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날의 파스타 - 이탈리아에서 훔쳐 온 진짜 파스타 이야기
박찬일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Prolog]
사실 이 책은 얼마전 나무수에서 기획한 서평이벤트에 참여해놓고 기다리다가,
샛노란 표지에 흠뻑 빠져 기다리지 못하고 주문한 책이다.
이런 예쁜 책은 그냥 소장해놓고 책장에 꽂아두면 제법 뽀대가 나서 구입하기도 한다.
그리고 요즘 mbc에서 방영중인 드라마 파스타에 푹~ 빠져사는 나에게 이 책의 유혹은 
쉽게 뿌리칠 수 없는 것이었다.

진짜 파스타 이야기

저자는 이탈리아에서 요리학교를 수학하고, 청담동쪽에서 매우 유명한 셰프라고 한다.
전직 기자출신이라 그런지, 글이 매끄럽고 술술 읽힌다. 
자신의 장점을 잘 활용할 줄 아는 멋진 사람인듯 하다.
그는 각종 파스타들의 출신성분(^^), 그 재미있는 역사를 맛있게 요리해낸다.


파스타의 기초적인 재료에서 시작하는 이 책은, 
우리나라와 본토의 파스타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우리가 쉽게 먹는 까르보나라, 피클 등), 
또 우리가 가진 이탈리아 파스타의 선입견 등에 대해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또 책의 중간을 지나면, 다양한 종류의 파스타를 만날 수 있다. 
라자니아, 라비올리, 뇨끼, 봉골레스파게티, 생소한 멧돼지칼국수, 티아린 등등..^^
읽기만해도 군침이 도는 저자의 맛있는 글은 고소하게 풍기는 스파게티 삶는 냄새와 같다.

'pastarize’, 나’도’ 파스타가 되어버리고 싶다

파스타는 언제부터인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하고 있다.
친구들을 만날때면, 떠오르는 메뉴의 일순위가 되기도 하고, 
몇가지 재료만 구비해놓는다면  집에서 요리하기에 그닥 버겁지 않은 메뉴이기도 하다.
반면, 그 수를 헤아릴 수 없는 종류의 다양한 모양, 다양한 소스, 이국적인 향이 
쉽게 파고들 수 없을만큼 매력적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그래서, 더욱 궁금했다. 파스타의 세계 ^^
유명한 레스토랑의 이름을 줄줄 외고, 화려한 메뉴에 길들여진 겉만 반지르르한 ’된장녀’가 아닌
어디가서 알덴테에 대해 말할 수 있고, 알리오 올리오를 진정으로 즐길 수 있는, ’pastarize’가 되고 싶은 것,
그것은 지나친 사치가 아닌 맛으로 이국적인 ’여행’을 떠나, 그 안에서 새로움을 느낄 수 있는 ’여유’라고 해두자.
고단한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그정도의 사치는 ’낭만’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