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심는 CEO - 미래 경영에 자연의 가치를 심다
고두현 지음 / 더숲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무 심는 ceo


언젠가부터 우리는 지속가능한 경영이라는 표현을 쓴다. 이는 19세기 20세기를 거치면서 무분별한 발전 , 개발, 성장에만 초점을 맞춘 경영의 폐혜를 너무나도 많이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환경오염과 더불어 인간으로서 하지 말아야할 짓을 하면서까지 오직 돈만 바라는 경영은 생존이 아닌 공멸을 낳는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학습한 바 있다. 


그런데 참 그것이 어렵다. 경영이란 한마디로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거두는 경제학적 관점이 1순위여야 하는데, 거기에 환경과 지구, 그리고 상생까지 신경써야 한다니. 하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그런 기업이 결국 성공하고 오래간다는 데 이견을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문제는 방법이다. 어떻게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것인가? 그러기 위해서는 ceo가 인문학적 소양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의 저자는 ceo에게 환경과 지구, 자연에 대한 생태인문학적 소양을 주는 책을 알려주고 있다. 


제목이 나무 심는 ceo인데 제목을 참 잘 지었다는 생각이다. ceo가 나무를 심다는 말 자체가 자연과 기업이라는 어울리지 않는 두 주체의 상생을 보여주는 것이다. 


인상 깊었던 것은 ‘월든’ 이었다. 워낙 유명한 책이고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책인데 여기서 다시 보니 반가웠다. 저자는 월든을 인용하며 나이를 먹는 다는 것과 나이가 든다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우리는 노화가 되면 뭔가 느려지고 활동이 떨어지는 것을 연상한다. 하지만 나무가 나이테에 세월에 흔적을 새기듯, 사람도 살아온 흔적이 얼굴에 드러난다. 그리고 지혜를 터득한 사람은 남과는 다른 훨씬 온화하고 여유로운 표정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러니 나이 들었다고 모든 것을 내려놓지 말고 그 지혜를 더 활용하라고 말하고 있다. 가령 숀 코너리는 59에 생존 인물 중 가장 멋진 남자로 뽑히기도 했고, 오드리 햅번은 암 투병 와중에 소말리아에서 아픈 아이들과 함께 하기도 했다. 이들처럼 늙어서도 멋진 사람들은 숲에서 우두커니 숲을 아우루니 커다란 나무 같은 사람들일 것이다. 


또 kfc의 창립자도 600번이상의 실패를 이기고 65세에 첫 체인을 열었다고 한다. 


살면서 점점 나무같은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나무 같다는 것은 무엇일까. 한결같고, 쉽게 흔들리지 않고, 언제나 굳건하게 자리를 지키는 사람 아닐까? 경영을 하면서도 이런 굳은 심지와 원칙, 그리고 포용력이 필요한 것이다. 


사실 읽다보면 하나의 자연 인문서, 혹은 에세이 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경영을 어떻게 하라 이런 구체적인 지침보다는 전체적인 시야를 넓혀주는 느낌이다. 그래서 꼭 ceo가 아닌 일반 사람들도 읽으면서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풍요롭게 만들수 있을 것 같다. 



[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