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지배하는 기술
최형렬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을 지배하는 기술


일은 늘 힘들다. 일의 반대는 놀이인데 노는 것은 밤을 새도 즐거운데, 일은 왜 1시간을 해도 힘든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누군가 시킨 것을 억지로 하기 때문일 것이다. 놀이는 내가 하고 싶어서 하고 내가 그만두고 싶을 때 그만두면 되는데, 일을 그렇지 않다. 때로는 남의 눈치를 보고, 싫은 소리를 들어야 하며, 성과를 판단당하고 늘 쫒기고 마음이 조급하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렇게 일하는 것은 아니다. 분명 일을 즐기고 놀이처럼 회사에 가는 날을 손꼽아 기다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과연 어떤 점에서 그런 차이는 만들어지는 것일까? 이 책은 일을 지배한다는 표현을 쓰고 있다. 지배한다는 것은 우선 주체적인 마인드를 말하는 것일것이다. 


우선 직장생활을 방해하는 6가지 함정이 인상적이었는데, 그중 계산되지 않은 충성이라는 부분이 참 많은 깨달음을 주었다. 계산에 분명해질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바로 우리 마음 속 충성심의 진정한 대상을 회사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두어야 한다고 말하는 부분이 특히 그랬다. 


이 책은 여러가지 키워드를 제시하며 결국 내가 회사를 이끌어가는 주인, 일의 주인이자, 삶의 주인이 되라고 말하고, 있다. 독립과 자유를 강조하고, 회사에 의존하지 말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새로운 직장인이 되기 위한 여러 해법을 제시한다. 그중 인상적이 것은 학습이었다. 사실 어떤 회사든 처음 들어가면 모르는 것 투성이다. 즉, 회사를 다닌다는 것이 하나의 연속된 학습이다. 그렇기에 별도의 시간을 내서 학습을 하는 것도 맞겠지만, 실제로 우리가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직장에서 학습을 지속해야 한다는 말이 크게 다가왔다. 


생각해보면 평생 직장은 이제 없다. 평생 직업도 없다. 언제든 우리는 하나의 독립된 회사가 될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지금 속한 이 곳에서 나만의 색깔과 뚜렷한 인상을 남겨야 한다. 일의 태도만 바꾸는 것으로 꽤나 긍정적인 미래가 보장 될수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의 삶의 전체적인 태도와도 연결되는 느낌이었다. 


책은 차분하게 잘 읽힌다. 또 여러 사례를 들어 말하고 있다. 최근의 뉴스에서 본것이 그대로 사례로 들어가 있어, 마지막 책을 출간하기 직전까지 원고를 계속 고치고 업데이트를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저자야말로 일을 주체적으로 즐기면서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러모로 도움이 많이 된 책이었다. 



[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