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아이 독깨비 (책콩 어린이) 22
R. J. 팔라시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낯선 것을 어떤 시선으로 보는가? 사회가 불안할수록 낯선 것에 대한 사람들의 공포와 경계심도 또한 커진다. 왜 그럴까? 익숙하지 않은 대상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의 두려움은 당연한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낯선 대상을 섣불리 평가하고 판단해서는 안된다. 그 대상이 인간일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아름다운 아이>는 안면기형이라는 장애를 가진 아이, 그리고 그 아이의 일그러진 얼굴을 대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거스트는 자신을 평범한 아이라고 믿고 싶고, 사람들도 자신을 눈에 띄지 않는 평범한 아이로 봐주길 바란다. 하지만 그건 어거스트의 바람일 뿐, 사람들은 어거스트를 보고 경악한다. 어른들은 이 아이를 처음 본 순간, 당혹해하고 표정을 숨기려 한다. 아이들은 비명을 지르며 도망친다. 아주아주 평범한 생각을 지닌 이 아이의 끔찍한 얼굴 때문에.

이야기는 아주 짤막한 일화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야기는 어거스트 자신의 관점과 어거스트 주변인들의 관점을 오고가며 진행된다. 어거스트의 학교 입학과 동시에 벌어지는 사건들. 물론 어거스트의 얼굴은 아이들의 경멸을 불러온다. 아이들은 은밀하고 지독하게 어거스트를 괴롭힌다. 그렇지만 이 아이에게도 친구가 생긴다. 몇가지 오해가 생기고 그 과정에서 진정한 우정을 얻는다.

어거스트에게 애정을 쏟는 가족들, 어거스트를 괴롭히는 아이들, 어거스트를 도와주는 친구들. 모두 낯설고 아름답지 못한 사람을 대하는 우리들의 모습이다. 나는 어떤 부류의 사람인가? 쉽게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

분량이 꽤 길다. 그렇지만 어렵고 지루하지 않다. 어렵고 무거운 소재는 주제별 구성과 간결한 문장 덕분에 오히려 쉽고 흥미있게 다가온다. 초등학교 5, 6학년 정도부터 충분히 재미있고 의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톤 철학과 헬라스 종교 대우학술총서 신간 - 문학/인문(번역) 604
칼 알버츠 지음, 이강서 옮김 / 아카넷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라톤 철학이 기존 헬라스 종교와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를 면말하게 보여주는 책이다. 사실 플라톤의 사유는 허공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헬라스의 기존 사유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변형시킨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책은 플라톤 철학이 기존의 종교적 사유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저자가 플라톤의 대표적 사유 결과물인 이데아 이론이 신화에서의 원형적 성격과 닮아 있다고 해석하는 부분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플라톤이 말하는 '인식을 향한 상승'이 종교적 체험과 닮아있음을 밝히는 부분도 흥미롭다. 가장 재미있는 점은 매우 대조적인 성격을 지닌 아폴론 종교와 디오니소스 종교가 모두 플라톤 철학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서양의 종교적인 흐름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서 헬라스 종교-플라톤 철학-기독교의 사상적 연결과  변형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톤 철학과 헬라스 종교 대우학술총서 신간 - 문학/인문(번역) 604
칼 알버츠 지음, 이강서 옮김 / 아카넷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라톤 철학이 헬라스 종교와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를 면밀히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은 플라톤의 사유가 허공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사유 방식을 받아들이고 비판적으로 변형시킨 결과라는 점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