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은한 청진기엔 장난기를 담아야 한다 - 위드 코로나 의사의 현실 극복 에세이
이낙원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측은한 청진기엔 장난기를 담아야 한다. 이낙원. 


티비를 보면 의사들과 변호사가 참 많이 나온다. 각종 방송의 패널이라는 명목으로, 세상의 온갖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그들의 전문성은 인정한다. 법을 알고 있어야 어떤 사안에 대해서 말을 정확하게 할 것이고, 사람의 몸에 대해 알아야,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건강에 대해서도 확실한 정보를 얘기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과와 문과에 각각 가장 공부를 잘한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라는 것을 부인할 수도 없다. 즉 가장 똑똑한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기에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에는 불만이 없다. 하지만 가령 의사라는 직업을 바탕으로 상업성을 바탕으로 방송을 하거나, 너무 자기 피알 적인 얘기를 하는 것을 종종 볼 수 가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눈살이 찌푸려 지기도 한다. 


또한 우리는 가끔 찾는 병원에서 소위 싸가지 없는 의사를 경험하기도 한다. 아무리 진료를 잘해도 말한마디 차갑게 해주면 그 병원에 대한 인상이 나빠진다. 그들의 말이 맞는 말일지언정 우리는 굉장히 감정적으로 어쩌면 어리석게 그들을 판단한다. 그리고 의사에 대한 잘못된 편견과 선입견을 가지기도 한다. 그런 와중에 이 책은 제목처럼, 의사의 인간적이며 솔직담백한 모습을 보여주는 에세이라서 무척이나 반갑다. 단지 의학지식을 설명하고, 정보를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의사로서의 삶과 생각, 그리고 생활을 보여주는 책이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감염병이 오래토록 유행하면서 병과 의사에 대한 우리의 관심도는 무척이나 높아졌다. 그들이 얼마나 헌신하고 고생하는지는 잘 알고 있다. 그렇기에 이런 시기에 그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는 것도 무척 괜찮은 일일 것이다. 


인상적인 부부은 소설을 읽는 의사라는 부분이었다. 의사는 무척이나 공부할 것이 많은 직업이다. 엄청난 두께의 책을 보고 연구하는 의사이겠지만 레이먼트 카버의 대성당을 읽고 느낀 점을 말해주는 장면은 참 신선했다. 이지적이고 차가울 것 같은 그들도 감성적이며 결국에는 인간을 이해하고 구하고, 세상을 향한 따뜻한 애정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너무나 당연한 사실일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호흡기 내과이다. 그러다 보니 어느때보다 바쁘고 정신없는 최근 몇년을 보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혼란 속에서도 덤덤하고도 차분한 의사결정, 그러면서도 불현듯 찾아오는 위기의 순간과, 슬픔의 과정, 거기에 다시 삶을 이어나가는 극복과 삶에 대한 긍정성 등, 이 책의 굉장히 다채로운 감정을 오고간다. 그리고 무척이나 가독성이 좋다. 그래서 읽어보면 아, 이런 부분이 있었겠구나 하고 의사라는 직업 뿐 아니라, 한 사람으로서의 그들 내면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코로나도 거의 끝나간다. 그간 우리는 어떤 광풍 속에서 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 시기에 지난 시간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난 시기의 우리의 잘못과 착오도 돌아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제목에서 나오듯 장난기와 청진기라는 두 상반된 단어가 공존하는 따뜻하고 다정한 책이었다. 





[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