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신
마르크 함싱크 지음, 이수영 옮김 / 문이당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도세자에 관한 이야기는 조선왕실의 역사에 있어서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이라고 할수 있겠다.
50년이 넘는 기간을 통치해온 영조와 그 손자인 정조의 치세가 조선후기의 가장 화려했던 기간이고 그 이후에 내리막길을 걷게 되어 조선의 역사는 끝나고 말기 때문이다. 게다가 세자의 자리에서 폐서인된후 뒤주에 갇혀죽었다는 사실은 역사가 전하지 않는 다른 무엇인가가 있지 않았겠는가 하는 의심과 호기심이 유발되어 그에 관한 책이나 사극등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이 책을 처음 접했을때 외국작가가 쓰고 번역이 한국인 이기에 깜짝 놀랐는데 저자는 어렸을때 벨기에로 입양된 사람이라 한다. 아직 한국말을 몰라 번역출판한 책이지만 13개국어에 능통할 정도로 언어능력이 탁월한 사람이라 한다. 그 멀리에 있는 작가가 이 사도세자에 대한 관심을 갖게된 것은 보험일을 하다가 접하게된 이천보라는 사람이 쓴 책 '진암집' 때문이라 한다.
당파싸움이 치열했던 영조시대에 노론의 영수였으며 영의정을 10년이나 지내고 사후에는 불천위라는 국가의 명예직에 까지 임명된 이천보의 죽음과 계속 이어진 좌우 두 정승의 연달은 죽음에 의심을 품고 조사해 내려간 기록을 소설로 낸 것이란 것을 알았을때 국사에 대해 배우지 않았던 외국인으로서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해 선입견없이 오로지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역사를 재해석 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점수를 주고 싶다.
사도세자를 뒤주에서 죽었기에 死자를 써서 死도세자인줄만 알았는데 이 책을 읽고 궁금해서 다시 찾아보니 본명은 이선으로 죽은 뒤에 영조가 내린 思悼 라는 시호였다는 것을 알았다. 임금이기 이전에 부모로써 자식을 죽음에 내몰고 슬퍼했던 인간적인 면모를 시호를 통해 알게 되었다.
특히 기억에 남았던 부분은 이천보의 아들 이문원인데 어렸을적 즐겨읽었던 '맹꽁이 서당'같은 역사만화에서 읽은 인물이었던 기억이 난다. 세도가에 양자로 들어가나 글 공부는 관심이 없어서 돌려보내지고 그 영특함에 다시 데려왔다는 일화나 과거시험의 비리를 해결하기 위해 까막눈과 다름없는 그를 시험감독관으로 임명했는데 시험관들이 미리 챙겨놓은 급제자들을 낙방시키고 우수한 글들을 다시 합격시켰다는 에피소드들이 기억나면서 그 때 읽은 그 인물이 바로 이천보의 양자였던 이문원이구나 하는 생각에 잊고있었던 글귀를 다시 찾은것마냥 기뻤다.
네이버 백과사전에는 <아버지 영조를 무서워한 그는 궁궐 내에서 칼을 휘두르고, 함부로 궁녀를 죽이는가 하면, 몰래 왕궁을 빠져나가 평양을 갔다 오는 등 정신질환과 같은 비정상적인 행보를 계속하였다. 이후 1762년 김한구(金漢耉)와 그의 일파인 홍계희(洪啓禧)·윤급(尹汲) 등은 세자의 장인 영의정 홍봉한(洪鳳漢)이 크게 세력을 떨치자 그 일파를 몰아내고 세자를 폐위시키고자 윤급의 종 나경언(羅景彦)을 사주하여 세자의 비행 10조목을 영조에 올리도록 하였다(나경언의 상변). 이 일로 인해 세자의 비행을 올린 나경언을 참형에 처하고, 영조는 세자를 불러 조목조목 다그치고 자결할 것을 명하였으며, 세자가 살려달라고 애원하자 서인으로 폐하고 뒤주 속에 가두어 8일만에 굶어죽게 하였다. > 라고 되어있는데 이 책은 어린시절 학문에 힘쓴 영민한 세자였으며 15세가 되어서는 제왕수업을 대리하며 착실한 후계자자리를 구축하던 사도세자가 병에 걸리고 저렇게 행동할수 밖에 없었던 그 근원이 무엇이었을까를 추측해본다. 그 세자를 충심으로 아끼던 신하들이 세자를 구하기 위한 그 긴박하고도 안타까운 시간속으로 돌아가 볼 좋은 기회가 되어서 아주 만족스러웠다.
영조의 명으로 사라진 1년간의 승정원일기의 기록이라든가 왕권이 강했던 태종시대의 실록이나 반정으로 인한 광해군과 연산군의 왜곡된 기록에서 보듯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이 그냥 생겨난 말은 아닐것이다. 현대사에서도 군사정권에 의해 광주사태로 격하되었던 광주민주화운동등에서 보듯 역사를 제대로 알아가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또 반드시 그래야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