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 울다
마루야마 겐지 지음, 한성례 옮김 / 자음과모음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마루야마 겐지.

이름은 많이 들어봤었다. 소설가가 된 후 일체의 외부 연락을 단절한 채 오지에 가 소설 쓰기만 했다는 소설가. 고독과 은둔의 소설가로 유명하다는 것은 진작에 알고 있었다. 재작년인가 그가 쓴 에세이집. <아직 오지 않은 소설가에게>를 살짝 읽어보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그가 그렇게나 온몸을 바친 쓴 그의 소설은 읽은 적이 없었다. 뭔가 찾아서 읽어야 겠다는 생각까지는 들지 않았고, 또 개인적으로 일본소설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까닭도 있었다.

이번 소설책을 읽기 전에 든 첫 번째 생각은 엄청난 고행에서 나오는 소설은 과연 어떤 느낌일까 하는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재밌고 잘 읽히는 소설을 좋아하는데 너무 어둡지 않을까? 대체 뭘 쓰길래 그런 은둔과 차단으로 글을 쓰고 작가는 그래야 한다고 주장을 하는 것일까. 궁금함에 그 자리에서 책을 다 읽었다. 빠른 템포의 글은 아니었지만 왠지 각을 잡고 집중해서 읽어야할 것만 같은 책임감도 일부 있었다.

책 제목은 달에 울다지만, 그안에 중편 분량의 달에 울다조롱을 높이 매달고2편이 실려있다. 표제작 달에 울다는, 4개의 시간대로 나눠져 있다. 30년전인 10살 때, 20년 전인 20살 때, 10년 전인 30, 그리고 40살인 지금. 각 시간대는 모두 병풍에 그려진 법사 에 대한 묘사로 시작된다. 그 법사는 외로이 유랑하며 비파를 연주한다. 그러다 비파 연주소리를 듣는 나로 시선이 바뀌면서 나의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시골에서 사과 농사를 짓는 나와, 같은 동네에서 사는 야에코의 이야기라고 하면 더 적절할 것이다.

문체는 매우 시적이다. 그리고 1인칭으로 쓰였기 때문에 나의 내면이 치열하게 표출되어있다. 그 주변 사람들, 촌장, 아버지, 어머니, 버스기사 등등도 나오지만 철저히 내 생각이 건조하지 않고 아주 감정적이고 때론 격정적으로 쓰여져 있기에, 몰입이 잘되고 어떤 부분에서는 이렇게 까지 개인의 생각을 들어가다니 섬뜩하기도 하다. 아마 영화로 만든다면 사과밭과 눈, 그리고 소리를 잘 섞고 주인공의 음침하고도 고독한 나레이션이 주가 될 거라고 본다. 얼마전 본 <토니 타키타니>같은 식의 형식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다 읽고 나니 상징적 요소를 잘 살린 것이 좋았고, 그리고 중반 이후 몰입감도 뛰어나며, 묘사에 대한 집요함이 엄청난 소설이란 생각이 들었다. 고행의 작가, 구도적 작가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치열한 글쓰기를 조금만 읽어도 확인할 수 있다. 아마 일본어를 잘 아는 자는 이 작가의 문체의 아름다움을 더 잘 알 것 같기도 하다.

아쉬운 점은 문단이 모두 칸 띄우기가 되있다는 점이다. 시의 연처럼 모든 문단이 띄어져 있는데, 시적인 묘사와 문장에는 걸맞는 구성이지만, 읽다가 때로는 끊기는 기분도 들었다. 붙어야 할 것은 죽죽 붙여놓는 게 낫지 않나란 생각도 들었다. 어디까나 이건 산문인 소설이니까말이다. 뒤에 나온 조롱을 높이 매달고는 가정에 실패를 하고 어릴적 살던 M시로 가게 된느 마흔살 가량의 남자의 이야기인데, 앞의 작품보다는 몰입감이 떨어졌다. 너무 혼자만의 생각이 많고 믿을 수 없는 화자가 장면을 너무 흔들고 흐릿하게 만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마지막에 가면 완결성이 우수한 작품 같았다.

비록 한권을 읽었을뿐이지만 마루야마 겐지를 색깔을 말하라한다면 나는 짙은 회색을 고를 것 같다. 인간의 근원적 고독과 차가운 삶의 고통, 그럼에도 고요함을 깨며 데굴데굴 굴러가며 살아야 하는 빛바랜 낡은 돌멩이 같은 짙은 회색 말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