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8 제너시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7
버나드 베켓 지음, 김현우 옮김 / 내인생의책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시대적 배경은 지금으로 부터 멀지 않은 가까운 미래로, 인류가 현재 고민하고 있는 문제들을 충분히 있을법한 상황에 맞게 기발한 상상속으로 전개해간다.  글의 전개는 대화와 관찰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공화국 최고의 기관인 학술원에 들어가기 위해 면접을 치르는 아낙시맨더가 자신의 인터뷰 주제로 택한 아담 포드라는 인물은 새로운 세상을 여는 경계에 선 사람이다. 아낙시맨더가 4시간 동안 시험관과 인터뷰하는 내용에서 아담의 생애가 옴니버스형식으로 진행된다.
   아낙시맨더나 플라톤 페리클레스등 소설속 주인공들은 그리스 철학자의 이름을 따왔다. 그 만큼 짧지만 생각할 거리가 많다는 뜻이다. 그리고 관찰 대상자인 아담포드는 올더스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인용해 따온 이름같다. 시초를 대표하는 아담의 이름과 기계화를 대표하는 포드의 이름만으로도 어느정도 눈치는 챌수 있을것이라 생각된다. 

  인류는  급속한 경제팽창으로 지구환경을 위협하며 기후변화를 일으키고 마침내 대전쟁이 벌어지게 된다.그리고 일부 인류가 플라톤이 주장한 -감정을 배재한 이성을 바탕으로하는 철학자들이 통치하는- 이상향국가를 육지와 멀리 떨어진 고립된 먼 섬에 대안으로 세우고 문명을 이어나간다.
  

    2058년은 새로운 세상을 여는 열쇠가 되는 아담포드가 태어난 해이다. 아담은 경계근무중 바다를 통해 작은 배를 타고 떠내려온 '이브'라는 소녀를,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를 원천 제거한다는 규정에 따라, 처치해야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고 명령을 어기게 된다. 훗날 이 작은 사건이 미래사회의 향방을 가늠하는 창세기를 여는 시발점이 된다. 이후 아담은 실험안드로이드인 인공지능 아트와 함께 교도소에 격리되어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게되고 이 시간은 인간적인 감성을 대변하는 아담과 합리적인 이성을 대변하는 아트 모두에게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1984년과 멋진신세계와 같은 미래묵시록 계열이라 하지만 그것보다는 블레이드러너를 먼저 떠 올리게 된다.

   인공지능과 인간의 차이는 무엇일까? 중국인의 방 이라는 역설로 설명하듯이 생각과 영혼이 어떤 구분점이 욀수 있을까? 그리고 사람과 동물과의 차이는 명확히 경계짓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그 무엇은 어떤것일까. 하는 궁금증을 유발한다. 의사소통여부라던지 겉모습이 비슷하다던지 하는 이유로 판단할수 있는 문제가 아닌 좀더 자세하고 세부적인 무엇인가가 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에 동감하게 되었다. 더불에 차이점에 중심을 두느냐 유사점에 중심을 두느냐에 따라 의도적인 채식주의자를 구분한다는 대목에서는 그래. 바로 이거야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명확한 설명에 금방 이해할수 있었다.  

    이 책을 집어든 독자들은 누구라도 나처럼 200페이지에 불과한 짦은 내용이지만 극적인 반전이 숨어있으므로 마지막장까지 긴장하고 읽게 될것이다. 만일 미국드라마인 '배틀스타 갤럭티카'를 본 독자가 있다면 이 책에서도 자아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 싸일런을 다시 만나게 될것이다. 
 

   각자의 희망과 가치관이 다른 개인들이 모여사는 사회지만 그 개인들을 묶어주는 하나의 구심점.. 그 이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잘 생각해볼수 있는 책이다. 변화는 곧 파멸이라며 변화를 거부하는 공화국과 필연적으로 태동할수 밖에 없는 변화의 물결, 그 둘 사이의 갈등의 해답을 학술원의 시대가 제공하지만 그건 매트릭스와 같아서 누구라도 바라지 않는 사회일것이다. 눈을 감고 진실을 외면하는 시대에 언젠가는 '네오'가 나타나 매트릭스를 깨트리고 진실을 대면하게 해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