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반역 유광남 역사소설 1
유광남 지음 / 스타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어린시설 위인전에서 읽은 이순신 장군은 거북선을 만들어 왜군을 격파하고 명랑대첩, 한산대첩, 노량해전등에서 승리를 이끌었으며 난중일기를 썼었다. 그리고 원균의 모함으로 감옥에 갖혔다가 백의종군하여 싸우던중 적의 화살을 맞고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라지 마라"라는 유명한 명언을 남기며 전사했다. 이순신 장군은 학교 교정안에서 또 광화문 광장에서 갑옷을 입고 칼을 옆에차고 위엄있는 모습으로 서있다. 그래서, 어린아이들에게 존경하는 인물을 말해보라고 하면 이순신 장군입니다. 라는 대답을 쉽게 들을수 있었다. 이순신장군은 우리 민족의 위대한 인물중에 한사람이었고 앞으로도 그렇게 기억될것이다. 이 책은 이순신장군이 모함을 받아 감옥에 갇히게 된 그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일본, 명, 조선의 외교와 임진왜란 속에서 선조와 광해군, 사대부의 권력, 이순신과 그 측근들의 이야기를 조선왕조실록중의 하나인 선조수정실록에서 발견된 장계를 통해 풀어내고 있다.

 

이책의 주인공은 이순신과 조일인 사야가 김충선이다. 이책은 이순신이 옥중에서 작성한 심중일기와 옥중에 있는 이순신을 구하고 새로운 조선을 꿈꾸는 항왜인 김충선의 난중일기를 한편씩 소개하면서 관련된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당시 왜란으로 궁을 버리고 백성을 버리고 의주까지 피난갔던 무능한 선조와 둘째아들이었던 광해군의 갈등으로 인해 죽음을 당해야 했던 의병장 김덕령의 이야기, 그시대에 사대부, 유성룡과 오성 이항복, 한음 이덕형, 도원수 권율, 홍의장군 곽재우 그리고 당권당쟁의 부패한 중신들이 나온다.  또한 청나라를 꿈꾸는 여진의 누르하치의 입장, 히데요시와 이에야스의 일본과 명나라와 선조와의 관계를 사야가 김충선의 활약으로 흥미진진하게 그려내고 있다.

 

결국, 이 책은 통탄한다. 왜란을 겪고 난 후 여진의 누르하치는 명나라를 몰락시키고 청나라라는 새로운 왕조를 세우고 일본은 히데요시가 몰락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정권을 이어 변화하지만.  조선은 여전히 사대부의 권력 노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결국 일본에게 식민지가 되어버리고 만것을 말이다. 그래서 작가는 마지막 몇장은 이룰수 없었던 작가의 꿈, 또는 조선인의 꿈, 또는 나의 꿈이고 너의 꿈인 강한 조선, 강한 한국을 위해 몇 컷을 넣는다. 나는 그부분을 읽으면서 너무나 통쾌했었다. 우리는 많은 굴욕적인 역사적 사건에서 얼마나 "만일"을 생각하는지, 만일 그때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더라면이든가, 만일 효종이 그때 일찍 죽지 않고 북벌계획을 성공했었더라면이든지.. 말이다. 이책에는 그 만일을 비록 꿈으로나마 이루고 있었다. 만일 이순신장군이 사야가의 말을 듣고 반란은 꾀했더라면 조선은 어떻게 변했을까?

 

그렇게 하지 못한 김덕령이나 이순신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야가 김충선에게 김덕령의 연인 장예지는 이렇게 말한다. "진정으로 원하지만 그래서는 안되는 것이 세상에는 존재하는 법"이라고, 이순신에겐 군위신강의 덕목이 세상의 순리라고 말하고 있다.  조선시대가 아닌 대한민국에 사는 나 역시 강한 한국을 꿈꾼다. 이순신이, 사야가가 꿈꿨던 강한 조선처럼... 작금의 뉴스를 접하면서 통탄하고 울컥해한다. 그러면서 약하디 약한 대한민국에 안타까워한다. 진정으로 강한 대한민국을 원한다. 그리고 그건 안되는것이 아니기에 제대로 알고 소리를 내야 하고 강한 대한민국의 강한 국민이 되어야 함을 책을 덮으면서 한번 더 다짐해 본다.

 

 

2011년 12월 1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