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교육 - 행복한 미래 학교,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최우성 지음 / 성안당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교육. 최우성



교육이 백년의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에 이견을 달 사람은 없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짧은 기간에 이렇게 급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에는 교육열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는것에 토를 달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의 한국 교육이 제대로 가고 있는가? 하고 물었을 때 그렇다고 라고 말할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 교육만큼 문제가 곪고 곪아 썩기 일보 직전인 분야도 아마 없을 것이다. 문제점을 말하기 시작하면 너도 나도 말할 수 있는 분야가 교육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다른 것은 잘 겪어보지 않아서 모르는데, 교육은 우선 초중고 12년에 대학도 거의 다 나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녀를 키우는 분들은 교육에 대해 더 큰 목소리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따지고 들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오랜기간 한국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평가한 저자의 책이 있다. 이 책은 교사이자 장학사로 오랜기간 교육현장에 몸을 담은 최우성이라는 저자가 쓴 책이다. 단순히 여러가지 문제점을 나열 한 것이 아니라 나름의 대안도 제시하고 있고 균형잡힌 시각이 돋보인다. 또한 거시적이고 추상적인 문제점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디테일한 것도 놓치지 않고 있다. 가령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현상에 대해 말한다던가, 직업계고 현장실습의 실태를 말하는 부분이 그랬다.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수포자가 늘어나는 것에 대한 걱정과 대안을 한 부분이었다. 아마도 저자가 수학교사 출신이었기에 이 부분에서 더욱더 진정성있게 글을 쓴 것 같다. 저자는 기본적으로 수포자를 양산되도록 나두는 교육은 절대로 미래로 가는 교육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나는 이에 적극동의한다. 수포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초등학교 3-4학년이라고 한다. 이때 수학을 재미있고 어쩌면 아름답게 까지 볼 수 있도록 교사와 학교, 그리고 학부모, 더 나아가 학업을 하는 학생들이 모두 시선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미래교육이라는 거창한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읽다보면 한국 교육의 문제점이 한두가지 아니구나 하고 한숨이 절로 나온다. 교사들의 문제, 거기에 학교에서 벌어지는 폭력까지 읽다보면 참 이거 어떻게 하나 걱정이 많이 든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육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교육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더욱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공정한 경쟁을 하고,  학생, 교사, 그리고 학부모가 모두가 더 행복한 학교라는 인식을 갖게 하기 위해 우리는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