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즈 나이트 1 - 방랑의 기사
이경영 지음 / 자음과모음 / 1999년 4월
평점 :
품절
나는 판타지소설을 좋아한다. 그래서 많은 판타지 소설을 보았다. 그리고 사람들과 친구들사이에서 또는 몇몇 도서사이트중 판타지부문에서 여러번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는 가즈나이트도 거의 필수적으로 보았다. 그런데... 나는 이런 방식의 판타지를 좋아하지않는다. <가즈 나이트>는 그 내용자체가 너무 심오하고 복잡하다. 예를들면 인물 하나하나를 보면 설정에는 많은 노력이 치우친듯 보이지만 왠지 그 설정을 너무 의식해 자유로움이 조금 없다는 느낌이다. 또 나는 개인적으로 바이론을 좋아하는데 왠지 모를 아쉬움같은것이 캐릭터 자체에 남는다.
하지만 이책은 판타지소설작가가 보아야할 필수적인 책인것 같다. 전체적인 진행이 순조롭고, 배경 이동이 자유로우며 여러가지 다양한 용어도 기초가 있던것 같다. 판타지 라이브러리 같은 책을 통해서 여러가지 몬스터들에 대해서 조금 알아두었다. (나는 내가 모르는 것은 별로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약간적인 그런<고지식한 점>도 없잖아 있다. 하지만 가즈나이트는 그런 내 <고지식한 점>을 보완해주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나도 왜 이런느낌을 받았는지는 모르겠다. 이야기가 흘러가고 있지만 이것은 내가 그 어떤 다른 판타지소설을 보면서도 느끼지 못한것이다.
<가즈 나이트>는 고지식하고 전형적인 판타지소설이라는 느낌이 나에게는 팍팍 왔음에도 불고하고 오히려 그런점이 나에겐 '이것은 뭔가 자유가 느껴진다!'라고 느낀 내 머리가 나또한 이해할수가 없다. 난 판타지 소설을 보면서 그 세계에 빠져들어 흥분을 잘 한다. 사람들이 인연을 끊거나 어쩔수 없어 서로를 죽여야 할때 사사로운 말 한마디 한마디가 내 가슴속에 와닿아서 왠지모를 흥분에 차게 할 때도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게 뭔지를 모르겠다는 것이다. 지금 이글이 무슨말인지 엉뚱한 문법에 그 누구도 내 마음을 이해할수 없을 것이 다. 하지만 나는 그것을 수정하지는 않겠다. 이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내 마음을 이해할수있을지도 모르니까...)
이렇게 내 심정을 표현했다. 내가 이렇게 말도안돼는 문장으로 설명은 한 것은 내 기분을 솔직히 표현하여 이 책을 속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 책을 보는 누군가가... 알았으면 좋겠다. 지금의 내 마음을... 지금 안정된 마음으로 이성적으로 보면 <가즈 나이트>는 독자들을 책 속으로 끌어들이는 책의 최고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을해야 할 지도 모르겠다. 지금 내 심정을 이해하면서 이 책을 읽어주면 더없이 감사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