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1년
이인화 지음 / 스토리프렌즈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61이인화 지음. 스토리프렌즈.

 

 

 

한때 이인화 작가의 스토리텔링 진화론이란 책을 읽은 적이 있다. 대개 글쓰는 책, 스토리에 대한 책들은 뜬구름 잡거나 추상적인 이야기 혹은 자신의 과거 경험을 호사롭게 늘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읽다가 깜짝 깜짝 놀란 적이 많았다. 왜냐하면 스토리, 즉 이야기와 서사라는 항목에 대해 사람이 어떻게 흥미를 느끼는지 이토록 치열하게 분석을 할 수 있구나 하는 경탄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런 스토리텔링의 비법을 가진, 그리고 국내 유수의 문학상을 수상한 이인화 작가의 소설은 정작 읽어본적이 없었다. 이번 기회에 오랜만에 새 책을 낸 이인화작가의 ‘2061을 읽었다.

 

 

한마디로 말해, 읽는 내내 너무 벅찼다. 미래에 대해 그리고 과거에 대해 정말 고민을 많이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주인공은 2061년의 재익 심이라는 의사겸 역사학자다. 그는 시공간법을 어겨 감옥에 들어가 있는데, 미국 대통령의 명을 받고 과거 1896년으로 가서 임무를 하며, 거기서 온갖 이념과 생각의 대립을 만나고 싸우는 것이 기본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이 책은 미래 소설일까. 아니면 과거 소설일까. 에이아이가 등장하고, 미래에 전쟁과 세계질서의 재편을 전제로 이야기하니, 또 제목도 2061이니 공상과학 소설 같을 수도 있겠지만, 내 판단에는 전혀 그렇지 않다. 이 책은 철저하게 우리의 역사와 우리가 그동안 범한 과오와 기억을 환기하고 있다. 여기서 나오는 다양한 인물들이 싸우는 이유를 가만히 생각해보면 현실의 우리의 모습들과 매우 흡사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래서 굳이 말하자면 이 책은 미래소설도 역사소설도 아닌, 철저한 당장의 현재, 지금, 당대의 소설이라 할수 있겠다.

 

 

물론 그런 시대적인 포인트 말고 이 책의 주 화제는 언어다. 그것도 이도문자라는 것이다. 이도 문자는 한글이 아니다. 오히려 더 큰 범주라고 할수 있는데, 음소가 아닌 음운 정보를 가진 훨씬 체계적인 문자다. 미래에 이 언어가 세계에 널리 퍼졋고, 그안의 비밀을 향한 쟁탈전을 다루고 있어, 어찌보면 한글이란 문자에 대한 작가의 애정과 경의를 확인할수도 있었다. 또 에이아이도 핵심에 등장하는데 우리가 흔히 영화에서 본 것 이상의 디테일한 설명과 상상으로 읽는 내내 갸우뚱하게 하는 부분이 거의 없었다.

 

 

무엇보다 읽는 내내 지적인 유희가 가능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었다. 보면서 왠지 모르게 뭔가 학습이 되는 느낌이었다. 단지 소설을 읽는 것이 아니라 엘빈 토플러의 제3의길같은 미래학 서적을 같이 보는 느낌? 그리고 역사적 사실을 비경으로 역사유튜브도 함께 보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기본적인 추리소설? 모험소설 같은 구조에 지적 만족감이 더해져 정말이지 페이지 터너처럼 휙휙 종이가 넘어갔다.

 

 

다 읽고 마지막 작가의 말을 읽었다. ‘가을 나무가 열매를 떨구는 것은 살아보려는 순수한 마음이지 세상의 인정을 바라는 것이 아니다. 라는 구절이 마음에 오래도록 남았다. 이 책으로 과거도 아닌 미래도 아닌 지금의 우리 주변이 더 나은 세상이 되길 진심으로 희망해본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