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집중력 - 집중력 위기의 시대,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법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스타를 지운지 반년은 된 것 같다. 신혼여행 중에 인스타에 왜 결혼사진을 올리지 않느냐는 것으로 작은 다툼이 있었는데, 그게 또 요상하게 발전해서 왜 팔로워에 남자는 별로 없고, 여자 지인들만 넘쳐나는 것인지에 대한 주제로 넘어갔고, 다소 과격한 방법이었지만, (어차피 업로드 자체를 많이 하지도 않는 SNS기도 했으니) 서로의 갤럭시에서 인스타 App을 삭제하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던 것이다. 가끔 힙한 식당에 DM으로 예약 해야 하거나, 주요 행사 일정 등을 확인해야 할 때, 인스타가 필요하긴 한데, 그럴 때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다. 웹스타그램은 들어가 볼 때마다 UI/UX가 참 불편하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렇다 해서 다시 App을 설치할 생각은 없다. 폰에서 App이 사라지니, 인스타에서 괜한 시간을 보내는 일 자체가 줄어들었다. 릴스를 볼 일이 사라지게 되었다. 유행하는 밈에 대해 남들보다 조금 늦게 알게 되었지만, 살아가는데 큰 지장은 없었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는 시간이 다소 줄어들었다. 업무의 집중력, 여가시간의 집중력이 조금은 향상된 기분이었다. 막상 싸울 때는 예상도 하지 못했던 그런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제 다음은 트위터 App, 그리고 끝판왕인 유튜브 App이 남았는데... 이것들까지 다 지울 수 있을까? 그리고 그렇게 한다면 내 집중력은 더더욱 올라올 수 있을까?

집중력에 대한 생각들을 하게 된 이유는 여러 가지였지만, 그중에서도 제일은 역시 책을 못 읽겠다는 것 때문이었다. 한창 많이 읽던 트레바리 시절에는 많이 읽기도 읽었고, 책이 정말 재밌었고, 독후감 한 번 쓰려고 책을 2회독, 3회독도 했었는데, 요즘의 나는 그런 시절과는 정 반대 면에 서 있는 느낌이다. 그게 점점 강해지다가, 올 초 관리부서로 적을 옮기고 부터는 심각할 정도로 책을 읽기 힘들어하는 나를 마주하고 있다. 책을 읽다가도 보고서 생각이 아른아른하고, 사무실 생각이 아른아른하다. 공감이 필요한 소설 읽기는 너무도 힘든 작업이라, 비문학 위주로 읽어보고자 했지만, 일하는 방식이 그대로 투영되어서 목차를 읽고, 소제목을 읽고, 어느 순간 핀트가 아니다 싶으면 영 눈길이 가지 않게 되었다. 읽다 만 책들이 더 많아졌다. 한 달에 한 번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책모임 사람들을 볼 면목이 없다고 느끼는 시간들이 늘어갔다. 그러던 중 지난번 책모임에서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의 약화라는 개념에 대해 이야기 나누게 되었고, 너무나 와닿게 되었다. 어찌 됐든 집중력의 약화를 개인적 문제로 치부하고, 스스로 극복해야겠다 싶던 나날 중... 산책 겸 방문했던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도둑맞은 집중력』, 트위터에서는 '집중맞은 도둑력'으로 불리는 잘나가는 베스트셀러였다. 책의 저자인 요한 하리 또한 집중력 저하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똘똘 뭉친 사람이었다. 현대인이라면 누군들 그러하지 않겠느냐마는, 이 사람은 좀 더 과격하고 대단했다. 폰에서 App을 삭제하는 수준이 아니라 폰을 인터넷이 되지 않는 기종으로 아주 바꿔버리고, 외부와의 연결을 끊어버린 채 프로빈스 타운이라는 한적한 마을로 떠나 버린다. 그곳에서 산책하고, 독서하고, 오프라인의 사람들과 친분을 쌓았다. 그는 휴가 기간을 통해 점점 집중력이 돌아오는 것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그런 일탈에는 언제나 끝이 있기 마련이고, 현세로 복귀하고, 머지않아 다시 거대한 초연결 사회에 굴복하게 되었다. 프로빈스 타운에서 힘겹게 쌓아 올린 집중력은 파도 앞 모래성처럼 시원하게 다시 흩어져 버리게 되었다.

하지만 요한 하리는 집요했다. (그러니까 책도 쓰는 것 같은데) 그는 집중력 저하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을 인터뷰하고, 사례들을 수집하기 시작한다. 기자라는 직업에 걸맞게 발로 뛰고 생생한 의견들을 듣는 과정이 이 책에 쭉 담겨 있었다. 구글과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실리콘 밸리의 IT 기업들이 어떻게 사용자를 묶어두게 만드는지에 대해 '감시 자본주의'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이런 기술의 파도 앞에 개인 차원에서의 대응이 유의미한 일인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뿐만 아니라 업무환경, 음식, 교육 등 다수의 분야에서, 사회가 개인의 집중력을 앗아가는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덧붙인다. 해결책 또한 아주 다양하게 제시된다. 충분히 생각해 봄직한 흥미로운 의견들이 챕터 내내 이어지는데, 물 흐르듯 읽다 멈추게 되면, '그래서 나는 어떤 의견에 동의하게 되는 것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예를 들자면 페이스북 같은 SNS를 국영으로 만들자! 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하는데?)

에필로그까지 다다르게 되면, 역시 집중력 저하가 내 탓만은 아니지 하는 안도감과 동시에, 그래서 이걸 어떻게 해야 하는 거지라는 답답함이 느껴지기도 한다. 일단은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것부터가 시작이라 했는데, 요즘 사람들은 이렇게 긴 책이나, 글은 잘 읽지 않을 게 분명하다. 다만 조금 더 앞선 독자들이 이 책을 쇼츠나, 릴스나, 틱톡이나, 뭐 그런 걸로 잘 요약해 만들고 다듬어 알고리즘에 실어 나르기를 응원해 볼 수는 있겠다. 간만에 완독이었다. 탈탈 털린 집중력으로도 읽을 수 있는 재밌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