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아이에게 들려줘야 할 말 - 심리학자 아빠와 교육학자 엄마에게 배운 성장 대화법
윤여진 지음 / 길벗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든 아이의 모습을 보며 가끔 후회하곤 한다.
‘아까 아이에게 그렇게 말하지 말걸…’
‘내일은 좀 더 다정하게 말해주고 대답해줘야지.’
하지만 이런 후회와 다짐이 무색할 정도로
어김없이 다시 시작되는 육아 루틴에 지쳐가는 나는
또 아이에게 상처가 될지도 모르는 말을 한다.

“그거 하지마.”
“안된다고 했어? 안했어?“
“엄마가 하지 말랬지?”
”제발 엄마 말 좀 잘 들어.“
”짜증 내지 말고 말해.“
“왜 이렇게 엄마를 힘들게 해!”

아이를 너무나도 사랑하고 잘 키우고 싶은 마음에
그림책 세계에 아이와 함께 흠뻑 빠져보기도 하고
아이와 나를 이해하고 잘 돌보고 싶어서 심리학 공부도 시작했지만
정작 내 아이에게 들려주는 말은 나의 감정이 듬뿍 담겨있다.

육아에 정답은 없지만 나침반은 필요하다.
엄마가 처음이라, 엄마도 사람이라,
무분별한 정보의 파도 속에서 허우적거릴 때가 많다.

<그때 아이에게 들려줘야 할 말>
작가는 아이의 발달시기별 획득해야 하는 정서능력과
이 때 아이가 보이는 행동과 표현을 보며
부모가 무심코 하는 생각과 아이에게 들려줘야 할 말을 대비시키켜 보여준다.
그리고 왜 아이에게 이런 말을 꼭 들려줘야 하는지에 대해
심리학 이론을 어렵지 않게 설명하고, 작가의 다양한 경험을 들려주며
부모를 이해시킨다.

나는 아이에게 들려줘야 할 말보다는
무심코 하는 생각을 입 밖으로 끄집어 내는 부모였던 것 같다.

”그만 좀 울어. 운다고 해결 되지 않아.”
”친구한테 양보해야 같이 놀 수 있어.“
“엄마 지금 중요한 일 하고 있어. 좀 기다려.”
“이제 7살 언니니까 이런건 네가 혼자 해.”

아이는 이런 말을 들을 때마다 무슨 생각을 할까?
아이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은 이런게 아닌데
막상 상황이 닥치면 생각했던 말들은 모두 흩어지고
내 감정이 나를 지배한다.
그래도 아이는 세상에서 엄마가 제일 좋다고 말한다.
엄마가 세상에서 제일 예쁘고, 엄마와 함께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고 말한다.
이쯤 되면 전생에 엄마와 딸이 역할이 바뀌어 환생한다는
얼토당토 않은 이야기를 믿고 싶을 정도다.

부모는 아이에게 무한한 사랑을 주는 것 같지만
잘 살펴보면 늘 조건이 있다.
떼 쓰지 않아야 하고, 말을 잘 들어야 하고, 밥을 잘 먹어야 하며,
엄마 아빠가 정해놓은 규율을 잘 지키면
그제서야 기특하다며 칭찬을 한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엄마 아빠의 웃는 모습을 보고
격려와 지지의 말을 들으려면
넘어야 할 산이 너무나도 높고 많다.

작가가 제시하는 아이에게 들려줘야 하는 말들은
결국 부모가 아이를 수용하는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공감해주는 것,
아이가 잘 하는 것을 발견하고 응원해주는 것,
아이의 잘 못하는 것을 질타하기 보다는 가르쳐주고 이끌어주는 것,
아이의 든든한 버팀목과 기댈곳이 되어주는 것.

부모와 아이는 서로에게 우주 같은 존재다.
아이는 부모를 통해 세상을 배운다.
부모 또한 아이를 통해 성장한다.

나 또한 부모에게 듣고 싶었던 말들이 있었다.
그 말을 듣지 못해 상처가 되었다.
이 상처가 아이에게 대물림 되지 않도록
오늘부터 아이의 마음정원에
따뜻한 사랑의 말들을 심어주리라 다짐해본다.

모든 부모들이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