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가 죽기보다 싫을 때 읽는 책 - 지루함을 못 참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공부법
권혁진 지음 / 다연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유독 눈에 띄었던 이유는 아무래도 현재 나의 심리적인 상태를 대변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공부를 하다가 약간 지쳐서 다 놓아버린 상태이었는데 다시 끈을 붙잡기 위해서 책을 읽어나갔다.

이전부터 공부법에 관심이 있어서 인지심리학에 기반한 책부터 시작해서 꼼수부리는 공부법 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부법에 읽어봤는데 이 책은 공부에 대한 마음가짐을 바꾸는데 포인트를 둔 책이다.

책의 내용 중 절반 이상이 공부에 대한 마인드 세팅을 다루고 있을 만큼 사고방식의 전환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일단, 공부법 책을 읽는 이유가 무엇일까?

내가 처음 공부법 책을 읽기 시작한 때를 곰곰이 떠올려보면 누구나 그렇듯이 공부를 잘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뭔가 하나로 귀결되는 방법을 절대법칙을 찾고 싶었다. 어느 공부에나 적용시킬 수 있고 누구에게나 효과적인 그런 공부법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그런 강박에서 약간 벗어난 느낌이다.


모든 책이 그러하듯 공부법들을 다룬 책들을 금과옥조로 삼을 필요는 없다.

단지 참고하고 자신에게 맞춰 적용시키면 된다. 공부 잘하는 사람들이 하는 공부법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자책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저자도 이 점을 강조한다. 자신은 지루한 걸 싫어하고 책상에서 공부하는 것보다 침대에서 누워서 공부하는 걸 좋아한다고. 그렇게 해도 된다고 말이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공부는 책상에서 각잡고 해야하고 무조건 오랜 시간동안 책상에 앉아 있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그리고 공부와 놀이를 분리시키는 경향이 있다. 공부=놀이 라는 공식이 성립하지 않으니 공부는 하기 싫은 것이라는 부정적인 기억과 감정이 생겨서 더욱 공부를 하기 싫어한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는 공부를 잘 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단계로 공부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과 생각들을 전환시키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좋아하는 영화를 보고 나면 그 영화에 대한 갖가지 정보를 찾아보고 깊게 파고 드는데 전혀 공부라고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즐긴다.

하지만 영화를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느낌이 달라진다. 뭔가 암기해야 할 것 같고 몸이 경직된다.


이렇듯 공부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의 전환을 하려면 일단 공부하는 접근 방식부터 바꾸는게 중요하다.

일단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시작하는 것 자체에 거부감이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관심 가는 것을 먼저 해보고 흥미를 가지면서 능동적으로 공부에 빠져든다면 점차 공부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하게 된다.

나도 어려운 주제에 대해 공부하다가 흥미가 떨어지면 관련 영상이나 활자 등 매체를 가리지 않고 전방위적인 접근을 한다. 어떤 방법을 활용하든 더 알아보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면 이미 성공한거나 마찬가지다.


이렇게 공부를 시작했다면 그 다음은 공부에 대한 총량 즉, 목표를 세워보는 것이 좋다.

일단 목표를 설정해야 얼마나 공부를 해야할 지 감이 잡히고 목표를 달성했을 때 느껴지는 성취감을 느껴보기 위함이다. 목표는 되도록 구체적인 것이 좋고 처음에는 목표를 작게 세워서 성공에 대한 경험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성취했을 때 느껴지는 뿌듯함과 자신감은 공부를 지속시켜주는 힘이 되기 때문이다.


가장 공감하면서 읽었던 부분은 바로 쓸데없는 생각을 비우라는 것이다.

세상엔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통제 할 수 없는 것인데

이를테면 지나간 일이나 다른 사람의 성격 같은 것들이다.

이것들은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영역의 것들이기 때문에 혼자서 낑낑대며 골치를 썩여봤자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통제할 수 없는 부분은 생각하지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천성이 대범하지 않은 사람들은 일부러라도 마음에 새기며 살아갈 필요가 있다.

나 또한 몇 년 전부터 의도적으로 마음가짐을 다잡으면서 스트레스가 많이 줄었다.

만약 잘 안된다면 수면을 취하거나, 샤워를 하거나 청소나, 책상정리, 음악감상등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적용해 보면 나아질 것이다.


암기법이나 공부자극법에 대해서는 여타 공부법들과 그리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핵심은 잘 전달하고 있다.

암기는 반복과 자극인데 추상적인 것은 이미지화 시키고 어떠한 유치한 방법을 꺼리지 말고 적용하라고 하고

공부자극법은 보상과 동기부여등 4가지의 유형으로 나눠 유인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말은 '공부에 대한 정의는 내가 세운다' 이다.

난 이제껏 사람마다 생김새와 성격부터 천차만별임을 알면서도 공부법은 마치 정석이 있을 거라 막연하게 생각해왔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난 후 공부를 대하는 마음가짐이 꽤나 느긋해지고 편해졌다.


이 책 역시 많은 공부법 중에 한 권일 뿐이다. 저자가 말하는 방식을 받아들일 수 없어도 괜찮다.

자기에게 맞는 방법을 찾으면 된다. 하지만 공부에 대한 마음가짐에 대해서는 한번쯤 음미해 보기를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