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입문을 위한 최소한의 동양 철학사 : 인물편 - 요즘 세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동양 대표 철학자 17인
신성권 지음 / 하늘아래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철학이라는 하면 어려운 학문 또는 고리타분한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거 배워서 취업을 할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만큼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학문입니다.
하지만 철학은 유별난 지식인들의 전유물이 아닌 인간의 정신적 생활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든 존재하는 것입니다.
인간은 자연현상을 향해 항상 의문을 품는 존재입니다. 그리고 시대가 흐름에 따라 인간은 올바른 길인가에 대해 참다운 앎을 추구하였습니다.
이처럼 철학은 인간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근본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사유하는 것이며 언제나 우리의 현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다양한 철학사상에서 우리들은 동양철학에 좀 더 익숙합니다. 
대표적인 사상으로 유가,도가, 법가를 들수 있습니다.
유가를 창시한 공자는 인과 의로써 사회질서를 바로잡고자 하였습니다.
인이란 사람다운을 의미합니다. 사람을 사람답게 만든다고 강조했습니다.인의 순수한 상태를 효(부모와 자식간의 사랑)와 제(형제간의 사랑)를 들수 있습니다.
도가는 노자와 장자는 인간의 인위적인 제도를 지양하고 무위로써 혼란을 바로잡고자 했습니다.
노자가 말하는 도란 우주 만물을 생성시키는 근원이자, 우주를 우주일 수 있도록 하는 궁극적인 원리이고 본체입니다.
도는 우리의 감각기관을 통해 볼수도 만질 수도 맛볼 수도, 냄새를 맡을 수도 없고 오직 신비적 직관을 통해서만 인식할수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법가는 한비자가 강력한 법과 군주의 권력으로 사회질서를 안정시키고 부국강병을 도모하고자 했습니다.
군주의 필수적인 통치수단으로 법,술,세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법은 군주와 신하, 백성 모두가 지켜아 할 강력한 원칙입니다.
술은 군주가 신하를 다스리는 일종의 처세술입니다.
세는 국정을 운영하는 훌륭한 수단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힘이 있어야 하는 데 그 힘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정치적, 사회적 혼란을 배경으로 이상적인 사회를 이룩할 수 있는 자신만의 사상을 제시하고 전파하고 있습니다.
철학자들의 다양한 사상을 접함으로써 하나의 신념에 갇히지 않고 열린 관점으로 인간의 본질과 사회의 현상에 대해 총체적이고 입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