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도 초능력이 필요해
민제이 지음 / 팩토리나인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원도 초능력이 필요해


마블 영화는 언제나 봐도 재밌다. 그들은 초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능력을 세상을 구하는 데 쓴다. 외계의 악마나 세상을 망치려는 자를 향해 날아다니면서 엄청난 능력을 쓰는 것이다. 하지만 초능력을 그런 위대한 일에 쓰는 것도 의미있겠지만, 우리는 때론 작은 자신의 일상을 위해서도 쓰고 싶을 때가 많다. 이를 테면 회사를 다니면서 말이다 .


이 책은 그런 상상력을 가지고 만든 책이 아닐까 싶다.  제목처럼 직장인에게도 초능력이 있다면 어떨까 하고. 이 책에는 네명의 핵심인물이 나온다. 신입사원 김가현, 주임 이나정, 과장 강다영, 대표 최라희.  이 책의 좋았던 점은 여기 나오는 인물들이 기본적으로 우리가 어디서나 볼수 있는 친근한 캐릭터라는 점이었다. 간혹 회사가 메인인 소설이나 드라마를 보다보면, 저 작가나 피디는 과연 회사 생활을 제대로 해본것은 맞나? 하는 생각이 들때가 있다. 그런데 이 책은 그렇지 않다. 생생하고 바로 어제 회사에서 본듯한 캐릭터. 이를테면 신입사원은 늘 혼이 나고 눈치를 보고 있고, 애매한 위치의 주임과, 중간 관리자이지만, 늘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 거기에 사장이라고 늘 좋은 것은 아니고, 나름의 걱정과 애로가 많은 사장. 이처럼 캐릭터를 쉽고 편안하게 잡았다는 것이 이 책의 첫번째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친근한 캐릭터만 있다고 해서 소설이 잘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바로 엉뚱한 상상력, 초능력이 주어지는 것부터 이제 이 이야기는 뻗어나가는 것이다. 소설을 읽으면서 통쾌하고도 킥킥댈 정도의 장면이 많았다. 하지만 그런 통쾌함의 근원은 현실의 답답함이라는 사실에 읽는 도중에 마음이 씁쓸해지곤 했다. 좋은 소설이란 이렇게 한쪽의 감정이 아닌, 양단의 감정을 모두 건드리는 소설이라 보는 데 이 소설은 그런 포인트를 잘 공략한 것 같다. 


굳이 장르를 구분할 순 없겠지만, 직장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 많아 유행인 듯 하다. 장류진의 일의 기쁨과 슬픔을 필두로, 직장에서 느끼는 애환과 희망, 그리고 희노애락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를 돌아보게 한다. 문득 왜 이렇게 직장 소설이 인기일까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그것은 그만큼 우리가 하루의 8시간 이상, 거의 만나는 사람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사랑하는 애인이나 가족보다 더 많이 보고 이야기하고 밥을 먹는 사람들, 그 안에서 우리는 과연 행복과 안정을 취하고 있을까?

현실은 각박하고, 언제든 우리를 속아맨다. 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다시 내일 출근을 해야한다. 그런 인내와 안감힘의 순간에 우리는 이런 책을 보며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직과 퇴직, 한방의 주식과 부동산, 비트코인등, 오늘도 교통지옥을 뚫고 출근하는 직장인을 현혹하는 많은 것들이 있지만 우리는 그래도 회사를 가고 돈을 번다. 이들은 마블의 영웅과는 다른 어쩌면 진정한 시대의 영웅들일 것이다.



[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