to be resistant to a pesticide, which comes at a metabolic cost to the organism, so in the absence of spraying it will be at a disadvantage and will probably die out too.

    Nor will our absence mean a reprieve for every species teetering on the brink of extinction. Biologists estimate that habitat loss is pivotal in about 85 per cent of cases where US species become endangered, so most such species will benefit once habitats begin to rebound. However, species in the direst straits may have already passed some critical threshold below which they lack the genetic diversity or the ecological critical mass they need to recover. These "dead species walking" - cheetahs and California condors, for example - are likely to slip away regardless.

    784 Number of species that have gone extinct in the wild since 1500 AD

    Other causes of species becoming endangered may be harder to reverse than habitat loss. For example, about half of all endangered species are in trouble at least partly because of predation or competition from invasive introduced species. Some of these introduced species - house sparrows, for example, which are native to Eurasia but now dominate many cities in North America - will dwindle away once the gardens and bird feeders of suburban civilisation vanish. Others though, such as rabbits in Australia and cheat grass in the American west, do not need human help and will likely be around for the long haul and continue to edge out imperilled native species.

    388 Number of species listed on the invasive species database

    Ironically, a few endangered species - those charismatic enough to have attracted serious help from conservationists - will actually fare worse with people no longer around to protect them. Kirtland's warbler - one of the rarest birds in North America, once down to just a few hundred birds - suffers not only because of habitat loss near its Great Lakes breeding grounds but also thanks to brown-headed cowbirds, which lay their eggs in the warblers' nests and trick them into raising cowbird chicks instead of their own. Thanks to an aggressive programme to trap cowbirds, warbler numbers have rebounded, but once people disappear, the warblers could be in trouble, says Wilcove.

    On the whole, though, a humanless Earth will likely be a safer place for threatened biodiversity. "I would expect the number of species that benefit to significantly exceed the number that suffer, at least globally," Wilcove says.

    On the rebound

    In the oceans, too, fish populations will gradually recover from drastic overfishing. The last time fishing more or less stopped - during the second world war, when few fishing vessels ventured far from port - cod populations in the North Sea skyrocketed. Today, however, populations of cod and other economically important fish have slumped much further than they did in the 1930s, and recovery may take significantly longer than five or so years.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now so few cod and other large predatory fish that they can no longer keep populations of smaller fish such as gurnards in check. Instead, the smaller fish turn the tables and outcompete or eat tiny juvenile cod, thus keeping their erstwhile predators in check. The problem will only get worse in the first few years after fishing ceases, as populations of smaller, faster-breeding fish flourish like weeds in an abandoned field. Eventually, though, in the absence of fishing, enough large predators will reach maturity to restore the normal balance. Such a transition might take anywhere from a few years to a few decades, says Daniel Pauly, a fisheries biologist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n Vancouver.

    With trawlers no longer churning up nutrients from the ocean floor, near-shore ecosystems will return to a relatively nutrient-poor state. This will be most apparent as a drop in the frequency of harmful algal blooms such as the red tides that often plague coastal areas today. Meanwhile, the tall, graceful corals and other bottom-dwelling organisms on deep-water reefs will gradually begin to regrow, restor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ocean-floor habitats that are now largely flattened, featureless wastelands.

    Long before any of this, however - in fact, the instant humans vanish from the Earth - pollutants will cease spewing from automobile tailpipes and the smokestacks and waste outlets of our factories. What happens next will depend on the chemistry of each particular pollutant. A few, such as oxides of nitrogen and sulphur and ozone (the ground-level pollutant, not the protective layer high in the stratosphere), will wash out of the atmosphere in a matter of a few weeks. Others, such as chlorofluorocarbons, dioxins and the pesticide DDT, take longer to break down. Some will last a few decades.

    The excess nitrates and phosphates that can turn lakes and rivers into algae-choked soups will also clear away within a few decades, at least for surface waters. A little excess nitrate may persist for much longer within groundwater, where it is less subject to microbial conversion into atmospheric nitrogen. "Groundwater is the long-term memory in the system," says Kenneth Potter, a hydrologist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Carbon dioxide, the biggest worry in today's world because of its leading role in global warming, will have a more complex fate. Most of the CO2 emitted from burning fossil fuels is eventually absorbed into the ocean. This happens relatively quickly for surface waters - just a few decades - but the ocean depths will take about a thousand years to soak up their full share. Even when that equilibrium has been reached, though, about 15 per cent of the CO2 from burning fossil fuels will remain in the atmosphere, leaving its concentration at about 300 parts per million compared with pre-industrial levels of 280 ppm. "There will be CO2 left in the atmosphere, continuing to influence the climate, more than 1000 years after humans stop emitting it," says Susan Solomon, an atmospheric chemist with the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in Boulder, Colorado. Eventually calcium ions released from sea-bottom sediments will allow the sea to mop up the remaining excess over the next 20, 000 years or so.

    Even if CO2 emissions stop tomorrow, though, global warming will continue for another century, boosting average temperatures by a further few tenths of a degree. Atmospheric scientists call this "committed warming", and it happens because the oceans take so long to warm up compared with the atmosphere. In essence, the oceans are acting as a giant air conditioner, keeping the atmosphere cooler than it would otherwise be for the present level of CO2. Most policy-makers fail to take this committed warming into account, says Gerald Meehl, a climate modeller at the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also in Boulder. "They think if it gets bad enough we'll just put the brakes on, but we can't just stop and expect everything to be OK, because we're already committed to this warming."

    That extra warming we have already ordered lends some uncertainty to the fate of another important greenhouse gas, methane, which produces about 20 per cent of our current global warming. Methane's chemical lifetime in the atmosphere is only about 10 years, so its concentration could rapidly return to pre-industrial levels if emissions cease. The wild card, though, is that there are massive reserves of methane in the form of methane hydrates on the sea floor and frozen into permafrost. Further temperature rises may destabilise these reserves and dump much of the methane into the atmosphere. "We may stop emitting methane ourselves, but we may already have triggered climate change to the point where methane may be released through other processes that we have no control over," says Pieter Tans, an atmospheric scientist at NOAA in Boulder.

    No one knows how close the Earth is to that threshold. "We don't notice it yet in our global measurement network, but there is local evidence that there is some destabilisation going on of permafrost soils, and methane is being released," says Tans. Solomon, on the other hand, sees little evidence that a sharp global threshold is near.

    All things considered, it will only take a few tens of thousands of years at most before almost every trace of our present dominance has vanished completely. Alien visitors coming to Earth 100,000 years hence will find no obvious signs that an advanced civilisation ever lived here.

    Yet if the aliens had good enough scientific tools they could still find a few hints of our presence. For a start, the fossil record would show a mass extinction centred on the present day, including the sudden disappearance of large mammals across North America at the end of the last ice age. A little digging might also turn up intriguing signs of a long-lost intelligent civilisation, such as dense concentrations of skeletons of a large bipedal ape, clearly deliberately buried, some with gold teeth or grave goods such as jewellery.

    And if the visitors chanced across one of today's landfills, they might still find fragments of glass and plastic - and maybe even paper - to bear witness to our presence. "I would virtually guarantee that there would be some," says William Rathje, an archaeologist at Stanford University in California who has excavated many landfills. "The preservation of things is really pretty amazing. We think of artefacts as being so impermanent, but in certain cases things are going to last a long time."

    Ocean sediment cores will show a brief period during which massive amounts of heavy metals such as mercury were deposited, a relic of our fleeting industrial society. The same sediment band will also show a concentration of radioactive isotopes left by reactor meltdowns after our disappearance. The atmosphere will bear traces of a few gases that don't occur in nature, especially perfluorocarbons such as CF4, which have a half-life of tens of thousands of years. Finally a brief, century-long pulse of radio waves will forever radiate out across the galaxy and beyond, proof - for anything that cares and is able to listen - that we once had something to say and a way to say it.

    But these will be flimsy souvenirs, almost pathetic reminders of a civilisation that once thought itself the pinnacle of achievement. Within a few million years, erosion and possibly another ice age or two will have obliterated most of even these faint traces. If another intelligent species ever evolves on the Earth - and that is by no means certain, given how long life flourished before we came along - it may well have no inkling that we were ever here save for a few peculiar fossils and ossified relics. The humbling - and perversely comforting - reality is that the Earth will forget us remarkably quickly.(From issue 2573 of New Scientist magazine, 12 October 2006, page 36-41)

    06. 10.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즈마리 > [퍼온글] 언어철학 관련 책들2

     

    자료 출처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8&eid=GUivX33r4O6jRsDRnHg+QxQ0uvI/fmp4

    아래 글에 이어...네이버에서 퍼왔습니다. 사진은 제가 넣었습니다.

    K. 포퍼, '추측과 논박'(1, 2권)
    - 비엔나 학파를 격침시켰지만, 동시에 후계자로도 여겨지는 포퍼의 저작입니다. 보통 '과학적 발견의 논리'를 꼽지만, 절판된 탓에 이 책을 꼽았습니다. 포퍼의 입장들을 잘 반영한 여러 편의 글들을 싣고 있습니다.
    - 여러 철학적 입장들에 대한 포퍼의 입장이 잘 나타나있고, 그의 입장을 대표하는 반증주의에 대한 설명도 잘 나와 있습니다.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 언어 철학의 두 주류를 형성한 위대한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의 대표적인 후기 저작입니다. '논고'와 달리 요약적이지 않고, 많은 예와 실례를 곁들여 독자와 대화하는 듯한 구성을 취하고 있습니다. 말이 쉽지만, 동시에 어렵기도 하죠.
    - '논고'와 마찬가지로 여러 참고 문헌과 함께 읽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J. 오스틴, '말과 행위'


    - '철학적 탐구'에서 비롯된 언어 철학의 거대한 흐름인 일상 언어 철학을 대표하는 오스틴의 강의록입니다. 총 12개의 강의를 싣고 있으며, 오스틴의 입장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발화행위, 발화수반행위, 발화효과행위 등과 같은 초기 화용론적 견해가 드러나고 있으며, 이는 이후 설에 의해 정교화 됩니다.

    J. R. Searle, 'Speech Acts'
    - 언어 행위론의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오스틴의 입장을 이어받아 정교화 시켰으며, 'Speech Act'(언어 행위)라는 이름으로 체계화시키는 데 큰 공헌을 세웠습니다.

    H. G. Gadamer, 'Truth and Method'
    - 언어 철학자라고 하기는 뭐하지만, 해석학에서의 '언어적 전환'(물론, 하이데거가 선구적이지만)을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가다머의 대표적인 저작입니다. 심리학의 문제로, 혹은 심리학적 방법의 문제로만 여겨지던 이해를 언어의 차원으로 끌어들이는 데 큰 공헌을 세웠습니다.

     


    J. 하버마스, '탈형이상학적 사유'


    - 언어를 전문적으로 연구하지는 않지만, 현대 철학의 언어적 전환을 사회 이론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하버마스의 저작입니다. 하버마스는 오스틴, 설의 언어 행위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날카로운 비판과 더불어) 가다머를 잇는 대표적인 해석학자이기도 합니다.
    - 하버마스의 언어 철학에 대한 태도가 잘 정리되어 있는 글입니다.

     

     


    W. 레제-쉐퍼, '칼 오토 아펠과 현대 철학'
    - K. O. 아펠은 가다머, 하버마스와 함께 해석학의 거두로 꼽히며, 하버마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스승이기도 합니다. 스스로도 밝히고 있듯이, 하버마스의 선험 화용론은 아펠에게 힘입은 바 큽니다. 아펠은 영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언어적 전환을 독일 철학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하버마스에 대해서도 입문서를 쓴 바 있는 저자는, 이 글에서 아펠의 선험 화용론을 중심으로 그의 전반적인 사상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소쉬르, '일반 언어학 강의'
    - 소쉬르는 비트겐슈타인도 그러했듯이 보통의 의미에서 '저서'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 대표적인 저작은 그의 강의를 모아놓은 글이죠. 철학자 비트겐슈타인과 달리 소쉬르는 언어학적 전통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렇지만 양자 사이의 유사성을 꽤 발견할 수 있죠.

     

     

    R. 해리스,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
    - 현대 철학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지만, 서로 간에 어떠한 교류도 없었던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을 다루고 있는 글입니다. 둘 모두 체스 게임과 언어 사이의 유비를 사용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는 점이 특이합니다. 양자 사이의 유사점만큼이나 차이점도 많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저자는 대부분 소쉬르의 손을 들어주고 있습니다.
    - 규칙이나 문법과 같은 주요한 내용을 이해하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W. V. O. 콰인, '논리적 관점에서'
    - 콰인은 프레게-러셀적 전통에서 출발하여 현대 철학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분석철학계의 거장으로 꼽힙니다.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을 많이 수행했고, 철학의 고전적 문제인 분석성, 종합성, 동일성 등에 대한 문제들을 다루었습니다. '존재론적 개입'은 그의 상대주의적인 입장을 나타내는 표어로 등장하지만, 이는 조금 극단적인 해석이긴 하지요. 서로 다른 언어 사이의 번역이 원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번역 불가능성 테제'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 본 저작은 그의 대표 논문들을 모은 것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인용되는 글입니다.

     

    S. 크립키, '이름과 필연'
    - 20세기를 대표하는 천재 철학자로 꼽히는 크립키는 '고정 지시어'라는 개념을 통해 동일성, 필연성, 선험성 등과 같은 고전적인 철학적 개념들로 인해 생겨나는 문제들을 탐구합니다. 필연성, 가능성 등을 다루는 양상 논리학을 대변하고 있기도 하죠.
    - 본 저작은 3회에 걸친 강연을 모은 것으로, 프레게-러셀의 고유명사에 대한 기술 이론을 비판하면서, '고정 지시어' 개념을 통해 필연성과 선험성을 구분하고, 동일성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법을 제시합니다.

     



    R. 로티,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 로티는 언어적 전환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비트겐슈타인, 듀이, 하이데거를 위대한 철학자로 분류합니다. 인간의 사고는 언어에 기반하고 있고, 언어는 기본적으로 관행을 따른다는 점에 기초하여, 우리의 사고는 실재를 그대로 반영하는(혹은 해야 하는)거울과 같다는 이미지를 깨는 데 그의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그는 정신이라는 것이 하나의 허상임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 그는 분석철학적 입장에서 가다머의 해석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대화를 지속시키는 중개자로서의 철학 개념을 구상합니다. '자민족 중심주의'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상대주의자라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죠. 수많은 철학자들의 이름이 종횡무진 나열되고 있어서, 그 현란한 지식을 엿보는 것만으로도 재미를(혹은 반감을) 느낄 수 있을 듯 합니다.

    N. 촘스키, '언어 지식'
    - 촘스키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지만, '생성 문법' 개념을 통해 현대 언어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알고 있습니다. 국내 번역된 촘스키의 저작들은(정치적 에세이를 제외하면) 대개 그의 기본 입장을 잘 드러내고 있는 듯 하며, 이 책 역시 그 중 하나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롭스 & 뭉크 판화전

     

    한국일보(06. 08. 14) 팜므파탈… 치명적인 아름다움 뒤의 풍자

    유럽 역사에서 19세기 말부터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터지기 전까지를 ‘벨 에포크’(Belle Epoqueㆍ아름다운 시절)라고 부른다. 풍요와 퇴폐, 쾌락과 죽음이 우아하게 쌍을 이루던 그 시절 문학과 예술의 최고 인기 품목 중 하나는 팜므 파탈(femme fatalㆍ치명적인 매력으로 남자를 파멸시키는 여자)이다. 이건 남자들의 발명품이다. 19세기 중반 여성해방운동이 일어나면서 여성들이 당당하게 거리를 활보하기 시작하자 그에 대한 경계심이 팜므 파탈로 나타난 것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이 덕수궁미술관에서 열고 있는 ‘롭스와 뭉크’ 판화전의 키워드는 팜므 파탈이다. 19세기 벨기에 판화가 겸 풍자화가 펠리시엥 롭스(1833~1898)와, 그보다 서른 살 아래로 20세기 초 표현주의를 대표하는 노르웨이 작가 에드바르트 뭉크(1863~1944)의 판화 98점을 선보이고 있다.

    두 작가 모두 미술사에서 중요한 인물인데도, 우리나라에 작품이 오기는 처음이다. 뭉크는 매우 유명한데도 그렇고, 롭스는 이름조차 낯설다. 롭스와 뭉크는 세기말 악마주의, 상징주의 그리고 표현주의에 이르는 미술사조의 흐름 속에 있다.

    롭스는 팜므 파탈의 이미지를 빌어 시대와 사회를 풍자했다. 여자, 어리석음, 그리고 죽음이 주도하는 세계를 표현했다. 치부를 드러내고 눈을 가린 채 돼지(성욕의 상징)의 인도를 받으며 위협적일 만큼 당당하게 걸어가는 창녀(‘창부정치가’)나 칼을 숨긴 채 높이 쳐든 손바닥에 남자를 올려놓고 조롱하는 여자(‘꼭두각시를 든 부인’)는 세계를 지배하는 팜므 파탈의 파괴력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는 사탄이 지배하는 악마적 세계, 죽음에 이르는 치명적 유혹, 파멸을 부르는 어리석음을 팜므 파탈과 연결짓고 있다. “여성의 냉혹한 눈짓, 숨기지도 위장하지도 않고 온몸으로 명백하게 드러내는 남성에 대한 적개심 등 롭스는 현대여성의 잔인한 측면을 묘사하는 데 정말 뛰어나다.”(롭스와 교유했던 프랑스인 공쿠르 형제의 평)

    뭉크에게 여자는 사랑스러우면서도 두려운 존재였다. 그의 대표작 ‘마돈나’는 여인의 멍한 눈과 소용돌이치듯 불안하게 흘러내리는 선으로 쾌락의 절정, 곧 죽음을 암시하면서 웅크린 태아와 정충으로 테두리를 장식해 염세적인 공포를 배가하고 있다. 또 다른 작품 ‘흡혈귀’는 고개를 숙인 채 남자의 목에 입술을 갖다 대는 여자의 모습이 마치 피를 빠는 듯한 장면을 연상시킨다.

    피해망상에 가까운 이런 두려움은 병약하고 신경질적이었던 뭉크의 기질 탓이기도 하지만 시대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뭉크 자신은 20, 30대 청년시절을 회고하며 이런 말을 남겼다. “나는 여성 해방의 한복판에서 무상한 시대를 살았다. 남성을 유혹하고, 사로잡고, 기만한 것은 여성이었다. 카르멘의 시대. 이 무상한 시대에 남성은 더 연약한 성(性)이 되었다.”

    뭉크는 어린 시절 어머니와 누이의 잇따른 죽음과 아버지의 우울증 때문에 평생 죽음의 공포와 불안에 시달렸다. 쾌활하고 방자하게 사회 풍자 놀음을 즐긴 롭스와 달리 뭉크는 철저히 자신의 내면으로 파고 들어 인간 실존의 어둠과 고독을 표현했다.

    이번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과 벨기에 트랜스페트롤 재단이 공동으로 기획했으며, 브뤼셀-서울-오슬로 순회전이다. 전시는 10월 22일까지. (02)2022-0600

    오미환 기자

     

    국민일보(06. 08. 14) 19세기말 여성 이미지 들춰보기

    팜므 파탈,그 치명적인 이미지가 난무하던 19세기 말 유럽은 새로운 여성상과 남성상이 극렬하게 대립했다. 이 시기에 유럽에서 활동했던 벨기에의 판화가이자 풍자화가였던 롭스(Felicien Rops,1833∼1898)와 표현주의의 대표작가 뭉크(Edvard Munch,1863∼1944)는 정치적,사회적 해방을 요구하는 여성에 대한 경계심을 작품에 반영했다.

    국립현대미술관(관장 김윤수)은 이들의 판화작품을 모은 ‘롭스와 뭉크:남자와 여자’ 전을 지난 11일 개막했다. 한국에는 처음 소개되는 두 작가의 작품은 비슷하면서도 사뭇 다르다. 롭스가 사회를 풍자하면서 시대를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인 작가라면,뭉크는 자신의 감성을 철저히 파고들어 객관화시킨 작가이다. 롭스의 작품들은 ‘풍자의 손’으로 관람객의 눈길을 잡아 당기지만 뭉크의 작품은 시간이 멈춰버린 듯 정적이다.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작가는 세대를 이은 상징주의적 표현과 ‘팜므 파탈’이라는 여성관을 가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단 롭스는 세기말 사회에 대한 영향으로,뭉크는 개인적인 경험으로 형성된 여성관이란 차이점이 있다.

    롭스의 어린시절이야기는 그다지 많이 알려지지 않다. 가정교사를 두고 교육을 받은 덕에 자유로운 유년기를 보냈고 브뤼셀 대학교에 들어가 학교 수업보다는 주간지의 삽화가로 시간을 많이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보들레르의 대표시집 ‘악의 꽃’에 삽화를 그렸던 그는 ‘악마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팜므 파탈의 이미지를 통해 사회를 풍자하고 해악함으로써 시대정신에 입각한 새로운 작품들을 생산해냈다. 대표작 ‘창부정치가’는 벌거벗은 창녀가 눈을 가린 채 돼지의 인도를 받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가릴 곳은 가리지 않고,반대로 드러낼 곳은 모두 가린 묘사로 여인의 누드를 강조해 사악함을 드러낸다. ‘꼭두각시를 든 부인’은 칼을 숨긴 채 꼭두각시를 치켜들고 있는 여자를 묘사해 여자는 남자를 파멸시키는데 그치지않고 사회 전체를 위협하는 악마적인 존재로 그렸다. 이번에 그의 61점의 작품이 전시됐다.

    노르웨이 출신의 화가로서 국내에 많이 알려진 뭉크는 불행한 어린시절을 보냈다. 아버지의 우울한 성격,다섯 살 때 겪은 어머니의 죽음,병약한 자신의 건강,두 살 위의 누나의 죽음 등으로 죽음의 공포와 불안은 평생 동안 그를 사로잡았다. 그러나 이런 병적인 상태는 오히려 수많은 걸작을 생산해내는 밑바탕이 되었다.

    대표작 ‘마돈나’는 역동적인 곡선과 함께 여자의 황홀한 표정이 잘 드러난다. 뭉크에게 마돈나는 사랑의 상징이자 죽음에 이르게 하는 팜므 파탈의 여성으로 대변된다. 뭉크는 유화에서부터 판화에 이르기까지 사랑,불안,죽음에 이르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예술작품으로 승화해 표현주의라는 거대한 시대의 물결을 이끌었다.

    이번 전시에 그 유명한 ‘절규’는 오지 못했지만 ‘마돈나’와 어린시절 죽은 누나의 옆모습을 그린 ‘병든아이’,10대 소녀의 공포감을 나타낸 ‘사춘기’ 등 주요작품 37점이 전시됐다.

    한편 ‘롭스와 뭉크:남자와 여자’ 전은 벨기에 크랜스페트롤 재단이 14개 소장처의 작품을 모아 기획한 전시로 10월 22일까지 계속된다.

    이지현 기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물만두 > 아가사 크리스티 어떻게 볼 것인가?

    * 명탐정 포아로가 등장하는 작품

    포아로&헤이스팅즈, 포와로&올리버부인&배틀총경, 포와로&올리버부인 그리고 포아로 단독으로 등장하는 작품들로 나누었다. 참고해서 취향에 맞게 보시길.

    순서는 연대순이며 해문의 출판과는 무관하다.

     

        

     

    7. 스타일즈 저택의 죽음 (The Mysterious Affair at Styles) 1920 포아로&헤이스팅즈 

    16. 엔드하우스의 비극 (Peril at End House) 1932 포와로&헤이스팅즈

    44. 빅포 (The Big Four) 1927 포와로&헤이스팅즈

    22. 13인의 만찬 (13 at Dinner) 1933 포와로&헤이스팅즈

    6. ABC 살인 사건 (The ABC Murders) 1935 포와로&헤이스팅즈

     

      

     

    45. 벙어리 목격자 (Dumb Witness) 1937 포와로&헤이스팅즈

    13. 커튼 (Curtain) 1975 포와로&헤이스팅즈  

    46. 포와로 수사집 (Poirot Investigates) 1924 

     - '서방의 별'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Western Star

       마스던 장원의 비극 The Tragedy at Marsdon Manor

       싸구려 아파트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Cheap Flat

       사냥꾼 별장의 모험 The Mystery of Hunter's Lodge

       백만 달러 증권 도난사건 The Million Dollar Bond Robbery

       이집트 무덤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Egyptian Tomb

       그랜트메트로폴리턴호텔의 보석도난사건 The Jewel Robbery at the Grand Metropolitan

       납치된 수상 The Kidnapped Prime Minister

       데이븐하임 씨 실종사건 The Disappearance of Mr. Davenheim

       이탈리아 귀족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Italian Nobleman

       잃어버린 유언장 사건 The Case of the Missing Will

       베일에 싸인 여인 The Veiled Lady

       잃어버린 광산 The Lost Mine

       초콜렛 상자 The Chocolate Box

     

        

     

    8. 애크로이드 살인 사건 (The Murder of Roger Ackroyd) 1926 포아로

    17. 푸른 열차의 죽음 (The Mystery of the Blue Train) 1928 포와로 

    2. 오리엔트 특급 살인 (Murder on the Orient Express) 1934 포와로

    10. 3막의 비극 (Three-Act Tragedy) 1935 포와로

    26. 구름속의 죽음 (Death in the Clouds) 1935 포와로

     

        

     

    18. 메소포타미아의 죽음 (Murder at Mesopotamia) 1936 포와로

    28. 테이블 위의 카드 (Cards on the Table) 1936 포와로&올리버부인&배틀총경 

    60. 죽은 자의 거울 (Dead Man's Mirror, Murder in the Mews) 1937 포와로

     - 죽은 자의 거울 Dead Man's Mirror

       뮤스 가의 살인 Murder in the Mews

       로드스 섬의 삼각형 Triangle at Rhodes

       The Incredible Theft (=잠수함의 설계도) X

    5. 나일강의 죽음 (Death on the Nile) 1937 포와로

    4. 죽음과의 약속 (Appointment with Death) 1938 포와로

     

          

     

    48. 크리스마스 살인 (Hercule Poirot's Christmas) 1938 포와로

    19. 애국 살인 (One, Two, Buckle My Shoe) 1940 포와로 

    25. 삼나무 관 (Sad Cypress) 1940 포와로 

    14. 백주의 악마 (Evil Under the Sun) 1941 포와로

    23. 회상 속의 살인 (Murder in Retrospect) 1943 포와로

     

         

     

    51. 할로저택의 비극 (The Hollow) 1946 포와로

    79. 헤라클레스의 모험 (The Labours of Hercules) 1947 포와로

     - 네메아의 사자 The Nemean Lion

       레르네의 히드라 The Lernean Hydra

       아르카디아의 사슴 The Arcadian Deer

       에리만토스의 멧돼지 The Eurymanthian Boar

       아우게이아스 왕의 외양간 The Augean Stables

       스팀팔로스의 새 The Stymphalean Birds

       크레타 섬의 황소 The Cretan Bull

       디오메데스의 말 The Horses of Diomedes

       히폴리테의 띠 The Girdle of Hippolyta

       게리온의 무리들 The Flock of Geryon

       헤스페리스의 사과 The Apples of the Hesperides

       케르베루스를 잡아라 The Caputure of Cerberus

    65. 파도를 타고 (There is a Tide) 1948 포와로

    74. 패배한 개 (The Under Dog and Other Stories) 1952

     - 패배한 개 The Under Dog (크리스마스 푸딩의 모험)

       플리머스 급행열차 The Plymouth Express

       승전 무도회 사건 The Affair at the Victory Ball

       마켓 베이징의 수수께끼 The Market Basing Mystery

       르미서리어 가문의 상속 The Lemesurier Inheritance

       콘월의 수수께끼 The Cornish Mystery

       클럽의 킹 The King of Clubs

       잠수함의 설계도 The Submarine Plans

       The Adventure of the Clapham Cook (클래펌 요리사의 모험 : 리가타 미스터리) X

    56. 맥긴티 부인의 죽음 (Mrs. McGinty's Death) 1952 포와로

     

         

     

    9. 장례식을 마치고 (After the Funeral) 1953 포아로

    70. 히코리 디코리 살인 (Hickory Dickory Dock) 1955 포와로

    58. 죽은 자의 어리석음 (Dead Man's Folly) 1956 포와로&올리버부인

    78. 비둘기 속의 고양이 (Cat Among the Pigeons) 1959 포와로

    73. 크리스마스 푸딩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Christmas Pudding) 1960

     - 크리스마스 푸딩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Christmas Pudding

       스페인 궤짝의 비밀 The Mystery of The Spanish Chest

       꿈 The Dream

       그린 쇼의 아방궁 Green shaw's Folly

       The Under Dog (패배한 개 : 패배한 개) X

       Four and Twenty Blackbirds (24마리의 티티새 : 쥐덫) X

     

       

     

    71. 4개의 시계 (The Clocks) 1963 포와로

    34. 세 번째 여자 (Third Girl) 1966 포아로&올리버부인

    69. 핼로윈 파티 (Halloween Party) 1969 포와로&올리버부인 

    62. 코끼리는 기억한다 (Elephants Can Remember) 1972 포와로&올리버부인

     

    * 미스 마플이 등장하는 작품

     

        

     

    31. 목사관 살인사건 (The Murder at the Vicarage) 1930 미스 마플  

    20. 화요일 클럽의 살인(The Tuesday Club Murder, The Thirteen Problems) 1932  미스마플

    - 화요일 밤의 모임 The Tuesday Night Club

      애스타트 신상의 집 The Idol House of Astarte

      금괴들 Ingots of Gold

      피 묻은 포도 The Bloodstained Pavement

      동기와 기회 Motive versus Opportunity

      성 베드로의 지문 The Thumb Mark of St. Peter

      푸른 제라늄 The Blue Geranium

      친구 The Companion

      네 명의 혐의자 The Four Suspects

      크리스마스의 비극 The Christmas Tragedy

      죽음의 약초 The Herb of Death

      방갈로에서 생긴 일 The Affair at the Bungalow

      익사 Death by Drowning

    47. 서재의 시체 (The Body in the Library) 1942 미스 마플   

    15. 움직이는 손가락 (The Moving Finger) 1943 미스 마플

    11. 예고 살인 (A Murder is Announced) 1950 미스 마플

     

        

     

    52. 마술 살인 (They Do It with Mirrors) 1952 미스 마플

    12. 주머니속의 죽음 (A Pocket Full of Rye) 1953 미스 마플

    63. 패딩턴발 4시 50분 (4:50 from Paddington) 1957 미스 마플

    43. 깨어진 거울 (The Mirror Cracked from Side to Side) 1962 미스 마플

    75. 카리브 해의 비밀 (A Caribbean Mystery) 1964 미스 마플

     

       

     

    57. 버트램 호텔에서 (At Bertram's Hotel) 1965 미스 마플

    72. 복수의 여신 (Nemesis) 1971 미스 마플

    61. 잠자는 살인 (Sleeping Murder) 1976 미스 마플 

     

    * 포와로와 미스 마플의 단편이 같이 수록된 작품

     

     

     

    77. 죽음의 사냥개 (The Hound of Death and Other Stories) 1933

     - 죽음의 사냥개 The Hound of Death

       집시 The Gypsy

       등불 The Lamp

       아서 카마이클 경의 기묘한 사건 The Starange Case of Sir Arthur Carmichael

       목련꽃  Magnolia Blossam (The Golden Ball and Other Stories)

       개 다음에 Next to a Dog

       이중 범죄  Double Sin (Double Sin and Other Stories)

       말벌 둥지 Wasp's Nest (Double Sin and Other Stories)

       의상 디자이너의 인형 The Dressmaker's Doll (Double Sin and Other Stories)

       이중 단서 Double Clue (Double Sin and Other Stories)

       성역 Sanctuary (Double Sin and Other Stories)

       The Red Signal (붉은 신호등 : 검찰 측의 증인)X

       The Fourth Man (네 번째 남자 : 검찰 측의 증인)X

       Wireless (라디오 : DMB에는 있음) X

       The Witness for the Prosecution (검찰 측의 증인 : 검찰 측의 증인) X

       The Mystery of the Blue Jar (청자의 비밀 : 검찰 측의 증인) X

       The Call of Wings (날개가 부르는 소리 : 리가타 미스터리) X

       The Last Seance (마지막 심령술 모임 : 리가타 미스터리) X

       S.O.S. (SOS : 검찰 축의 증인) X

    76. 리가타 미스터리 (The Regatta Mystery) 1939

     - 리가타 미스터리 The Regatta Mystery

       당신은 정원을 어떻게 가꾸시나요? How Does Your Garden Grow?

       폴렌사 만의 사건 The Problem at Pollensa Bay

       노란 붓꽃 Yellow Iris

       마플 양, 이야기를 하다 Miss Marple Tells a Story

       어두운 거울 속에 In a Glass Darkly

       해상의 비극 Problem at Sea

       클래펌 요리사의 모험 The Adventure of the Clapham Cook (패배한 개)

       날개가 부르는 소리 The Call of Wings (죽음의 사냥개)

       마지막 심령술 모임 The Last Seance (죽음의 사냥개)

       The Mystery of the Baghdad Chest (=스페인 궤짝의 비밀) X

       The Dream (꿈 : 크리스마스 푸딩의 모험) X

     

    * 토미와 터펜스 부부가 등장하는 작품

     

        

     

    29. 비밀결사 (The Secret Adversary) 1922 토미&터펜스

    54. 부부 탐정 (Partners in Crime) 1929 토미&터펜스

     - 아파트에 나타난 요정 A Fairy in the Flat

       차라도 한잔 A Pot of Tea

       분홍색 진주 사건 The Affair of the Pink Pearl

       이상한 불청객 사건 The Adventure of the Sinister Stranger

       킹을 조심할 것 Finessing the King

       신문지 옷을 입은 신사 The Gentleman Dressed in Newspaper

       부인 실종사건 The Case of the Missing Lady

       장님 놀이 Blindman's Bluff

       안개속의 남자 The Man in the Mist

       위조지페범을 찾아라 The Crackler 

       서닝데일의 수수께끼 The Sunningdale Mystery

       죽음이 숨어 있는 집 The House of Lurking Death

       철벽의 알리바이 The Unbreakable Alibi

       목사의 딸 The Clergyman's Daughter

       레드 하우스 The Red House

       대사의 구두 The Ambassador's Boots

       16호였던 남자 The Man Who was Number 16

    40. N 또는 M (N or M?) 1941 토미&터펜스

    68. 엄지손가락의 아픔 (By the Pricking of My Thumbs) 1968 토미&터펜스

    80. 운명의 문 (Postern of Fate) 1973 토미&터펜스 

     

    * 배틀총경이 등장하는 작품

     

       

     

    36. 침니스의 비밀 (The Secret of Chimneys ) 1925 배틀총경

    42. 세븐 다이얼즈 미스터리 (The Seven Dials Mystery) 1929 배틀 총경

    24. 위치우드 살인사건 (Easy to Kill) 1939 배틀총경  

    3. 0시를 향하여 (Towards Zero) 1944 배틀총경   

     

    * 기타 작품 장편

     

    41. 골프장 살인사건 (Murder on the Links) 1923

     

     32. 갈색 옷을 입은 사나이 (The Man in the Brown Suit) 1924

     

    64. 헤이즐무어 살인 사건 (The Sittaford Mystery, Murder at Hazelmoor) 1931

     

    27. 부머랭 살인 사건 (Why Didn't They Ask Evans?) 1934

     

    1.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And Then There Were None) 1939

     

    49. 마지막으로 죽음이 온다 (Death Comes as the End) 1945 

     

    53. 잊을 수 없는 죽음 (Remembered Death) 1945

     

    59. 비뚤어진 집 (Crooked House) 1949

     

    66. 바그다드의 비밀 (They Came to Baghdad) 1951

     

    37. 죽음을 향한 발자국 (So Many Steps to Death) 1954

     

    21. 누명 (Ordeal by Innocence) 1958 

     

    50. 창백한 말 (The Pale Horse) 1961 올리버부인

     

    30. 끝없는 밤 (Endless Night) 1967 

     

    39. 프랑크푸르트행 승객 (Passenger to Frankfurt) 1970

     

    * 기타 작품 중 단편집

     

    55. 수수께끼의 할리퀸 (The Mysterious Mr. Quin) 1930

     - 퀸의 등장 The Coming of Mr.Quin

       유리창에 비친 그림자 The Shadow on the Glass

       '어릿광대 집'에서 At the Bells and Motley

       창공에 나타난 징조 The Sign in the Sky

       도박사의 영혼 The Soul of the Croupier

       바다에서 온 남자 The Man from the Sea

       어둠의 목소리 The Voice in the Dark

       헬렌의 얼굴 The Face of Helen

       죽은 할리퀸 The Dead Harlequin

       날개 부러진 새 The Bird with the Broken Wing

       세상의 끝 The World's End

       할리퀸의 길 Harlequin's Lane

     

    67. 리스터데일 미스터리 (The Listerdale Mystery) 1934

     - 리스터데일 경의 수수께끼 The Listerdale Mystery

       기차에서 만난 아가씨 The Girl in the Train

       육 펜스의 노래 Sing a Song of Sixpence

       에드워드 로빈슨은 사나이다 The Manhood of Edward Robinson

       취직 자리를 찾는 제인 Jain in Search of a Job

       일요일에는 과일을 A Fruitful Sunday

       이스트우드의 모험 Mr.Eastwood's Adventure

       황금의 공 The Golden Ball

       라자의 에메랄드 The Rajah's Emerald

       마지막 공연 Swan Song

      Philomel Cottage (나이팅게일 커티지 별장 : 검찰 측의 증인) X

       Accident (우연한 사고 : 검찰 측의 증인) X

     

    35. 명탐정 파커파인 (Mr. Parker Pyne, Detective) 1934

     - 중년 부인 The Case of the Middle-Aged Wife

       불만에 찬 군인 The Case of the Discontented Soldier

       절망에 빠진 부인 The Case of the Distressed Lady

       불만에 빠진 남편 The Case of the Discontented Husband

       도시 사무원 The Case of the City Clerk

       부유한 부인  The Case of the Rich Woman

       원하는 것 모두를 얻으셨나요? Have You Got Everything You Want? (1933)

       바그다드의 성문 The Gate of Baghdad

       시라즈의 저택 The House at Shiraz

       값비싼 진주 The Pearl of Price

       나일강의 죽음 Death on the Nile

       델피의 신탁(神託) The Oracle at Delphi

     

    33. 검찰 측의 증인 (Witness for the Prosecution) 1948

     - 검찰 측의 증인 The Witness for the Prosecution (죽음의 사냥개)

       붉은 신호등 The Red Signal (죽음의 사냥개)

       네 번째 남자 The Fourth Man (죽음의 사냥개)

       SOS SOS

       유언장의 행방 Where there's a Will

       청자의 비밀 The Mystery of the Blue Jar (죽음의 사냥개)

       나이팅게일 커티지 별장 (=야앵장) Philomel Cottage (원작 : 리스터데일 미스터리)

       우연한 사고 Accident (원작 : 리스터데일 미스터리)

       두 번째 종소리 The Second Gong

     

    38. 쥐덫 (Three Blind Mice and Other Stories) 1950

     - 쥐덫 Three Blind Mice

       이상한 사건 Strange Jest

       줄자 살인사건 The Tape-Measure Murder

       모범 하녀 The Case of the Perfect Maid

       관리인 노파 The Case of the Caretaker

       4층 아파트 The Third Floor Flat

       조니 웨이벌리의 모험 The Adventure of Johnny Waverly

       24마리의 검은 티티새 Four-and-Twenty Blackbirds

       연애 탐정 The Love Detectiv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월드컵, 환상과 광기의 서사구조

    월드컵과 관련한 글들을 몇 개 옮겨온 바 있는데, 정리하는 의미에서 도정일 교수의 칼럼을 마저 옮겨온다. 한겨레(06. 06. 30)의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란 연재칼럼에 게재된 것으로 타이틀이 '월드컵, 환상과 광기의 서사구조'이다. 한국팀의 16강 진출 무산으로, 더불어 16강전 이후의 휴식으로 월드컵 열기는 '급속하게' 차분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에 '뒷북'의 느낌이 없지만 않지만(혹 16강에서도 살아남아서 8강전을 앞두고 있다면, 이 칼럼이 게재될 수 있었을까, 란 의문을 문득 갖게 된다), 그런 만큼 '유리한 포지션'에서 한번쯤 반성해볼 필요도 있겠다. 철학이 자랑해마지 않는 부엉이는 언제나 황혼이 되어야만 나다니는 것 아닌가.  

    -오르페우스의 노래를 듣기 위해 숲의 모든 동물들이 사이좋게 한 자리에 모이고 강물은 물길을 바꾸고 산도 방향을 틀었다는 것은 그리스 신화 속의 이야기다. 한국의 16강 진출이 좌절되던 6월24일 그 ‘돌연한 죽음’의 순간까지, 대다수 한국인에게 월드컵은 그 이상의 신화였다고 말할 만하다. 2006년 6월의 한국을 지켜본 신화작가가 있다면 그는 일기에다 이렇게 써넣지 않았을까? “한국 사람들에게 월드컵 축구보다 더 위대한 것은 이 은하계를 다 뒤져도 없다. 서울을 보라. 시청 광장에 붉은색 함성이 터지는 날이면 한강은 흐르던 물길을 멈추고 남산 북악산도 광장 쪽으로 돌아앉는다. 늑대와 새끼양이 함께 춤추고 호랑이, 토끼, 사자가 어깨동무하고 빚쟁이는 히히 웃고 놀부가 술을 돌리고 여당 야당이 한 마당이다. 낙원이 따로 없었다.”

     

     

     

     

    -물론 우리만 그랬던 것은 아니다. 적어도 월드컵에 출전한 나라의 백성들 치고 자기네 대표 팀의 전적에 일희일비하며 반쯤 미치지 않은 부족이 없다. 4년에 한 번 사람들에게 미칠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월드컵은 세계적 규모로 되살아난 현대판 디오니소스 축제다. 그 어떤 신의 이름도, 그 어떤 축제, 그 어떤 구호도 사람들의 가슴을 열게 하기에는 역부족인 시대에 월드컵은 마치 대통합의 신처럼 모든 사람을 한 자리에 불러 모아 춤추게 한다. 바벨탑을 세우다가 싸우고 제 각각 다른 방언을 쓰며 흩어졌던 부족들이 축구라는 하나의 언어 앞에서는 다 모인다. 감격할 일이 별로 없고 가슴이 감동을 잃어버린 시대에는 사람들을 미치게 할 일이 하나쯤 있다는 것이 축복이고 구원일지 모른다.

    -그 구원의 비밀 하나를 우리는 안다. 이름 없었던 자가 그 무명성에서 탈출하고 미미했던 자가 그 존재의 범상성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그 비밀의 한 자락이다. 월드컵에 나올 때까지 토고라는 나라는 세계무대에 널리 알려진 존재가 아니다. 월드컵에서 만나기 전 아프리카의 이 작은 나라를 알고 있었던 한국인은 많지 않다. 빈곤국 가나가 초강대국 미국을 꺾는다는 것은 월드컵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그것은 다윗이 골리앗을 이기는 정도의 일이 아니라, 가나 사람들의 용서를 빌고 말한다면, 생쥐가 코끼리를 때려누이고 당나귀를 무릎 꿇리는 것 같은 환상적 사건이다. 그런데 월드컵에서는 그 판타지가 가능하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던 작고 이름 없는 존재가 어느 날 크고 힘센 골리앗들을 차례로 무너뜨려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다는 것은 사실은 가장 오래된, 그리고 유구한 세월동안 사람들을 즐겁게 해온 이야기 구조의 하나다. 엄지동자가 거인을 이기고 토끼가 여우를 골탕 먹이고 새끼양이 늑대를 눕히는 이야기는 인간이 ‘이야기’라는 것을 만들기 시작한 이후 한 번도 그 위력을 잃은 일이 없는 기본 서사구조이고 모든 대중문화의 골간 플롯이다.

    -월드컵은 그런 서사구조를 갖고 있다. 그것은 엄지동자가 낮은 데서 높은 곳으로 솟아오르는 V자 상승의 구조, 모든 약자가 자기 존재의 무명성, 미약성, 범상성으로부터 해방되어 영웅의 크기를 획득하는 서사구조다. 사람들이 이런 이야기 구조를 좋아하는 이유는 인간 자체가 기본적으로 약자이고 엄지동자이기 때문이다. 그에게는 존재의 상승, 해방, 확장을 경험하게 하는 이야기처럼 신명나는 것이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2006년 6월의 월드컵을 맞고 보낸 방식에 대해서는 반성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월드컵으로 도배질을 한 방송의 싹쓸이 편성, 신문들의 호들갑과 터무니없는 과장보도, 기업들의 파렴치한 장사속과 자본의 개입, 보도 뉴스의 80% 가량을 차지한 과잉공급, 이런 일들은 ‘문화연대’ 사람들이 지적하듯 ‘세상을 마취와 망각으로 몰아넣고’ ‘많은 문제들을 은폐’한 미디어의 광기이자 사회적 이성의 실패다. 언론에 축제란 것은 없다. 언론은 어떤 경우에도 공공성을 희생할 수 없고 사회적 이성의 사용을 포기하거나 국민생활에 제기되는 중요한 도전들을 외면할 수 없다. 우리 언론의 제시 방식에 따르면 유월 한 달의 대한민국은 월드컵 말고는 다른 어떤 중요한 것도 존재하지 않은 나라 같다. 그 나라는 아무리 봐도 자랑할 만한 ‘대에한민국’이 아니다.

    -가장 우려할만한 사태는 전 국민을 과도한 ‘대한민국주의’의 물결 속으로 몰아넣은 기이한 애국주의 열풍이다. 서울 광화문 네거리를 비롯해서 도심 거대 건물의 광고판 밑에 어김없이 내걸렸던 것이 “우리는 대~한민국입니다”라는 현수막이다. 그 공허하고 애처로운 구호들은 지금도 남아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나라사랑이 정도를 지나치면 광기가 된다. 중요한 것은 그 방식의 애국이 나라사랑의 길이기는(커녕) 정신적 질병의 한 징후이자 사람들을 ‘아이 시절’로 퇴행하게 하는 ‘유아화’ 현상의 하나라는 사실이다. 월드컵을 즐기고 우리 대표 팀의 분전에 갈채를 보내는 일과 월드컵에 모든 정서 에너지를 ‘올인’으로 쏟아 부어 오로지 ‘대에한민국’을 외쳐야 애국이 된다고 생각하는 일은 결코 같은 것일 수 없다.

     

     

     

     

    -4년 전 이맘때, 우연히 시청 앞을 지나가던 대학원생 K는 흥분한 목소리로 붉은 물결의 응원풍경을 취재하던 한 텔레비전 방송의 길거리 인터뷰에 걸린 일이 있다. “어찌 생각하십니까? 오늘 우리가 이기겠죠?”라는 기자 질문에 K는 “난 월드컵 같은 거 관심 없는데요“라고 대답했다가 혼쭐이 난다. 기자가 갑자기 시뻘게진 얼굴로 ”야, 너 대한민국 국민 아니지? 어느 나라 사람이야?“라며 된통 힐난하고 달려든 것이다. 졸지에 민족반역자 대열에 낄 뻔한 K는 엇 뜨거, 축구 대표 팀 미드필더보다 더 빠른 속도로 줄행랑쳤다고 한다.

    -2002년 여름의 이 삽화는 가감 없이 2006년 유월의 얘기이기도 하다. 농경공동체 붕괴 이후 축제다운 축제가 없는 나라에서, 게다가 천갈래만갈래의 이해관계로 찢어진 사람들이 그나마 축구에서 정체성의 공통 언어를 발견하는 한 순간을 갖는다는 것은 나쁘지 않다. 그러나 ‘대에한민국’을 한 목소리로 외치지 않는 자는 대한민국 국민이 아니고 ‘오 필승 코리아’를 연호하지 않는 자는 시민이 아니라고 여겨질 정도에 이르면 문제는 심각하다. 2006년 유월은 우리에게 심각한 문제들을 안긴 한 달이기도 하다.

    06. 06. 30.

    P.S. 월드컵에 '열광'하거나 '대에한민국'을 외치는 '지식인'을 나는 주변에서 보지 못했다. 오히려 '오 필승 코리아'를 연호한다면 좌중의 폭소를 자아내거나 '따'가 되기 십상이다. 방송사들에서 '열광'을 부추기는 건 물론 '본전'을 뽑아야 한다는 계산에서일 것이다. 애국주의는 얼마나 좋은 명분인가?(개봉을 앞두고 있는 강우석의 <한반도>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니 월드컵 열광이 개운치 않은 것은 열광 자체라기보다는 열광의 '관리'와 '착취'(욹어먹기) 때문이 아닐까? 한데, 그런 걸 다 '심각하게' 고려한다 하더라도 그에 대한 '진지한' 우려에도 나는 동의하기 어렵다. 지젝이 <신체 없는 기관>(도서출판b)의 서문에서 떠올리고 있는 에피소드.

     

     

     

     

    "1964년 마드리드 교외에서 데이빗 린의 <닥터 지바고> 촬영 도중 엑스트라로 출연한 일단의 스페인 국가주의자들은 집단시위 장면에서 '인터내셔널가'를 불러야 했다. 영화제작진은 그들 모두가 이 노래를 알고 있으며 프랑코 정권 경찰이 진짜 정치 시위를 하고있다고 생각하며 개입할 정도로 열정적으로 이 노래를 부르고 있는 것을 보고는 경악했다. 설상가상으로 늦은 저녁(이 장면은 야간장면이었다) 인근에 사는 사람들은 이 노래의 메아리를 듣고는, 프랑코가 죽고 사회주의자들이 권력을 쟁취했다고 잘못 여긴 나머지 술병을 따고 거리에서 춤을 추기 시작했다."(영화속 인터내셔널가 -> MP3 )

    "그러한 환영적인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정확히 말해 단순히 환영적이지만은 않았던) 자유의 마법적 순간들과 '정상적' 현실로의 복귀로 인해 좌절된 희망들에 이 책을 바친다." 그러한 '마법적 순간들'이 과연 판타지로 비난/격하되어야 할까? 오히려 근심해야 할 것은, 돈벼락이 걸린 월드컵 축구에 여전히 그러한 환영적인, 하지만 단순히 환영적이지만은 않은 '마법적 순간'이 보존되고 있는가가 아닐까?(러시아로 간 '마법사 히딩크'의 모습을 2010년 남아공에서 다시 보게 되길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