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얼굴의 여우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85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비채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채서포터즈


 이 작품의 배경은 패전 후 일본의 한 탄광입니다. 
주인공 '하야타'는  만주 건국대학 출신으로
일본이 벌인 전쟁의 실체를 뒤늦게 깨닫고 괴로워하는 엘리트 지식인입니다. 
패전 후 방황하던 그는 가장 낮은 곳에서 나라의 재건을 위해 일하겠다는 생각으로
탄광 노동자가 되기로 결심합니다. 
낯선 기차역에서 탄광 브로커에 붙들려가는 하야타를 
'아이자토 미노루' 라는 인물이 도와주는데요, 
그는 과거 인연이 있던 한 한국인 청년이 생각나서 도와주었다고 얘기합니다. 
하야타는 아이자토 미노루와 같은 탄광에서 일하게 되는데 
어느날 탄광이 무너지는 사고로 아이자토가 숨지고 
그날부터  숙소에서 연쇄살인사건이 발생합니다. 
사건 현장은 완벽한 밀실. 
사람들은 탄광의 사고를 관장하는 '검은 여우신'의 저주라고 생각합니다. 
우연히 첫 사건 현장을 최초 발견하게 된 하야타는 결국 
연속해서 벌어지는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게 됩니다. 

 이 작품은 '모토로이 하야타' 시리즈의 시작으로 
후속작 #하얀마물의탑 이 출간되어 있고 
곧 다음 작품이 선보일 예정인 것 같아요! 


식민지시대 배경, 일본인의 관점에서 쓴 소설이기에
 읽기 불편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섰던 게 사실입니다. 
다행히 작가는 전쟁을 미화하거나 정당화 하진 않습니다.
 당시 일본  정부가 국민들을 어떻게 속이고 전쟁을 합리화 하였는지 
작품 곳곳에서 보여주고 있어요. 
전쟁 가운데서도 한, 일 사람들 사이의 우정이 있고, 
일본인 보다 더 악독한 친일파도 있고요. 
이런 배경을 소재로 참 찰떡인 작품을 썼구나 싶었어요. 

서포터즈 덕분에 오랜만에 일본 추리소설을 읽었습니다.
 역사를 담은 미스터리라서 딱 취향 저격이었어요.

당시 일본인 대다수가 중국과의 전쟁을 ‘동양 평화를 위한 전쟁‘이라고 굳게 믿었기 때문이다. 신문과 라디오에서 연일 그렇게 보도했다. - P60

전쟁중의 일본 정부와 군부, 전쟁터로 내몰린 병사와 전쟁에 휘말린 국민. 그 관계가 탄광회사와 탄광부의 관계와 겹친 것 같았다. 대일본제국에게 병사와 국민 목숨 따위는 소모품에 지나지 않았다. 아니, 비단 일본만의 문제는 아니리라. 정도 차이는 있을지언정 전쟁이란 원래 그런 것이다. -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