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옹, 괜찮아질 거야! : 반려묘편 - 행복한 반려묘 심리상담
이키 타즈코 지음, 나성은 옮김 / 돌배나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옹, 괜찮아질 거야!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많다. 고양이는 귀여움과 요염함의 상징이다. 강아지와 다르게 곁을 잘 주지 않고, 제멋대로 인데다가, 독립적인 매력이 많다. 그래서 고양이가 가진 특유의 시크하고 당돌한 매력이 빠지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정작 제대로 고양이에 대해 알고서 키우는 사람은 많지 않을 수 있다. 단순히 외모가 주는 귀여움과 태도에서 오는 개성을 믿고 덜컥 키우는 경우도 허다하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한번쯤 고양이는 과연 왜 이런 행동을 할까? 또한 고양이가 위기에 닥쳤을때 우리는 과연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 좋은지 체계적으로 공부할 책이 있으면 좋을 것이다. 


이 책이 그런한 사람들에게 교과서 같은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 사실 좋을 때는 다 좋다. 우리는 사람이건 동물이건 좋을 때가 있다. 만나면 반갑고, 즐겁고, 맛있는 것을 먹고 좋은 상황에는 사실 어떤 대상이 앞에 있어도 다 좋다. 문제는 바로 안좋을 때이다. 흔히 사람을 제대로 알려면 등산이나 여행 같은 몸이 힘겨운 상황을 겪어야 한다고 말한다. 짜증이나고 불안하고 답답한 상황에서 그 사람의 본성과 함께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나오기 때문이다. 동물도 마찬가지다. 그저 귀엽고 건강할때 말고, 뭔가 이상한 행동을 하고 불안 증세를 보일때 진정으로 아껴주는 것이 제대로 된 사랑일 것이다. 


이 책에서 인상적인 부분은 고양이가 불안행동을 하는 원인에 대해 말한 부분이었다. 고양이가 불안 행동을 하는 원인은 크게 유전적 요인과 불충분한 사회화, 그리고 트라우마, 스트레스 요인, 보호자의 부적절한 대응, 그리고 분리 불안,등이라고 한다. 특히나 분리 불안에 대해서는 고양이는 개와 다르게 혼자 있어도 되겠지라는 기존의 생각과는 다르게, 최근 연구에서는 고양이도 사람이 없으면 불안감을 심하게 느껴 토하거나 물건을 어지럽히기도 한다고 한다. 


또 이렇게 불안에 떠는 고양이가 있을 경우, 적절한 보호자의 반응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 글을 읽으면서 사람과 같이 대하는 것이 정답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 명의 아기를 키울 때 우리는 수만가지 고민과 걱정을 한다. 걱정은 지나치면 과잉보호가 되기도 하지만 우선 아기의 경우에는 연약한 존재이기에 그런 걱정이 맞을 것이다. 고양이 역시 우선의 최대한 걱정과 보호를 기반으로 사람인 아기처럼 생각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이 책의 장점은 여러가지 질문의 답을 목차별로 구성했다는 것을 들수 있겠다. 따라서 한번에 다 읽는 것도 좋지만, 그때 그때 상황별로 찾아가면서 고양이를 키울때의 애로사항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무언가를 사랑하는 것 역시 공부가 필요한 시대이다. 많이 아는 만큼 상대를 더 가치있는 존재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세상의 고양이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더 멋있어지길 희망해본다.


[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