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사람 일 못하는 사람 - 개정3판 일 잘하는 사람 일 못하는 사람 1
호리바 마사오 지음, 은미경 옮김 / 오늘의책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을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의 차이는 생각보다 크지 않습니다. 그 차이가 결국 인정을 받느냐, 받지 못하느냐 차이가 됩니다.

자신은 단점을 많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생각을 역발생해서 단점을 장점으로 승화시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포기가 빠른 사람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다른사람이 보면 포기가 빠른 사람이구나 생각할 수 있겠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다음 일에 착수가 빠른 전환력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할수도 있습니다.

결국 각각의 상황, 개개인의 성격에 따라 단점을 장점으로 만들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런 유연성이야말로 일 잘하는 사람의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일잘하는 사람이 되괴 싶으면 일 잘하는 사람과 사귀도록 해야 합니다.

아부를 해서 라인을 타기 위해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당당하게 자기 의견을 제시하고, 질문하면서 일의 연장선상에서 접근하는 것이 자기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출퇴근으로 과시하고 싶은 사람도 있습니다. 그것은 옛날에나 통하는 방법입니다. 

지금은 본업 승부 시대 입니다. 근무시간 안에 얼마나 유효하게 시간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일을 잘하는지, 못하는지 결정하는 잣대가 됩니다.

일을 잘하는 사람의 특징은 공부든 일이든 스스로 생각하며 실행하려는 주체성이 어디에 두는지에 따라 결과는 달라집니다.

일은 재미없지만 어떻게든 재미있는 요소를 찾아서 자기 것을 만들려고 하는 사람은 이길수가 없습니다.

내용만 알차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물론 내용이 중요한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겉모습도 신경을 쓰는 사람은 일을 잘할 확률도 높습니다. 우리들은 이것을 센스가 있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만나는 상대방과 목적에 맞게 옷을 바꿔 입으면 그 사람의 인상이 좋게 보이기 마련입니다.

'누더기를 걸쳐도 마음은 비단'이라라면 구질구질한 거드름을 피우는 것은 이미 구시대적 발상입니다.

결국 시대가 변함에 따라 가치관이 바꿔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자신이 지닌 가장 좋은 점을 끄집에 낼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사람이 일 잘 하는 사람입니다. 내가 가진 장점과 단점을 파악해서 상황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