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보는 세상 1 - 나의 우주 숫자로 보는 세상 시리즈 1
조대연 글, 강무선 그림, 고의관 감수 / 녹색문고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3학년이 되어 학교에서 과학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과학과목에 대해 부쩍 흥미가 많아졌어요.
내일은 실험왕같은 만화형식으로 된 것부터 태양계에 관한 이야기 책까지 몇번씩 반복해서 보면서

하나 둘씩 지식을 넓혀가고 있어요.

 

  이번에는 우주에 관해서도 조금씩 알아야 할 것 같았는데 마침 이 '숫자로 보는 세상'을 접하게 되었어요.

저학년인 아이가 보기엔 글밥이 많긴 했지만 내용이 자세히 설명되어있어서 오히려 제가 더 많이 배운것 같아요.

태양계내의 행성식구들에 관해서는 전에도 읽은 적이 있어서 비교적 쉽게 이해하였지만

별의 운명이나 입자에 관해서는 아이가 아직 이해못하는 부분이 너무 많네요.

이해못하는 부분은 제가 읽고 간단히 추려서 쉬운 내용들로만 말해주었더니

약간 어려워해도 처음보다는 덜 어려워하는것을 보니 앞으로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틈틈히 보면서

 좀 더 자세하게 하나둘씩 알아가야 할 개념들이 어떤 것인지 대략 감이 잡히네요.

 

  빛이 강한 중력에 휘어진다는 것이 아이에겐 약간 어려운 내용이기도 하지만 아주 신기해해요.

그래서 그림으로 그리면서 태양 뒤에 있는 별을 관찰할 때 태양의 중력때문에 그 별빛이 휘어져 오기 때문에

진짜로는 지금 보이는 위치에 있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그려서 설명했더니 신기한 내용을 하나 알았다고 무척 좋아하네요.

사실 저도 이 책을 읽기전까지는 그렇다고 알고 있었지만 별로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은 없었던것 같아요.

 지금 보고 있는 별빛도, 또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들도 모두 지금 현재의 것이 아니라

어디선가 부서졌던 별의 조각들이라는 것도 재미있었고요,

 

'숫자로 보는 세상'은 태양계나 우주의 크기등을 설명할 때 몇킬로. 몇광년등

 한번 듣고 잊어버릴 숫자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이 수박만하다면 지구는 얼마만한 크기일지,

 만일 지구가 블랙홀이 된다면 지구의 크기가 손톱보다 더 작아져야 한다든지 등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설명을 해서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지구 1백만개를 담을 정도의 큰 태양마저 우습게 여길정도의  훨씬 더 큰 별도 있다는 것도 놀랄일이 었어요.

 

 태양의 지금까지 절반을 살았고 앞으로 55억년정도가 지나면 태양이 백색왜성으로 되어

 그 운명을 다할거라는데 대체 그런 것을 어떻게 연구하고 알수 있을지 신기하기도 하죠.

그리스 시대라고 해봐야 겨우 지금으로부터 3000년전인데 말이죠. 단군시대면 4300년이고.

대체 저런 1억년후의 일을 어떻게 알수있는지 과연 믿을수 있는지 약간은 의심스럽기도 하구요. ^^;

 아무튼 우리아이에게 너무 쉬운 시시한 우주에 관한 책이 아니라 알아야 할 것이 많은 정복해야 할 책이 하나 생겼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