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신화
아침나무 지음 / 삼양미디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세계 모든 신화에 대한 바이블을 모토로 펴낸책이니만큼 그 두께는 750페이지에 달하며,  실린 내용 못지 않게 각종 사진과 삽화등이 모두 훌륭하다.  각 지역별로 창세신화와 건국신화및 각 신들의 탄생과 설화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양을 정리해서 담아내고 있다.
 

  신화는 우주의 생성, 자연과 생명 그리고 인류의 탄생에 대한 그 시대 나름의 상상력의 산물이며 이론이다. 따라서 집권세력의 당위성뿐 아니라 사회구성원이 가져야할 질서와 규범, 제도와 문화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용되었으며 고대 종교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수 있었을 것이다. 또 책을 읽으면서 지역과 국가등 지리적, 문화적인 특성에 따라 서로 일치하는 부분과 서로 상이한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었. 흥미로운 점은 '홍수신화'처럼 독특한 신화가 일부분 공통적으로 발견된다는 것이다. 이는 문명의 전파에 따라 서로 신화가 섞이고 타 문명과 흡수 병합함에 따라 알맞게 고쳐졌을 것이란 것을  알수 있는 단서가 된다.

 

  한국신화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환웅-단군신화뿐 아니라 우리나라 토속무속신화를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고시례풍속이라던지 성주신이나 바리데기처럼 제도권(?)에 들어오지는 못했지만 나름대로의 독특한 신화설화를 간직하고 있는 무속신화의 내용을 담고있다는 것이 무척이나 만족스러웠다. 

 

  제일 유명한 그리스 로마신화의 내용은 토마스 불핀치의 노력으로 익히 잘 알려져있지만 읽을때마다 헷갈렸던 12신들에 대한 정리와 그리스 로마신화의 신들을 그리스명-로마명-영어명-담당하는 분야에 대해 깔끔하게 정리한 부분은 특히 만족스러웠다. 각종 판타지게임이나 소설속에 자주 등장하는 북유럽신화에 대한 내용들은 대충 알기만 하던 북유럽신들의 계보와 용어에 대해 다시 한번 잘 정리할 수있는 기회를 얻을수 있었다. 이외에도 바퀴를 발명한 수메르인들의 길가메시서사시가 나오게 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신화도 흥미로웠고, 안타깝게도 거의 소실이 되어 전해지는 내용이 거의 없는 조로아스터교의 본산 페르시아문명에 대한 신화도 재미있었는데 이란과 이슬람은 분명이 그 문화적 바탕이 다르다는 것을 신화를 통해서 알수있는 기회가 되었다.

 

  인구와 땅덩어리만큼이나 거대한 중국의 신화와 베다와 힌두신화를 가진 인도, 성적으로 개방된 일본의 신화를 읽고 나면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들이지만 우리나라와 무척이나 다른 신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신기하다는 생각이 든다. 몽골의 신화에 이르면 같은 언어를 쓰는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나왔다는 사실도 확인할수가 있다. 그 외에도 북미원주민들의 신화와 마야, 아즈텍, 잉카의 신화와 부족마다 다른 아프리카신화를 읽고 책을 덮고나면 너무나 많은 신화를 읽은 나머지 헷갈리기 시작한다. 조만간 틈틈히 문명별로 다시 읽어야 할듯 싶다. 다행히도 상식으로 알아두어야 한다는 제목처럼 너무 깊게 안들어간게 다행이랄까. 이 책을 읽고 관심있는 문명권의 신화가 있다면 따로 찾아봐서 읽어야 할듯하다.

 

 아마도 이 책을 읽고나면 '인디아나존스'나 '미이라' '둠레이더'같은 영화의 배경을 다시금 찾아보고 싶다거나, 퇴마록같은 각종 판타지소설들의 배경이 어느 문명일지 알고 싶어지리라. 특히 내가 좋아하는 작가인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아버지들의 아버지를 위시한 타나토노트, 천사들의 제국, 신등의 책에서 보았던 신화문명을 다시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항상 책장에 두고 언제든 다시금 들춰볼 사전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읽어도 두고두고 질리지 않을 이야기
    from 감똘나라님의 서재 2010-03-24 17:31 
    이 책은 <세계의 모든 신화>와 비교해서 읽으면 좋은 책이다.이 책은 세계의 모든 신화와 달리 구성이 창세부터 건국까지 진행되도록 하였으며 알기 쉽게 정리했다.  이 책은 세계의 모든 신화에 없는 우리 신화와 몽골신화,오세아니아 신화가 들어있다.  요즘 아이들은 우리 신화를 잊어가는것 같아 아쉽다.하지만 이 책은 동남아시아 신화를 뺀 것이 아쉽다.하지만 중국신화나 일본신화를 더 쉽게 시간이 흐르듯 구성되었고 몽골신화의 경