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식의 미술관 - 그림이 즐거워지는 이주헌의 미술 키워드 30 ㅣ 이주헌 미술관 시리즈
이주헌 지음 / 아트북스 / 2009년 9월
평점 :
한겨레 신문에서 몇 번 만났던 내용이 책으로 나왔다하여 집어들었다. 그림이 풍성하고 소제목들이 재미있어 목차를 꼼꼼히 읽게 된다.
서른 개의 키워드를 통해 열어주는 무궁무진한 미술의 세계라...!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용어들이 미술의 세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그 의미는 또한 이 책을 통해 구체적이면서도 포괄적으로 개념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
오리엔탈리즘 - 노예소녀가 왜 이리 에로틱하고 신비로워야 할까?
알레고리 - 한입 베어물고 버린 사과는 원죄를 의미한다고?
에로티시즘 - 클림트, 에로티시즘의 횃불과 인간의 실존을 비추다
추상표현주의 - CIA와 MoMA가 낳은 냉전 시대의 황태자, 잭슨 폴록
마그리트와 데페이즈망 - 재봉틀과 양산이 해부대에서 만나듯이 아름다운
......
세상에서 제일 비싼 그림이 왜 잭슨 폴록의 '넘버5'인지 이 책은 알게 해준다. 미술시장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들에 대한 숨은 이야기를 들려주며 전쟁통에 약탈당한 예술품들이 돌아오지 못하는 국제정세를 알게 해주며 남성 여성의 누드의 기원과 그 시대의 사상을 보여준다.
이 책을 읽다보면 200여점에 가까운 미술작품의 수록에도 놀라지만, 담겨있는 이야기들의 오락성에도 놀란다.
이야기의 오락성이란 작품의 스토리를 말함은 아니다. 그동안 나는 작품의 담긴 스토리만을 알려주는 책들을 읽어왔다. 그렇다고 이 책의 그림들은 스토리를 알려주지 않는건 아니다. 모두 스토리를 알려준다. 하지만 그건 그림 아래 작은 글씨로 소개되는 것으로도 충분했다. 스토리는 5-6줄이면 됐다. 이 책의 본문은 스토리 너머의 것을 이야기한다.
작품의 창작 양식이나 기법, 작품을 만든 작가의 시각, 작가를 품은 시대와 공간(위대한 화가들, 인상파의 부흥이 사소한 튜브물감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다는 것, 그 얼마나 유쾌하고 엉뚱한 반전인가), 작가의 시대가 놓여있는 시대의 미술사적의의, 정치․사회적 사건이나 역사적 이슈, 작품을 둘러싼 시장의 욕망 등 넓은 스펙트럼의 이야기들 자체가 너무나 재미있고 흥미진진하다.
참, 누가 고흐의 심장을 쏘았냐구?
당신도 알다시피 고흐 자신이었다. 정신질환과 예술가의 연관성에 대한 이야기는 기인화가 편에 나온다. 고흐 뿐 아니라 많은 작가들이 정신병을 앓았고 그중 우리가 잘 아는 뭉크도 있다.
내가 알고싶은 미술, 알수록 재미있는 미술!
'지식의 미술관' 이 한 권이 미술의 즐거움을 일깨워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